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흰쥐의 수면 및 뇌파에 대한 카페인의 효과 = Effect of Caffeine on Sleep and EEG Spectra in R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8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카페인은 기저전뇌의 아데노신의 아데노신 수용체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각성을 유발하고 피질에서 서파 활동의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카페인은 용량-의존적인 각성상태의 증가를 초래...

      카페인은 기저전뇌의 아데노신의 아데노신 수용체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각성을 유발하고 피질에서 서파 활동의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카페인은 용량-의존적인 각성상태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카페인의 각성 효과는 아데노신의 뇌 조직 내 농도가 증가하여 수면 압력이 상승되어 있고 각성 중추의 활동이 감소된 상태의 각성인 반면, 정상 각성 상태는 아데노신의 농도가 낮아 수면 압력이 없이 각성 중추의 활동이 증가된 상태의 각성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각성의 서로 다른 상태가 피질 영역별 활동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는지 보기 위하여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활동의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더 나아가 수면박탈로 수면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의 각성과 비교하여 카페인과 아데노신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쥐 8마리를 마취하에 뇌파 및 근전도 전극을 전두엽, 두정엽, 그리고 목근육에 각각 설치하고, 수술에서 회복된 후 뇌파/근전도 기록을 시작하였다. 기록은 10:30부터 시작하여 17:30까지 수행되었으며 13:30경에 카페인 7.5, 15, 또는 30㎎/㎏을 복강내 주사한 후, 각각의 수면-각성 단계와 그 기간 및 변화 방향을 계산하였다.
      수면에 대한 카페인의 주된 효과는 활동각성의 증가와 수면의 감소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카페인 용량에 의존적이었다. 활동각성 기간의 증가는 그 단계의 유지기간의 증가로 야기되었고 서파수면의 감소는 서파수면 상태로 변화되는 빈도의 감소에 주로 야기되었다. 활동각성 단계에서 정적각성, 서파수면 단계로 변화가 감소되었고 그 반대로 변화는 증가되었다. 한편 수면박탈은 서파수면의 반동 증가를 초래하지 못했고 활동각성의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지 못했다. 그러나 역설수면 기간의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뇌파 스펙트럼 프로파일에서 수면박탈이 델타의 상대적 증가를 초래한 것을 제외하고는 수면박탈과 카페인 투여 모두 알파의 상대적 감소 및 감마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제 진폭은 전두피질에서 25㎐ 이하 대역에서 감소와 이상 대역에서 증가, 두정피질에서 35㎐ 이하 대역에서 감소와 이상 대역에서 증가를 야기하였다.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 쎄타, 알파의 감소가 있었고 감마의 증가가 있었다. 감마의 증가는 전두피질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페인에 의한 각성의 촉진은 수면-각성 상태의 천이를 한 방향으로 가속화함으로써 발생되며 그 방향은 수면박탈에 의한 방향과 반대이다. 따라서 수면박탈에서는 아데노신이 축적되어 수면 압력을 증가시키고, 수면 압력의 증가는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델타 대역의 감소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최소 용량 투여 후 포화되어 최대 효능을 보인다. 이것은 뇌파의 주파수별 파워의 측정이 수면기간이나 각성기간과 같은 행동적 지표보다 더 민감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사람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카페인 투여에 의한 동물에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ffeine induces arousal and reduces slow-wave activity of the cortex by blocking adenosine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Caffeine induces dose-dependent arousal. Therefore, caffeine-induced arousal may be a different state from an arousal in waki...

      Caffeine induces arousal and reduces slow-wave activity of the cortex by blocking adenosine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Caffeine induces dose-dependent arousal. Therefore, caffeine-induced arousal may be a different state from an arousal in waking subjects. So we compared EEG spectra between of a state produced by intraperiotoneal caffeine injection and of a state produced by 3-hour sleep deprivation.
      A total of 8 Sprague-Dawley male rats underwent EEG/EMG recording session from 10:30 to 17:30. They received intraperitoneal caffeine injection(7.5, 15, and 30mg/kg) at 13:30 and some cases received sleep deprivation from 10:30 to 13:30.
      Caffeine dose-dependently reduced the duration of slow-wave sleep and increased the duration of waking state. The increase of waking stat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maintanence of the state while the reduction of sleep state resulted from the decrease of transition from waking to sleep. Sleep deprivation did not show rebound increase of sleep but it decreased the period of paradoxical sleep. In spectral profile, sleep deprivation increased relative proportion of delta activity and both caffeine and sleep deprivation decreased relative proportion of power in alpha band and increased in gamma band. Caffeine decreased the absolute power of delta and alpha bands and increased absolute power of gamma band which was more prominent in the frontal cortex.
      In conclusion, caffeine promoted waking state by acceleration of transition to waking state from other states which was reverse in sleep deprivation. Therefore, adenosine may accumulate during sleep deprivation and mediate sleep pressure and caffeine may block its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The comparison of the spectral profiles indicates that caffeine-induced waking state may differ from normal awake state and from awake state after sleep depriv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opography of EG dy-namics after slep deprivation in mice" 84 : 1888-1893, 2000

      2 "The role and regulation of ade-nosin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24 : 31-55, 2001

      3 "The effect of 3-h and 6-h sleep deprivation on sleep and EEG spectra of the rat" 36 : 73-78, 1990

      4 "The Rat Brain in Stereotaxic Cordinates" 1986

      5 "Studies of gangliosides in diverse nerve cell cultures" 174 : 525-534, 1984

      6 "Strong rebound of wakefulness follows prostaglandin D2- or adenosine A2a receptor agonist-induced slep" 9 : 81-87, 2000

      7 "Stimulation of A1 adenosine receptors mimics the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692 : 79-85, 1995

      8 "Sleep-wake related discharge properties of basal forebrain neurons recorded with micropipettes in head-fixed rats" 92 : 1182-1198, 2004

      9 "Role of adenosine in slep in rats" 5 : 327-339, 1985

      10 "Restoration of brain energy metabolism as the function of sleep" 45 : 347-360, 1995

      1 "Topography of EG dy-namics after slep deprivation in mice" 84 : 1888-1893, 2000

      2 "The role and regulation of ade-nosin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24 : 31-55, 2001

      3 "The effect of 3-h and 6-h sleep deprivation on sleep and EEG spectra of the rat" 36 : 73-78, 1990

      4 "The Rat Brain in Stereotaxic Cordinates" 1986

      5 "Studies of gangliosides in diverse nerve cell cultures" 174 : 525-534, 1984

      6 "Strong rebound of wakefulness follows prostaglandin D2- or adenosine A2a receptor agonist-induced slep" 9 : 81-87, 2000

      7 "Stimulation of A1 adenosine receptors mimics the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692 : 79-85, 1995

      8 "Sleep-wake related discharge properties of basal forebrain neurons recorded with micropipettes in head-fixed rats" 92 : 1182-1198, 2004

      9 "Role of adenosine in slep in rats" 5 : 327-339, 1985

      10 "Restoration of brain energy metabolism as the function of sleep" 45 : 347-360, 1995

      11 "Relationship betwen intraindividual varia-tion of the saliva/plasma- and of the arteriovenous con-centration ratio as demonstr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cafeine" 28 : 279-284, 1990

      12 "Relationship betwen cafeine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saliva" 36 : 133-137, 1984

      13 "Relationship between hippocampal theta activity and running speed in the rat" 88 : 324-328, 1975

      14 "Regional diferences in the dyna-mics of the cortical EG in the rat after slep depriva-tion" 110 : 869-875, 1999

      15 "Promo-tion of sleep mediated by the A2a-adenosine receptor and possible involvement of this receptor in the slep induced by prostaglandin D2 in rats" 93 : 5980-5984, 1996

      16 "Preclinical data base of pharmaco-specific rat EEG fingerprints" 8 : 199-207, 2003

      17 "Pharmacokinetics of cafeine in caf-feine sensitive and non-sensitive volunters and in the - 267 - obese rat and the lean rat]" 37 : 341-349, 1993

      18 "Local energy depletion in the basal forebrain increases sleep" 17 : 863-869, 2003

      19 "Im-plications for the prefrontal cortex and psychiatric dis-order" 162 : 413-419, 1993

      20 "Extracel-lular adenosine in the human brain during sleep and slep deprivation:an in vivo microdialysis study" 29 : 455-461, 2006

      21 "Evidence for asynchronous development of sleep in cortical areas" 8 : 2557-2560, 1997

      22 "Electroencephalography in drug rese-arch" Gustav Fischer Verlag 1982

      23 "Effects of N6-cy-clopentyladenosine and cafeine on sleep regulation in the rat" 300 : 163-171, 1996

      24 "Effect of unilateral so-matosensory stimulation prior to sleep on the sleep EEG in humans" 3 : 159-164, 1994

      25 "Dyna-mics of the sleep EEG after an early evening nap:experimental data and simulations" 271 : 501-510, 1996

      26 "Dominant localization of prostaglan-din D receptors on arachnoid trabecular cells in mouse basal forebrain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regulation of non-rapid eye movement slep" 98 : 11674-11679, 2001

      27 "Disin-hibition of ventrolateral preoptic area slep-active neu-rons by adenosine:a new mechanism for sleep promotion" 123 : 451-457, 2004

      28 "Differential effects of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on MK-801-induced EEG changesin rats" 9 : 17-22, 2005

      29 "Caffeinereduces low-frequency delta activity in the human sleep EEG" 12 : 229-238, 1995

      30 "Cafeine in-take(200mg)in the morning affects human sleep and EEG power spectra at night" 675 : 67-74, 1995

      31 "Cafeine attenuates waking and sleep electroencephalographic markers of sleep home-ostasis in humans" 29 : 1933-1939, 2004

      32 "Cafeine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mechanisms of action,biochemical,me-tabolic and psychostimulant effects" 17 : 139-170, 1992

      33 "Brain topography of the human sleep EEG:antero-posterior shifts of spectral power" 8 : 123-127, 1996

      34 "Brain orga-nization and sleep function" 69 : 177-185, 1995

      35 "Adenosinergic inhibition of basal forebrain wakeful-ness-active neurons:a simultaneous unit recording and microdialysis study in freely behaving cats" 122 : 1107-1113, 2003

      36 "Adenosine:a me-diator of the sleep-inducing effects of prolonged wake-fulness" 276 : 1265-1268, 1997

      37 "Adenosine,adenosine receptors and the actions of cafeine" 76 : 93-101, 1995

      38 "Adenosine promotes burst activity in guinea-pig geniculocortical neurones through two diferent ionic mechanisms J Physiol 1992" 447 : 729-753, 1992

      39 "Adenosine analogs and sleep in rats" 228 : 268-274, 1984

      40 "Adenosine A2A,but not A1,receptors mediate the arousal effect of cafeine" 8 : 858-85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4 1.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