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파트 저층부 특화를 위한 외장 색채구성 특성분석 = (An) analysis of Exterior Color-Composition Properties for Specialization of the Low-floor part of the Apar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049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파트 주거는 기본적으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급증하는 주거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한정된 토지를 고밀도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파트 공급의 확대는 도시의 심각한 주거난을 해소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발생한 주택 난을 해결하기 위해 밀집형 공동주택이 불가피 했다. 또한 아파트는 규격화된 상품으로 주택의 대량생산과 대량공급을 가능하게 했다. 1990년대 후반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아파트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주택친설 업체들의 전략으펄서 아파트 공유공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다. 그리나 주택건설 업체들의 이윤 논리에 근거한 아파트 공유 공간에 대한 관심과 차별화 전략에만 한정되거나 왜곡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천안시의 건설된 대표적인 주거단지 저층부의 외장색채 구성특성을 분적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아파트 환경 이용 주체로서의 보행자 및 거주자에게 색채를 통한 미적 충간의 창출과 다양하고 적절한 환경 색채의 계획으로 공공적 역할과 기대효과를 가져보기 위해 아파트 단지 내 저층부 공간의 색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 관찰에서는 국내 건설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른 아파트 브랜드의 특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파트 저층부는 보행자 및 거주자 중심의 사적외부공간 즉 건물의 내부 공간에서 확장되어 내부영역과 외부영역간의 접근과 연결이 일어나는 중요한 장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색채 계획은 재료들의 조합으로 마감되는 디자인의 최종 산물인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천안시의 31개 단지의 아파트 저층부를 대상으로 사진 촬영과 육안 측색을 통해 색채 현황을 조사하고 색채 구성특성을 분석하였다.
      아파트의 저층부는 고층건축물의 하부로서 안정감 있고, 차분한 색채의 사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색채계획은 이루어지지 많았다. 아파트는 기업이 지향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고려한 색채 계획이 이루어 져야 하며, 보행자 및 거주자에게 풍요로운 삶의 질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색채의 효과적인 계획은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최근 공동주택 브랜드화 추세에 대응하여 아파트 구조의 형태나 유형에 따른 색채계획과 디자인방향과 재료의 선택이 통합된 디자인의 체계 내에서 구축되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인구는 최근 국내 아파트의 사례분석으로 각 기업이 추구하는 기업 또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앞으로 각 브랜드가 지향하는 이미지에 부합하는 아파트 저층부 환경색채계획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소비자의 브랜 아이덴티티 인식의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아파트 주거는 기본적으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급증하는 주거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한정된 토지를 고밀도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

      아파트 주거는 기본적으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급증하는 주거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한정된 토지를 고밀도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파트 공급의 확대는 도시의 심각한 주거난을 해소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발생한 주택 난을 해결하기 위해 밀집형 공동주택이 불가피 했다. 또한 아파트는 규격화된 상품으로 주택의 대량생산과 대량공급을 가능하게 했다. 1990년대 후반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아파트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주택친설 업체들의 전략으펄서 아파트 공유공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다. 그리나 주택건설 업체들의 이윤 논리에 근거한 아파트 공유 공간에 대한 관심과 차별화 전략에만 한정되거나 왜곡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천안시의 건설된 대표적인 주거단지 저층부의 외장색채 구성특성을 분적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아파트 환경 이용 주체로서의 보행자 및 거주자에게 색채를 통한 미적 충간의 창출과 다양하고 적절한 환경 색채의 계획으로 공공적 역할과 기대효과를 가져보기 위해 아파트 단지 내 저층부 공간의 색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 관찰에서는 국내 건설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른 아파트 브랜드의 특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파트 저층부는 보행자 및 거주자 중심의 사적외부공간 즉 건물의 내부 공간에서 확장되어 내부영역과 외부영역간의 접근과 연결이 일어나는 중요한 장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색채 계획은 재료들의 조합으로 마감되는 디자인의 최종 산물인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천안시의 31개 단지의 아파트 저층부를 대상으로 사진 촬영과 육안 측색을 통해 색채 현황을 조사하고 색채 구성특성을 분석하였다.
      아파트의 저층부는 고층건축물의 하부로서 안정감 있고, 차분한 색채의 사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색채계획은 이루어지지 많았다. 아파트는 기업이 지향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고려한 색채 계획이 이루어 져야 하며, 보행자 및 거주자에게 풍요로운 삶의 질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색채의 효과적인 계획은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최근 공동주택 브랜드화 추세에 대응하여 아파트 구조의 형태나 유형에 따른 색채계획과 디자인방향과 재료의 선택이 통합된 디자인의 체계 내에서 구축되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인구는 최근 국내 아파트의 사례분석으로 각 기업이 추구하는 기업 또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앞으로 각 브랜드가 지향하는 이미지에 부합하는 아파트 저층부 환경색채계획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소비자의 브랜 아이덴티티 인식의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artment housing is provided for using limited land densely in order to comply with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housing in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extension of apartment housing has contributed to resolving serious housing difficulties in cities, and dense apartment housing is indispensable for resolving housing difficulties due to rapid urbanization. Also, the apartment, as a standardized product, has made possible mass production and provision of housing. During the economical crisis in the 1990s, housing companies used extension of common space as a strategy for promotion of the apartment's values, which extended interest in common space of the apartment. However, the interest in and distinctiveness of the apartment's common space had been limited to or distorted by the housing companies' logic of profi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xterior color-composition properties of some representative apartment houses constructed in Seoul, Yongin in Gyeonggi-do, and Cheonan in Chungcheongnam-do. We have carried out this color analysis in order to provide creation of aesthetic space through colors to pedestrians and inhabitants as subject. in using apartment environments based on the analysis, and to investigate public roles and expected effect. of appropriate planning of environmental colors.
      From the examination of previous works and theories, we can find out that the tendency toward specialization of apartment brands becomes promin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environment. We can also confirm that the low part of an apartment is an important place in which access and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reas as it extends from the inner side of the architecture, i.e.. pedestrian- and inhabitant-oriented private external space. On the other hand, the planning of colors in accordance with materials is the last product of the design finished with combination of materials.
      With the low part. of the architecture in 31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Yongin in Gyeonggi-do, and Cheonan in Chungcheongnam-do as it. subject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color conditions with photographing and naked-eye measurement of colors and analyzed their color- compositions
      The low part. of the apartment housing, ad the low part. of multistory buildings, consist of stable and calm colors, whereas there is no color planning considering the company's identity. The color planning of apartment housing should be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company's brand image intention and should provide pedestrians and inhabitant. with rich quality of life. Also, we believe that effective color plann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any's brand identity. Thus, corresponding to the recent trend of brand making in apartment housing, the color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or types of apartments' structures, design direction and material selection are needed to be established in an integrated system of design.
      This study, as a case analysis of recent domestic apartment housing,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pany-- or brand-identity that housing companies pursue, and consumers' recognition of brand identity that housing companies want to get through planning of environmental colors of the low part of the apartment matching to images that each brand aims at.
      번역하기

      The apartment housing is provided for using limited land densely in order to comply with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housing in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extension of apartment housing has contributed to resolving ...

      The apartment housing is provided for using limited land densely in order to comply with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housing in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extension of apartment housing has contributed to resolving serious housing difficulties in cities, and dense apartment housing is indispensable for resolving housing difficulties due to rapid urbanization. Also, the apartment, as a standardized product, has made possible mass production and provision of housing. During the economical crisis in the 1990s, housing companies used extension of common space as a strategy for promotion of the apartment's values, which extended interest in common space of the apartment. However, the interest in and distinctiveness of the apartment's common space had been limited to or distorted by the housing companies' logic of profi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xterior color-composition properties of some representative apartment houses constructed in Seoul, Yongin in Gyeonggi-do, and Cheonan in Chungcheongnam-do. We have carried out this color analysis in order to provide creation of aesthetic space through colors to pedestrians and inhabitants as subject. in using apartment environments based on the analysis, and to investigate public roles and expected effect. of appropriate planning of environmental colors.
      From the examination of previous works and theories, we can find out that the tendency toward specialization of apartment brands becomes promin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environment. We can also confirm that the low part of an apartment is an important place in which access and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reas as it extends from the inner side of the architecture, i.e.. pedestrian- and inhabitant-oriented private external space. On the other hand, the planning of colors in accordance with materials is the last product of the design finished with combination of materials.
      With the low part. of the architecture in 31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Yongin in Gyeonggi-do, and Cheonan in Chungcheongnam-do as it. subject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color conditions with photographing and naked-eye measurement of colors and analyzed their color- compositions
      The low part. of the apartment housing, ad the low part. of multistory buildings, consist of stable and calm colors, whereas there is no color planning considering the company's identity. The color planning of apartment housing should be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company's brand image intention and should provide pedestrians and inhabitant. with rich quality of life. Also, we believe that effective color plann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any's brand identity. Thus, corresponding to the recent trend of brand making in apartment housing, the color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or types of apartments' structures, design direction and material selection are needed to be established in an integrated system of design.
      This study, as a case analysis of recent domestic apartment housing,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pany-- or brand-identity that housing companies pursue, and consumers' recognition of brand identity that housing companies want to get through planning of environmental colors of the low part of the apartment matching to images that each brand aims a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ⅶ
      • 그림목차 = ⅹ
      • 제1장 서론 = 1
      • 국문요약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ⅶ
      • 그림목차 = ⅹ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1.1 연구의 배경 = 1
      • 1.1.2 연구의 목적 = 3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1.2.1 연구의 범위 = 4
      • 1.2.2 연구의 방법 = 6
      • 제2장 선행 연구 및 이론적 고찰 = 8
      • 2.1 아파트 건설 시장 환경의 변화 = 8
      • 2.1.1 아파트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 = 8
      • 2.1.2 아파트 브랜드의 특화경향 = 9
      • 2.2 아파트 외장 특화 구성요소 및 유형화 = 11
      • 2.2.1 아파트 필로티의 구성요소 = 11
      • 2.2.2 아파트 주동의 구조적 요소 = 14
      • 2.3 아파트 외장 디자인 = 15
      • 2.3.1 아파트 외장 특화 구성재료 = 15
      • 1) 목재 = 15
      • 2) 석재
      • 3) 벽돌 = 18
      • 2.3.2 아파트 외장 특화 디자인 다양화 방법 = 20
      • 1) 디자인요소로서의 질감, 빛, 색채 = 21 2) 공간구성요소로서의 천장, 기둥, 벽, 바닥 = 24
      • 제3장 아파트 외장 특화 현활 분석 = 30
      • 3.1 조사 개요
      • 3.1.1 조사 대상 지역 및 단지 = 30
      • 3.1.2 조사 방법 = 33
      • 3.2 색채 현황 분석 = 34
      • 3.2.1 구성요소별 아파트 저층부 외장 색채 특성분석 = 34
      • 3.2.2 지역별 아파트 저층부 외장색채의 현황 = 36
      • 3.2.3 브랜드별 아파트 저층부 외장색채의 현황 = 38
      • 3.3 조사 대상의 색채 및 재료 특성 분석 = 43
      • 3.3.1 조사 대상별 특성 분석 = 43
      • 3.3.2 지역별 특성 분석 = 84
      • 3.3.3 브랜드별 특성 분석 = 88
      • 1) 브랜드 이미지 표현 어휘 = 88
      • 2) 브랜드별 특성 분석 = 90
      • 3.4 분석 종합 = 96
      • 제4장 아파트 외장 특화 이미지 평가 분석 = 98
      • 4.1 이미지 평가 조사 개요 = 98
      • 4.2 평가방법 = 98
      • 4.2.1 평가 어휘 추출 = 98
      • 4.2.2 피험자 구성 = 100
      • 4.2.3 평가방법 = 101
      • 4.3 분석 = 101
      • 4.3.1 분석결과 = 101
      • 4.3.2 재료별 분석결과 = 107
      • 4.3.3 브랜드별 분석결과 = 110
      • 4.4 분석 종합 = 114
      • 제5장 결론 = 119
      • 참고문헌 = 123
      • 〈설문조사〉 = 126
      • ABSTRACT = 1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