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가미백술 단독사용시 임상적 효능 및 유지력 평가 = The evaluation of clinical efficacy and longevity of home bleaching without combined application of In-office bl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7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15% 과산화 요소 (carbamide peroxide)를 포함한 Opalescence F를 이용한 자가 미백숨 (home bleaching) 을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후 12주까지 임상적 미백효과와 구강 환경에서 임상적 미...

      연구목적; 본 연구는 15% 과산화 요소 (carbamide peroxide)를 포함한 Opalescence F를 이용한 자가 미백숨 (home bleaching) 을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후 12주까지 임상적 미백효과와 구강 환경에서 임상적 미백 효과의 유지 정도를 비색 측정기 (Colorimeter) 와 비타 색 기준 (Vita shade guide)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8명의 336개의 전치를 대상으로 실험군은 하루 2시간씩 4주간 자가 미백술을 시행하고 대조군은 미백을 시행하지 않았다. 미백 전, 미백 직후(4주후), 8주, 12주에 색을 측정하여 변화를 기록하였다.
      결과: 4주의 미백술 시행 후 치아의 색 변화량 (△E)은 실험군에서 비색 측정기는 7.04 ± 2.85. 비타 색 기준은 7.58 ± 2.28로 모두 뚜렷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p <0.05).8주와 12주후의 색 변화량 (△E*)은 미백과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비색 측정기의 경우에는 8주에 2.71 ± 1.84. 12주에 2.19 ± 2.59로 나타났으며 비타 색 기준의 경우는 8주에 0.41 ± 1.21. 12주에 1.05 ± 1. 3 6으로 나타나, 비록 미백전과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지만 (p <0.05) 미백직후와 비교 시 서서히 색이 복원 (shade recover)되 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색의 복원은 미백치료 종료 후 초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변화를 보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가 줄어들며 안정되는 양상을 보였고 CIE Lab* 값은 미백 시행 기간동안 밝기 (L*값) 는 증가하였고 적-녹 축 (red-green축 . a*값) 은 감소하여 녹색계통으로 변화되며, 황-청 축 (yellow-blue축. b*값) 도 감소하여 청색계통으로 변화하였고 미백 시행을 종료한 후에는 미백 시행 이전방향으로 색 복원이 발생하였다. 비색 측정기는 비타 색 기준에 비해 보다안정적인 결과를보였으며 육안에 의존하는비타색 기준은큰변화는더 크게, 작은변화는더 작은색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자가 미백술 단독 사용시 색복원은 관찰되지만 12주후에 도 미백전과 비교시 통계학 상으로 유의성있게 그 효과가 유지되므로 (p <0.05) 임상적 효능이나 유지력은 인정되며 이를 통해 자가미백술 단독 사용으로도 그 의미는 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icacy and longevity of home bleaching. Materials andMethods: A total of 28 patients were divided in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palescence F: 15% carbamide peroxide) or control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icacy and longevity of home bleaching.
      Materials andMethods: A total of 28 patients were divided in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palescence F: 15% carbamide peroxide) or control group randomly. The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nstructed to wear individual trays applied with bleaching gel for 2 hours a day for 4 weeks. Any treatments weren't applied to the patients in control group. The color measurements of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 canines of upper and lower arch were recorded at base line, immediately after the finishment of treatmemt (4 weeks), 8 weeks and 12 weeks using Colorimeter (Chroma Meter, 2600d Konica Minolta co.) and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 (Vita Zahnfabrik).
      Results: A significantly stronger color change was observed for overall teeth samples in experimental group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t 4 weeks) compared to ones in control group (p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8 weeks or 12 weeks separately though color rebouncing phenomenon occurred as time went by (p <0.05).
      Conclusions: The clinical effecacyand longevity of home bleaching without combined application of in-office bleaching was observed through this experi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준, "생활치 미백제가 우치 법랑질의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 30 (30): 178-183, 2005

      2 Ronald E Goldstein, "Translation of Complete Dental Bleaching" Quintessence Pub 3-12, 1995

      3 Nathoo SA, "The chemistry and mechanisms of extrinsic and intrinsic discoloration" 128 : 6-10, 1997

      4 Chapple JA, "Restoring discolored teeth to normal" 19 : 449-, 1877

      5 Haywood VB, "Nightguard vital bleaching: how safe is it?" 22 : 515-523, 1991

      6 Haywood VB, "Nightguard vital bleaching" 20 : 173-176, 1989

      7 Ruyter IE,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 resin materials for crown and bridge veneers" 3 : 246-251, 1987

      8 Al Shethri S, "Clinical evaluation of two in-office bleaching products" 28 : 488-495, 2003

      9 Zekonis R, "Clinical evaluation of in-office and at-home bleaching treatment" 29 : 114-121, 2003

      10 O'Brien WJ, "A new, smallcolor- difference equation for dental shades" 69 : 1762-1764, 1990

      1 김동준, "생활치 미백제가 우치 법랑질의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 30 (30): 178-183, 2005

      2 Ronald E Goldstein, "Translation of Complete Dental Bleaching" Quintessence Pub 3-12, 1995

      3 Nathoo SA, "The chemistry and mechanisms of extrinsic and intrinsic discoloration" 128 : 6-10, 1997

      4 Chapple JA, "Restoring discolored teeth to normal" 19 : 449-, 1877

      5 Haywood VB, "Nightguard vital bleaching: how safe is it?" 22 : 515-523, 1991

      6 Haywood VB, "Nightguard vital bleaching" 20 : 173-176, 1989

      7 Ruyter IE,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 resin materials for crown and bridge veneers" 3 : 246-251, 1987

      8 Al Shethri S, "Clinical evaluation of two in-office bleaching products" 28 : 488-495, 2003

      9 Zekonis R, "Clinical evaluation of in-office and at-home bleaching treatment" 29 : 114-121, 2003

      10 O'Brien WJ, "A new, smallcolor- difference equation for dental shades" 69 : 1762-1764, 1990

      11 Nutting EB, "A new combination for bleaching teeth" 10 : 655-662, 1976

      12 Gross MD, "A colorimetric syudy of coffee and tea staining of four composite resins" 4 : 311-322, 1977

      13 박은숙, "2.9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부착형 미백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존학회 31 (31): 269-28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4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