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The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Inclusive Kindergarten and Demands o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seek to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inclusion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integrated kindergarten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mand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eigh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s attended to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were participated and interviewed.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would b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six sub-themes by the procedure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the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chosen inclusiv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ith the belief that inclusive institutions was good school for their children to avoid prejudice on disabilities. Second, the mothers were prefer to the early childhood inclusion settings providing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afe for their children. Third, the mother has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general schools to inclusive settings. Forth, the mothers felt that during children were attending to inclusive institutions, their children began to being recognized and accepted as friends from their peers. Fifth, the mothers had ambivalent feelings to teachers, guilty, appreciation, and disappointment. And lastly, the mothers have strong demands on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Specifically,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open-mindness toward disabilities and inclusive education. Further, the mothers asked for more frequent and comfortabl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seek to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inclusion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integrated kindergarten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mands on the inclusive educatio...

      This study was seek to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inclusion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integrated kindergarten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mand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eigh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s attended to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were participated and interviewed.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would b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six sub-themes by the procedure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the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chosen inclusiv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ith the belief that inclusive institutions was good school for their children to avoid prejudice on disabilities. Second, the mothers were prefer to the early childhood inclusion settings providing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afe for their children. Third, the mother has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general schools to inclusive settings. Forth, the mothers felt that during children were attending to inclusive institutions, their children began to being recognized and accepted as friends from their peers. Fifth, the mothers had ambivalent feelings to teachers, guilty, appreciation, and disappointment. And lastly, the mothers have strong demands on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Specifically,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open-mindness toward disabilities and inclusive education. Further, the mothers asked for more frequent and comfortabl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유치원통합교육으로의 전이과정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8명의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구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기관’에서 ‘일반유치원’으로의 전학 이유는 1) 다른 장애유아의 행동 모방에 대한 불안함 2) “장애” 라는 편견에서 벗어나기 3) ‘사회성’발달에 대한 기대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환경으로서 일반 유치원 선택기준으로는 1) ‘종교’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통합 유치원 2) 재원하는 유아가 적은 통합 유치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유치원으로의 전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1) 새로운 상황의 적응과정에서 장애유아의 어려움 2) 통합유치원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으로 밝혀졌다. 특히, 교사와의 관계에서 1) 장애유아의 능력에 한계를 규정짓는 교사 2) 장애유아에 대한 부모의 요청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교사 3) 장애유아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칭찬만 하는 교사와의 관계맺음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어머니들의 요구분석 결과, 1) 부모와 교사와의 열린 상담 2) 통합유치원 교육과 치료지원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지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유치원통합교육으로의 전이과정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유치원통합교육으로의 전이과정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8명의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구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기관’에서 ‘일반유치원’으로의 전학 이유는 1) 다른 장애유아의 행동 모방에 대한 불안함 2) “장애” 라는 편견에서 벗어나기 3) ‘사회성’발달에 대한 기대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환경으로서 일반 유치원 선택기준으로는 1) ‘종교’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통합 유치원 2) 재원하는 유아가 적은 통합 유치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유치원으로의 전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1) 새로운 상황의 적응과정에서 장애유아의 어려움 2) 통합유치원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으로 밝혀졌다. 특히, 교사와의 관계에서 1) 장애유아의 능력에 한계를 규정짓는 교사 2) 장애유아에 대한 부모의 요청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교사 3) 장애유아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칭찬만 하는 교사와의 관계맺음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어머니들의 요구분석 결과, 1) 부모와 교사와의 열린 상담 2) 통합유치원 교육과 치료지원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지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현아,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4 : 1-27, 2000

      2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3-49, 2010

      3 조윤경, "통합학급에서의 장애일반 유아의 행동형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와 학급생태학적 변인들에 대한 분석: 환경행동적 평가를 중심으로" 21 (21): 153-182, 2001

      4 김선해,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5 김선해,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6 박숙영, "통합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와 유아통합기관 전문가들의 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4 (4): 5-27, 2004

      7 조윤경, "통합기관의 전이과정에서 장애유아가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과 선결요건들에 대한 분석: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9 (9): 255-272, 2002

      8 원계선,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 지원 전략에 관한 고찰" 11 (11): 93-116, 2006

      9 오세철,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 인식의 통계학적 분석" 4 (4): 77-96, 2002

      10 오혜정, "통합교육 유형에 따른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27-49, 2006

      1 서현아,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4 : 1-27, 2000

      2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3-49, 2010

      3 조윤경, "통합학급에서의 장애일반 유아의 행동형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와 학급생태학적 변인들에 대한 분석: 환경행동적 평가를 중심으로" 21 (21): 153-182, 2001

      4 김선해,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5 김선해,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6 박숙영, "통합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와 유아통합기관 전문가들의 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4 (4): 5-27, 2004

      7 조윤경, "통합기관의 전이과정에서 장애유아가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과 선결요건들에 대한 분석: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9 (9): 255-272, 2002

      8 원계선,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 지원 전략에 관한 고찰" 11 (11): 93-116, 2006

      9 오세철,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 인식의 통계학적 분석" 4 (4): 77-96, 2002

      10 오혜정, "통합교육 유형에 따른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27-49, 2006

      11 정미선, "통합교육 유형별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 욕구 조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12 Spradley, J. P, "참여관찰방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8

      1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III" 문음사 2006

      14 강영심, "정신지체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대한 지능과 성격의 예측력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159-178, 2006

      15 교육인적자원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6 김지헌, "장애유아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27-44, 2008

      17 장영실,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58): 127-147, 2009

      18 심미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영향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1-21, 2005

      19 박현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 협력 방안 고찰" 31 (31): 37-52, 2000

      20 김경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91-319, 2006

      21 변찬석,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태도 연구" 9 (9): 25-37, 2003

      22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77-305, 2005

      23 오영옥,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분석"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3

      24 김미정,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에 대한경험의 의미와 요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01-328, 2007

      25 정갑순, "장애유아 부모의 장애아통합교육 및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07-132, 2005

      26 이소현,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19 (19): 47-62, 1996

      27 김미라,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201-216, 2006

      28 김용순, "장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현장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원 대학원 2008

      29 원종례,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47-81, 2007

      30 이소현,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300-325, 2003

      31 이명희,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3-40, 2007

      32 이소현, "장애 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27, 2007

      33 한민경, "장애 유아 통합 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43-73, 2009

      34 박소영, "장애 유아 어머니의 교육적 요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7

      35 하영례,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의 부모가 통합반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87-213, 2010

      36 김보연,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유치원 통합교육 환경 요구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209-232, 2007

      37 하영례,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501-533, 2010

      38 양진희,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관한 의미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9-175, 2005

      39 최경례,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이 통합교육 대상 초등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40 양진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71-201, 2008

      41 김영란, "생태학적 변인이 장애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77-99, 2009

      42 이승연,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필요여건과 효과 및 적응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103-133, 2007

      43 유민주, "부모교육 통합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143-169, 2009

      44 보건복지가족부, "보육통계" 보건복지가족부 2009

      45 정채옥, "보육교사들의 장애유아통합보육에 대한 태도와 영향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9-54, 2006

      46 오승인, "보육교사 임파워먼트와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67-197, 2008

      47 정계숙,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른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 연구" 10 : 211-237, 2001

      48 Demchak, M.,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case against segregation" 11 (11): 70-83, 1992

      49 McWilliam, R. A., "Working with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at Works for Special-Needs Learners)" The Guilford Press 2010

      50 Blackorby, J., "What makes a difference? Influences on outcom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es. Menlo Park, CA: SRI International"

      51 Alberto, P. A., "Using videotape to communicate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27 (27): 18-21, 1995

      52 Schepis, M. M., "Training preschool staff to promote cooperative participation among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classmates" 28 (28): 37-42, 2003

      53 Drinkwater, S., "The preschool checklist: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all) : 4-8, 1995

      54 Rafferty, Y., "The impact of inclusion on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e amo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69 (69): 347-384, 2003

      55 Bricker, D, "The challenge of inclusion" 19 (19): 179-194, 1995

      56 Stake, R.,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1995

      57 Palmer, D., "Taking sides: parent views on inclusion for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67 (67): 467-484, 2001

      58 Serry, M. E., "Seeing eye-to-eye: Are parents and professionals in agreement about the benefits of preschool inclusion" 21 (21): 268-278, 2000

      59 Jones, H. A., "Research-to-practice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30 (30): 57-61, 1997

      60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lications, Inc 1998

      61 Ramsey, R. G., "Multicultural Education: A Resource Book" Routledge Farmer 2003

      62 Eichinger, J., "Integration strategies for learner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Gottlieb & Leyser 26 (26): 18-21, 1981

      63 Rafferty, Y,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parative views of parents and practitioners" 1-16, 2000

      64 Stowitschek, J. J., "How early childhood educators got their groove back: Internships for best practices in inclusion" 32 (32): 20-28, 2000

      65 Turnbull, A. P, "Family, professional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artnership (3rd ed.)" Prentice-Hall, Inc 1997

      66 Turnbull, A. P, "Familie,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Positive outcomes through parnership and trust(5th Edition)" Prentice Hall 2005

      67 Cross, A. F., "Elements of successful inclusion for children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24 (24): 169-183, 2004

      68 Forlin, C., "Demographic Differences in Changing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Sentiment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69 Collins, B. C., "Come play!: Developing children social skills in an inclusive preschool" 29 (29): 16-21, 1996

      70 Visoky, A. M., "Can preschoolers be effective peer models?: An action research project" 33 : 68-73, 2000

      71 Rafferty, Y., "Benefits and risks of reverse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arents' perspectives" 24 (24): 266-286, 2001

      72 Guralnick, M. J, "An agenda for change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23 (23): 213-222, 2000

      73 Altman, R.,, "Academic and social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and nonintegrated settings" 184-193, 1994

      74 Purcell, M.L.,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preschool inclusion programs" 74 (74): 85-99, 2007

      75 Cavallaro, C. C., "A preliminary study of inclusive special education service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age children in California" 18 (18): 169-183, 1998

      76 Hundert, J., "A descriptive analysis of developmental and social gain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 segregated and inclusive preschools in southern Ontario" 13 (13): 49-65,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