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 평가 및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 18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18명이었다. 연구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음독 과제, 작동기억, 어휘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 과제에 있어 일반학생보다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 문장 따라 말하기, 마음읽기, 듣기이해력, 이야기글 읽기와 설명글이었다. 자폐집단 내 읽기이해력과제에서도 설명글이 이야기글보다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읽기이해력의 하위변인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읽기이해력은 어휘, 구문이해력, 마음읽기, 문장구성하기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읽기는 읽기유창성, 문장구성하기, 문제해결력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 평가 및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 평가 및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 18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18명이었다. 연구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음독 과제, 작동기억, 어휘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 과제에 있어 일반학생보다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 문장 따라 말하기, 마음읽기, 듣기이해력, 이야기글 읽기와 설명글이었다. 자폐집단 내 읽기이해력과제에서도 설명글이 이야기글보다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읽기이해력의 하위변인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읽기이해력은 어휘, 구문이해력, 마음읽기, 문장구성하기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읽기는 읽기유창성, 문장구성하기, 문제해결력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so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8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8 children who matched language developm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syntax understanding. They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understanding expository text than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ocabulary, syntax understanding, theory of mind reading,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ading fluency,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ich could ai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so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8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8 children who matched language developm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syntax understanding. They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understanding expository text than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ocabulary, syntax understanding, theory of mind reading,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ading fluency,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ich could ai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금주,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2 황진애, "학령기 아동이 읽기이해력 발달: 중심내용파악, 참조 및 추론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 (12): 412-428, 2007

      3 황민아, "학령기 아동의 문장 따라 말하기 발달" 미출판원자료 2008

      4 이찬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장구성하기"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47-167, 2013

      5 김희규, "특수교육 교사의 교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59-78, 2012

      6 서홍욱,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읽기 발달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 변인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8 송경희,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도덕적 이탈‧도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05-124, 2010

      9 최현옥, "청년기와 성인기의 마음읽기 능력의 발달적 변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89-105, 2012

      10 차희진, "정신지체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13-433, 2011

      1 곽금주,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2 황진애, "학령기 아동이 읽기이해력 발달: 중심내용파악, 참조 및 추론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 (12): 412-428, 2007

      3 황민아, "학령기 아동의 문장 따라 말하기 발달" 미출판원자료 2008

      4 이찬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장구성하기"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47-167, 2013

      5 김희규, "특수교육 교사의 교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59-78, 2012

      6 서홍욱,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읽기 발달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 변인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8 송경희,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도덕적 이탈‧도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05-124, 2010

      9 최현옥, "청년기와 성인기의 마음읽기 능력의 발달적 변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89-105, 2012

      10 차희진, "정신지체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13-433, 2011

      11 편도원, "자폐성 장애아동의 읽기이해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79-306, 2009

      12 우정한, "읽기장애학생의 언어능력과 읽기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63-183, 2010

      13 고선희, "읽기 폭 과제로 측정한 정상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303-312, 2009

      14 김은정, "유아의 어휘력과 이야기 이해능력이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83-404, 2010

      15 배소영, "언어문제해결력검사" 장애인 종합복지관 2000

      16 조선구, "스토리 맵을 활용한 동화 읽기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회상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1 (1): 1-19, 2009

      17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감사(REVT)" 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8 유의정,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 학지사 2008

      19 김주영,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모형 개발" 국립 한국복지대학교 2013

      20 김애화,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에 대한 예측 연구: 5세와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종단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27-453, 2010

      21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 읽기검사" 학지사 2002

      22 박경숙, "기초학력검사(KISE-BATT)" 국립특수교육원 2005

      23 배소영, "구문의미이해력" 장애인종합복지관 2004

      24 조은숙,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낱말재인 및 읽기이해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208-218, 2006

      25 최숲,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능력 및 관련요인" 한국자폐학회 12 (12): 1-17, 2012

      26 Astington, J., "Why language matters for theory of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7 Montogomery, J. W., "Verbal working memo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37 : 331-356, 2000

      28 O'Connor, N., "Two autistic savant readers" 24 (24): 501-515, 1994

      29 Hoover, W. A., "The simple view of reading" 2 : 127-160, 1990

      30 Houston, "The poor of story : What I have learned as a writer and teacher" 40 : 382-385, 1997

      31 Reed. P., "The effect of concurrent task load on stimulus over-selectivity" 35 (35): 601-614, 2005

      32 Wagner, M., "The achievements of youth with disabilities during secondary school" SRI International 2003

      33 Randi, J.,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 to read for meaning :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40 (40): 890-902, 2010

      34 Bos, C. S.,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Allyn & Bacon 1994

      35 Chall, J.,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McGraw-Hill, 1983 1983

      36 Gorgiou, G., "Revisiting the"simple view of reading"in a group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42 : 76-84, 2009

      37 Bender, W. N., "Read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orwin Press 2003

      38 Wolf, M., "Reading fluency and its intervention" 5 (5): 211-239, 2001

      39 Chiang, H.,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22 : 259-267, 2007

      40 Johnston, A., "Reading comprehension : Developmental processes,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terventions" 48 (48): 125-132, 2008

      41 Nation, K., "Patterns of read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6 : 911-919, 2006

      42 Fuchs, L. S., "Oral Reading fluency as an indicator of reading competence : A theoretical, empirical, and historical analysis" 5 : 239-256, 2001

      43 Menyuk, P., "Metalinguistic skills, oral language knowledge and reading" 17 : 75-87, 1997

      44 Dreyer, L. G., "Literacy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Views from Many Perspectives"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 Inc 169-175, 1992

      45 Attwood, T., "Learners on the autism spectrum: Preparing highly qulaified teachers" Autism Asperger 18-43, 2008

      46 Stein, N. L., "Knowledge and process in the acquisition of writing skills" 13 : 225-258, 1986

      47 Fuchs, D., "Is reading important in reading-readiness programs? A randomized field trial with teachers as program implementers" 93 : 251-267, 2001

      48 Thoma, C. A.,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ward full community inclusion" PRO-ED 16-29, 2005

      49 Le Sourn-Bissaoui, S., "Inference processing in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 ralationship with theory of mind abilities" 3 : 797-808, 2009

      50 Cain, K.,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ference of word meanings from context : the influence of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knowledge, and memory capacity" 96 (96): 671-681, 2004

      51 Newman, T. M., "Hyperlexia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34 : 115-127, 2007

      52 Nagy, W. E.,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ume II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9-284, 2000

      53 Rupley, W. H.,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al components contributing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2 : 143-158, 1998

      54 O' Connor, I. M., "Exploration of strategies for facilitat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high-functioni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34 (34): 115-127, 2004

      55 Tager-Flusberg, H., "Evaluating the Theory-of-Mind Hypothesis of Autism" 16 (16): 311-315, 2007

      56 Susan, R, C., "Effective literac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Baltimore" Paul H. Brookes 2007

      57 Snowling, M., "Comprehension in"hyperlexic"readers" 42 : 392-415, 1986

      58 Teunisse, J., "Cognitive styles in high-functioning adolescents with autistic disorder" 31 : 55-66, 2001

      59 Cain, K., "Children's comprehension problems in oral and written language: a cognitive perspective" Guilford 2007

      60 Lovett, M., "Can dyslexia be treated? Treatment-Specific effects and generalized treatment effects in dyslexic children's response to remediation" 37 : 90-121, 1989

      61 Mirenda, P., "Autism spectrum disorders: A transac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s" Paul H. Brooks 2000

      62 Frith, U., "Autism" Blackwell 2003

      63 Griswold, D. E., "Asperger syndrome and academic achievement" 17 (17): 94-102, 2002

      64 Myles, B. S., "Asperger syndrome" PRO-ED 1998

      65 Elis Weismert, S., "An examination of verbal working memory capacity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42 : 1249-1260, 1999

      66 Happe, F., "An advanced test of theory of mind : Understanding of story characters' thoughts and feelings by the able autistic, mentally handicapped, and normal children and adults" 24 : 129-154, 1994

      67 Minshew, N.,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 16 (16): 261-282,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