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코딩교육 실제와 미래에 대한 고찰: 레고 놀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and Future of Coding Education for Korean Preschooler: Based on LEGO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6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 global issue, we sought the direction in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hould move forward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alent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Method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and domestic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was identified, the role of Lego play was consider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investigated.
      Results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domestic infant coding education is not an active subject for infants, and infant coding teaching tools are mainly focused on creative thinking, and teacher competence is important to induce infant interest.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Lego Play as a learner-centered play tool has the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very important function as a convergence infant coding education that develop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eam interaction and coopera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 global issue, we sought the direction in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hould move forward and suggested a new...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 global issue, we sought the direction in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hould move forward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alent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Method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and domestic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was identified, the role of Lego play was consider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investigated.
      Results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domestic infant coding education is not an active subject for infants, and infant coding teaching tools are mainly focused on creative thinking, and teacher competence is important to induce infant interest.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Lego Play as a learner-centered play tool has the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very important function as a convergence infant coding education that develop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eam interaction and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는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모색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인재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구성주의 관점에서 유아코딩교육 및 국내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레고 놀이가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고려하였으며, 향후 유아교육의 방향에 대해 규명해 보았다.
      결과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국내 유아코딩교육이 유아가 능동적인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있으며, 유아코딩 교구는 주로창의적 사고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고, 유아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결론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갖추는 즉, 팀별 상호작용과 협동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학습자 중심의 놀이 도구로서 ‘레고 놀이’가 융합형 유아코딩교육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는 점을 밝히는바이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는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모색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인재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는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모색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인재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구성주의 관점에서 유아코딩교육 및 국내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레고 놀이가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고려하였으며, 향후 유아교육의 방향에 대해 규명해 보았다.
      결과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국내 유아코딩교육이 유아가 능동적인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있으며, 유아코딩 교구는 주로창의적 사고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고, 유아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결론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갖추는 즉, 팀별 상호작용과 협동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학습자 중심의 놀이 도구로서 ‘레고 놀이’가 융합형 유아코딩교육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는 점을 밝히는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하는 인간" 연암서가 2015

      2 정현선 ; 김아미 ; 박유미 ; 전경란 ; 이지선 ; 노자연,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3 한지원 ; 최연철, "프로그래밍언어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실행과정에서 겪은 유아의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3-734, 2019

      4 정선아,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0 : 55-70, 2016

      5 최윤경, "코로나19 육아분야 대응체계 점검 및 돌봄 공백 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20

      6 김승인 ; 이가하, "코딩교육을 위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 연구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97-402, 2020

      7 박지웅, "초연결사회의 정치경제학적 기원과 성격" 한국사회경제학회 31 (31): 271-305, 2018

      8 민선희,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 증진을 위한 피지컬컴퓨팅 수업 개발 및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9 김은지,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의 활용을 위한 레고 위두, 레고 부스트, 레고 마인드스톰 비교" 23 (23): 73-75, 2019

      10 강현웅, "창의공학 교육을 위한 LEGO Mindstorms EV3 연구" 43 (43): 47-53, 2016

      1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하는 인간" 연암서가 2015

      2 정현선 ; 김아미 ; 박유미 ; 전경란 ; 이지선 ; 노자연,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3 한지원 ; 최연철, "프로그래밍언어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실행과정에서 겪은 유아의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3-734, 2019

      4 정선아,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0 : 55-70, 2016

      5 최윤경, "코로나19 육아분야 대응체계 점검 및 돌봄 공백 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20

      6 김승인 ; 이가하, "코딩교육을 위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 연구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97-402, 2020

      7 박지웅, "초연결사회의 정치경제학적 기원과 성격" 한국사회경제학회 31 (31): 271-305, 2018

      8 민선희,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 증진을 위한 피지컬컴퓨팅 수업 개발 및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9 김은지,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의 활용을 위한 레고 위두, 레고 부스트, 레고 마인드스톰 비교" 23 (23): 73-75, 2019

      10 강현웅, "창의공학 교육을 위한 LEGO Mindstorms EV3 연구" 43 (43): 47-53, 2016

      11 류지현 ; 김승인, "융합인재를 위한 유아 코딩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129-135, 2019

      12 LEGOFoundation.com, "유아코딩교육의 장점"

      13 정하나, "유아의 쌓기놀이에서 나타나는 정서표현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6 (16): 189-204, 2013

      14 천희영 ; 박소연 ; 성지현,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국내 최근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보육학회 19 (19): 177-196, 2019

      15 정원일, "유아 대상 언플러그드 컴퓨팅교육 사례" 1255-1259, 2019

      16 김혜원, "유아 STEAM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11-1234, 2020

      17 임현주, "우리아이 미래경쟁력 브레인스포츠" 다차원북스 2019

      18 서영상 ; 김응곤 ; 오연재, "영유아 사고력 발달증진을 위한 칼라블록 놀이코딩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1251-1258, 2016

      19 조현재, "어린이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참여에 대한연구" 4 : 55-69, 2003

      20 변현정, "어린이 ICT 리터러시에 대한 미디어 담론의 비판적 검토: 2000년대 이후 신문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91 : 118-150, 2018

      21 김지윤, "스파이크 프라임 메이커 교육 활용방안" 24 (24): 153-156, 2020

      22 정해운, "서울형 메이커교육,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다" 231 : 2018

      23 박선이 ; 박희숙, "블록 코딩기법을 이용한 유아 학습 보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26 (26): 41-48, 2022

      24 이재은 ; 김준수, "북유럽 국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 소프트웨어(SW) 교육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229-251, 2020

      25 Resnick, M., "미첼레스닉의 평생유치원" 다산사이언스 2018

      26 임부연,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발전연구소 27 (27): 59-78, 2017

      27 강인애 ; 김홍순,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50-267, 2017

      28 Papert, S., "마인드스톰-어린이, 컴퓨터, 배움, 그리고 강력한 아이디어" 인사이트 2020

      29 Minsky, M. L., "마음의 사회" 새로운 현재 2019

      30 오세은, "레고의 메타모포시스적 욕망과 창의적 이야기 연구: 미완의 세계를 구체화하기"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71-84, 2014

      31 황설, "레고를 이용한 실제 환경에서의 강화 학습 기반 스케줄링 알고리즘" 269-286, 2019

      32 정정숙 ; 남현욱, "레고를 이용한 공학적 발명 교육이 아동의 두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275-293, 2009

      33 유선화, "레고 위두를 이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34 Kristiansen, P.,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 방법론" 아르고나인미디어그룹 2015

      35 이용욱,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네트워크-공간 -" 인문콘텐츠학회 (50) : 115-135, 2018

      36 김재건, "듀이 경험론의 재고찰: 구성주의 관점에 관련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75-95, 2002

      37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27-341, 2014

      38 김송미,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 과학" 휴먼싸이언스 2010

      39 Sawaga, N., "나는 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북하우스 엘리 2016

      40 지은숙, "기술과 문화, 그 끝없는 밀당 : 로봇, 뮤지컬을 만나다" 11 (11): 3-9, 2014

      41 이현진, "그래픽과 멀티미디어 사고를 접목한 어린이 코딩교육 융합 커리큘럼 개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63-82, 2018

      42 하얀, "국내 유아교육 현장에서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 26 (26): 215-216, 2018

      43 이정민 ; 박현경, "국내 로봇활용 SW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2006년∼2016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90-205, 2017

      44 박혜란,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기반한 초등 로봇 교육 도구로서의 WeDo 2.0 활용가능성탐색" 21 (21): 179-182, 2017

      45 윤혜원,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스크래치주니어(ScratchJr)의 독특성 및 CTR 평가"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6 (6): 1-18, 2019

      46 장윤금,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289-306, 2017

      47 박철성 ; 양희경 ; 민경하, "강화학습을 이용한 레고 퍼즐 생성 기술 개발" 한국게임학회 20 (20): 15-24, 2020

      48 유은영, "가정에서의 미디어 경험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9 박혜란, "WeDo 2.0을 활용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자의 로봇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 22 (22): 33-34, 2018

      50 월드 로봇 올림피아드, "WRO"

      51 Yin-Khor, S., "Vygotsky, L. 1896-1934"

      52 Burman, J. T., "The Genetic Epistemology of Jean Piagetlocked 1896-1980"

      53 "ROboCup"

      54 Minsky, M. L., "Perceptrons : an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geometry" MIT Press 1970

      55 Kohtala, C., "Making"Making"critical : How sustainability is constituted in fab lab ideology" 20 (20): 375-394, 2017

      56 Fröbel, F, "Friedrich Fröbel 1782-1852 in seinen Briefen"

      57 레고 에듀케이션, "FLL"

      58 Saito, N., "Democratic Hope Through Higher Education" Philosophers on the University Press 2020

      59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49 (49): 33-35, 2006

      60 오은순 ; 김윤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 핵심역량과 유아교육 방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1011-1021, 2019

      61 교육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고시 개정⋅발령문"

      62 이경숙 ; 정석진 ; 김명식, "1-3세 영유아 영상물 과몰입이 일반적, 정서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117-132,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