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략중심 지도 모형인 자기조절 전략(SRSD :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모형을 활용해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과정과 이에 따른 읽기 부진아의 변화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자기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92044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초등국어교육전공 , 2013. 2
2013
한국어
읽기 부진아 ; 자기조절 전략 모형 ; SRSD ; 읽기 전략
372.6 판사항(22)
충청북도
ⅶ, 89 p. : 삽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략중심 지도 모형인 자기조절 전략(SRSD :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모형을 활용해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과정과 이에 따른 읽기 부진아의 변화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자기조...
본 연구는 전략중심 지도 모형인 자기조절 전략(SRSD :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모형을 활용해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과정과 이에 따른 읽기 부진아의 변화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읽기 부진아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교육적인 시사점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자기조절 전략 모형은 전략중심 지도 모형으로 그동안 학습장애아나 쓰기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연구자는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절차가 현시적인 이면서도 구체적이어야 하는 읽기 부진아 지도 원리와 일맥상통하다는 생각을 갖고 이를 읽기 부진아에게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읽기 부진아의 개념과 원인, 읽기 부진아의 일반적인 특성과 유형,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특징과 절차 그리고 유의점을 살펴보았다. 읽기 부진아의 선별을 위한 읽기 부진아의 개념으로 ‘읽기 교과의 기본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선수학습의 결핍이나 잘못된 전략의 사용 혹은 여타의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읽기 능력이 해당 학년의 평균에 도달하지 못하는 아동’으로 정하였다. 또한 ‘읽기 전략 적용 및 활용 능력의 부족’을 읽기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특징과 절차를 살펴보면서 읽기 부진아를 대상으로 전략을 지도할 때 지도의 방법이 현시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읽기 부진아 지도 원리와 일맥상통하고 있어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지도 모형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Ⅱ장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Ⅲ장 1절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제시한 읽기부진아의 지도 방향을 토대로 자기조절 전략 모형을 활용한 읽기 부진아 지도의 방향을 정했다. Ⅱ장과 Ⅲ장 1절의 논의를 바탕으로 자기조절 전략 모형을 활용한 읽기 부진아 지도 과정을 총 10차시 분량으로 설계하였다. 자기조절 전략 모형을 통한 읽기 부진아 지도 과정 연구를 위해 4학년 아동 4명(남2, 여2)을 선정하였고 지도할 읽기 전략으로 난이도와 실제 활용도를 고려해 질문하기 전략과 요약하기 전략 2가지를 선정하였다. 4명의 아동과 함께한 10차시 분량의 지도 과정을 아동과 교사의 발문, 아동의 활동 결과물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아동의 유의미한 변화를 함께 기록하였다. 각 전략의 지도가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를 통하여 아동의 읽기 전략 적용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지도 결과 대상 아동의 공통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아동들은 학습한 읽기 전략의 절차를 기억해 내고 이를 실제 읽기 과정에서 적용하였다. 개인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사전 검사에 비해 아동들의 읽기 전략 적용 능력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조절 전략(SRSD)모형을 활용한 읽기 부진아 지도 과정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 전략 모형을 활용하여 읽기 부진아를 지도할 때는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각 단계별로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고, 제시되는 과제는 단순하면서도 짧은 시간에 해결 할 수 있는 과제여야 한다. 둘째,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배경지식 개발’ 단계에서는 아동들의 실생활과 관련하여 아동들이 해당 읽기 전략을 학습하는데 스스로 필요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토의’ 단계에서는 일반 아동들의 토의 수준을 기대하기 보다는 교사 주도의 토의로 아동들의 반응을 점차 늘려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넷째,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암기’ 단계에서는 아동들이 읽기 전략의 절차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읽기 전략의 절차를 단순화해야 한다. 다섯째, 자기조절 전략 모형의 ‘독립적 수행’ 단계에서 아동들 스스로 활동 내용을 점검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향후 다른 다양한 읽기 전략을 자기조절 전략 모형을 활용해 지도하는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