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과 관계 인식, 자기 효능감 및 소진감 간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Recognizing a Rela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f-Efficacy, and Burnout of Inclusive Class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8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과 관계 인식이 교사의 자기 효능감 및 소진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과 관계 인식이 교사의 자기 효능감 및 소진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척도는 Ang(2005)의 교사-학생 관계 인식 척도, Cheung(2006)의 교사 효능감 척도 그리고 Kristensen 등(2005)이 개발한 소진감 척도이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들의 장애아동과 관계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특히 통합교육 경력이많거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이수 시간이 많은 교사들이 긍정적인 관계 인식을 가지고 있다.둘째, 통합학급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통합교육 경력과 교직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그리고 특수교육관련 연수 이수 시간이 많은 교사들이 자기 효능감이 높다.셋째, 통합학급 교사들의 소진감에 있어서는 학생 관련 소진감이 개인적 또는 업무적 소진감에 비하여 높았으며, 통합교육 경력이 적은 교사들이 학생 관련 소진감 정도가 높다. 넷째,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과 관계인식은 자기 효능감 및 학생 관련 소진감에 의해설명될 수 있으며,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 관련 소진감이 낮을수록 긍정적이다. 이상의 결론에 따르면 효율적인 통합교육의 수행을 위해서는 통합학급 교사 자격 제도의 도입을 통한 전문성 신장에 노력하여야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self-efficacy and exhaustion 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o achieve such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self-efficacy and exhaustion 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o achieve such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98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the inclusive education.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Teacher-StudentRelation Recognition Scale by Ang(2005), Teacher Self-Efficacy Scale byCheung (2006), and Burnout Scale by Kristensen et al(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lation recognition of the teachers in inclusive class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ostly positive. Teachers who had long-term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or completed longer hours for special education training courses had positive recognition in particular. Second, a self-efficacy of the teachers in inclusive classes was mostly positive. The longer general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more positive the self-efficacy became. The hours of the special education training courses completed by teacher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Third, regarding burnout of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student-related burnou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ersonal and occupational burnout. Moreover the shorter the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the higher the student-related burnout became. Fourth, a recognition of the relation of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explained by the self-efficacy and student-related burnout. The relation recognition was positive as the self-efficacy became higher and the student-related burnout became low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자경, "특수학급교사의 탈진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21-334, 2006

      2 김상중,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태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정연,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학급 교사행동지각과 학교생활 적응"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4 박미경, "초등교사의 효능감이 ADHD아동의 인식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이선영,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초등 일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 방해 요인에 관한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편민아, "장애유아 통합학급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배재정,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효능감에 따른 교사 역할 지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8 현종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오원석,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비장애아동의 태도 변인 간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10 박제화,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김자경, "특수학급교사의 탈진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21-334, 2006

      2 김상중,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태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정연,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학급 교사행동지각과 학교생활 적응"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4 박미경, "초등교사의 효능감이 ADHD아동의 인식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이선영,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초등 일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 방해 요인에 관한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편민아, "장애유아 통합학급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배재정,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효능감에 따른 교사 역할 지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8 현종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오원석,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비장애아동의 태도 변인 간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10 박제화,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신혜정,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관계: ADHD 유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최지영,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태도에 관한 연구: 경험변인과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1

      13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14 방다미, "교사-학생간의 인간관계와 자아 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김대현, "교사 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 수용태도 조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Birch, S. H.,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35 : 61-79, 1997

      17 Cheung, H. Y., "The measurement of teacher efficacy: Hong Kong primary in-service teachers" 32 (32): 435-451, 2006

      18 Pianta, R. C., "The first two years of 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deflections in children’s classroom adjustment" 7 : 295-312, 1995

      19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 99-113, 1981

      20 Murray, C.,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with High Incidence Disabilities" 42 (42): 105-112, 2007

      21 Kristensen, T. S.,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A new tool for the assessment of burnout" 19 (19): 192-207, 2005

      22 Gibson, S.,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23 Yoon, J. S., "Teacher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tress, negative affect, and self-efficacy" 30 (30): 485-494, 2002

      24 Glenn, R. A., "Teacher attribution: Affect linkages as a function of student academic and behavior failure and teacher efficacy" Memphis State University 1993

      25 Gross, J.,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school improvement: Practical strategies for raising standards" David Fulton 2003

      26 Baker, J. A., "Schools as caring communities: A relational approach to school reform" 26 : 276-588, 1997

      27 Pianta, R. C.,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ssociations with classroom and home behavior" 12 : 379-393, 1991

      28 Cherniss, C.,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Praeger Publishers 1980

      29 Clough, R., "Integration and the support service" NFER 1991

      30 Bruno, J. E., "Inclusion-exclusion of special needs students in regular classroom settings: A psychosoci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teacher accommodation" 57 (57): 534-, 1996

      31 Noddings, N.,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needs in education" 35 : 147-159, 2005

      32 Vislie, L., "From integration to inclusion: Focusing global trends and changes in the western European societies" 18 (18): 17-35, 2003

      33 Talmor, R., "Factors relating to regular education teacher burnout in inclusive education" 20 (20): 215-229, 2005

      34 Ang, R. 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ventory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74 (74): 55-73, 2005

      35 Farber, B. A., "Crisis in education: Stress and burnout in the American teacher" Jossey-Bass 1991

      36 Murray, C.,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bonds with school: An investigation of patterns and correlates in middle childhood" 38 : 423-445, 2000

      37 Birch, S. H., "Children’s interpersonal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34 : 934-946, 1998

      38 Landrum, T. J.,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as effective by their peers: Implications for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and behavioral disorders" 3 : 147-164, 1992

      39 Horner-Johnson, W., "Attitudes of Japanes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46 : 365-378, 2002

      40 Boyle, G. J., "A structural model of the dimensions of teacher stress" 65 (65): 49-67, 1995

      41 Ward, J., "A question of attitudes: Integr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regular classrooms?" 21 : 34-39,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