본 연구는 1964년 중국 핵실험의 영향으로 촉발된 외교통일안보 정책의 재검토 중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세 가지 문제를 검토한다. 이는 (1) 유엔의 판도 변화와 민족자주적 통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50907
도지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Korean
중국 ; 핵실험 ; 중소분쟁 ; 반공주의 ; 유엔 ; 통일 ; 민족 ; 자주 ; China ; nuclear test ; Sino-Soviet split ; Anti-communism ; United Nations (UN) ; Nation ; Independence
KCI등재
학술저널
319-349(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64년 중국 핵실험의 영향으로 촉발된 외교통일안보 정책의 재검토 중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세 가지 문제를 검토한다. 이는 (1) 유엔의 판도 변화와 민족자주적 통일...
본 연구는 1964년 중국 핵실험의 영향으로 촉발된 외교통일안보 정책의 재검토 중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세 가지 문제를 검토한다. 이는 (1) 유엔의 판도 변화와 민족자주적 통일방안의 필요성; (2) 중립국 외교 강화와 할슈타인 원칙의 신축적 적용; (3) 통일외교정책연구의 체계적 제도화로 요약할 수 있다. 중국이 유엔(UN)가입을 하지 못하고 국제적으로 고립되어있던 1950년대는 중국의 잠재적 부상이 한국의 외교통일정책 논의에 있어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와서 중국의 핵 보유가 기정사실로 되고 실제로 핵실험에 성공하자 대공산권, 대중립국, 그리고 유엔과 군축문제 등에 중국은 실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국제적 고립과 북한의 붕괴를 전제로 하고 있는 ‘유엔감시 하의 토착인구 비례에 따른 남북자유선거’라는 기존의 한국의 통일정책은 재검토되기 시작하고 그 대안으로 민족자주적인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의 증가는 할슈타인 원칙의 신축적 적용, 중립국 외교 확대, 정경분리 등 실용주의적 변화를 수반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일회담 조속재개"
2 "한일회담 조속재개"
3 "한국의 시련② 통일에의 염원들"
4 "한국문제유엔토의대비"
5 "통일문제연구할 상설기구 두기로"
6 "통일문제연구의 방향"
7 "중공승인 한국에 어떤 영향 미치나>"
8 "중공문제 등 종합연구"
9 김대중, "제13차 국회본회의 회의록"
10 "전환점에 설 유엔의 성격변질과 중공진출"
1 "한일회담 조속재개"
2 "한일회담 조속재개"
3 "한국의 시련② 통일에의 염원들"
4 "한국문제유엔토의대비"
5 "통일문제연구할 상설기구 두기로"
6 "통일문제연구의 방향"
7 "중공승인 한국에 어떤 영향 미치나>"
8 "중공문제 등 종합연구"
9 김대중, "제13차 국회본회의 회의록"
10 "전환점에 설 유엔의 성격변질과 중공진출"
11 "연 30억불 넘어"
12 "얻는것 한일타결 새기점에서"
13 장세진, "안티테제로서의 ‘반둥정신(Bandung Spirit)’과 한국의 아시아 상상(1955~1965)"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5) : 135-169, 2013
14 "새 출구 찾으려는 외교정책"
15 "민정외교로 가는 길-한국외교의 지향점"
16 "두개의 한국론은 경계한다"
17 "대한민국외교사료해제집 1966-1967"
18 "대한민국외교사료해제집 1964-1965"
19 "대통령연두교서 요지"
20 이봉범, "냉전과 두 개의 중국, 1950~60년대 중국 인식과 중국문학의 수용" 한국학연구소 (52) : 73-128, 2019
21 "국제정세에 따라 민감한 대처를"
22 "공산권에의 개방 전기에 선 한국외교"
23 "가깝고도 먼 「코스」 … 늦은 「스타트」 「통일」에의 구보 연구소설치와 그 과제"
24 박연희, "『청맥』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 한국문학연구소 (53) : 283-320, 2017
25 정문상, "‘中共’과 ‘中國’ 사이에서 - 1950~1970년대 대중매체상의 중국 관계 논설을 통해 보는 한국인의 중국 인식 -" 동북아역사재단 (33) : 57-90, 2011
26 Iriye, A, "U.S. Policy toward China: Testimony taken from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Hearing-1966" Little, Brown and Company 1966
27 Radchenko, S, "Two Suns in the Heavens: The Sino-Soviet Struggle for Supremacy, 1962-1967"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9
28 Amardeep, A, "The United States and the Sino-Soviet Split: The Key Role of Nuclear Superiority" 17 (17): 2004
29 Brzezinski Z, "The Soviet Bloc : Unity and Conflict"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30 L¨u thi,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31 Clemens, W, "The Arms Race and Sino-Soviet Relations" The Hoover Institution 1968
32 Zukok, V, "Inside the Kremlin's Cold War : From Stalin to Khrushchev"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33 Chang, G., "Friends and Enemie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the Soviet Union, 1948-1972"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34 "Document 149, Memorandum From Secretary of State Rusk to President Johnson, 14 May 1966,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Volume XXX, China"
35 "Document 124, Letter From Secretary of State Rusk to the Ambassador to Poland (Gronouski), 5 February 1966,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Volume XXX, China"
36 "A Proposal Concerning the General Lin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Foreign Languages Press 1963
37 "70년대 후반에야 통일문제 본격화"
38 "70년대 후반기론의 반론"
39 이주봉, "1960년대 정치세력의 통일논의 전개와 성격" 고려사학회 50 : 2007
40 강광식, "1960년대 대외관계과 남북문제" 백산서당 1999
한국어 계승 화자의 한국어 문장 내 재귀사 “자기”의 해석으로 본 언어 전이 현상 연구
북의 조국해방전쟁기 문학과한반도 문학사 재서술의 필요성
계승담론과 직업세습: <표창>과 <북방의 노을>을 통해 본 김정은 시기 두 공장 이야기
<태양 아래>에 나타난 모큐멘터리와 다큐멘터리 프레임의 비판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