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폰 이용 영향요인 : 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Use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Users : Applying the Andersen & Newman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0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digital divide among older adults at a time when the use of digital devices is spreading in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The factors that affect users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smartphone use were examined by applying the Andersen & Newman model. Among 3,966 users, the differences between smartphone users and non-users were verified.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between the smartphone user group and the non-user group. Additionally, age, socioeconomic status, number of friends and neighbor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ffected smartphone use. Based on the results, a mitigation plan addressing the digital divide among users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is presented. Moreover, a plan to provide and upgrade care services using smartphones suitable for digital environment changes is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the digital divide among older adults at a time when the use of digital devices is spreading in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The factors that affect users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smartphone use...

      This study focused on the digital divide among older adults at a time when the use of digital devices is spreading in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The factors that affect users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smartphone use were examined by applying the Andersen & Newman model. Among 3,966 users, the differences between smartphone users and non-users were verified.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between the smartphone user group and the non-user group. Additionally, age, socioeconomic status, number of friends and neighbor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ffected smartphone use. Based on the results, a mitigation plan addressing the digital divide among users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is presented. Moreover, a plan to provide and upgrade care services using smartphones suitable for digital environment changes i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돌봄 현장에 디지털 기기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고령자의 디지털정보격차 문제에 주목하고 이 중 경제적, 사회적 관계, 건강 등이 취약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폰 이용과 영향요인을 Andersen과 Newman 모델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3,966명의 IT기기 이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이용여부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들 중에 스마트폰 이용집단과 미이용 집단 간 성별, 연령 및 사회경제적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경제상황, 친구와 이웃의 수, 그리고주관적 건강인식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간의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디지털 환경변화에맞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돌봄서비스의 제공과 고도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돌봄 현장에 디지털 기기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고령자의 디지털정보격차 문제에 주목하고 이 중 경제적, 사회적 관계, 건강 등이 취약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본 연구는 노인돌봄 현장에 디지털 기기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고령자의 디지털정보격차 문제에 주목하고 이 중 경제적, 사회적 관계, 건강 등이 취약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폰 이용과 영향요인을 Andersen과 Newman 모델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3,966명의 IT기기 이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이용여부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들 중에 스마트폰 이용집단과 미이용 집단 간 성별, 연령 및 사회경제적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경제상황, 친구와 이웃의 수, 그리고주관적 건강인식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간의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디지털 환경변화에맞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돌봄서비스의 제공과 고도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초고령사회 디지털돌봄 대응전략"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2022

      2 이성은, "청력저하 노인의 보청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ndersen-Newman 모델을 기반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13-229, 2013

      3 안지원 ; 박경옥,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스마트폰 만족도 및 활용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540-549, 2019

      4 엄사랑 ; 신혜리 ; 김영선,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3 (23): 31-54, 2020

      5 김명일 ; 김영선 ; 엄사랑,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 활용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3 (23): 51-74, 2020

      6 엄사랑 ; 신혜리 ; 김영선,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3 (23): 173-204, 2020

      7 조주은, "정보 격차의 확대재생산: 노인의 스마트폰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211-242, 2014

      8 임정훈 ; 이혁준 ; 이지훈,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75-485, 2020

      9 송현애, "인터넷상 노인전용 사이트의 노년기 교육에의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18 : 165-184, 2002

      10 남석인 ; 한상윤 ; 김태현 ; 박유빈, "왜 여전히 나는 소외되고 있는가?: 노인 집단 내 디지털정보격차 심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42 (42): 731-753, 2022

      1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초고령사회 디지털돌봄 대응전략"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2022

      2 이성은, "청력저하 노인의 보청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ndersen-Newman 모델을 기반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13-229, 2013

      3 안지원 ; 박경옥,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스마트폰 만족도 및 활용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540-549, 2019

      4 엄사랑 ; 신혜리 ; 김영선,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3 (23): 31-54, 2020

      5 김명일 ; 김영선 ; 엄사랑,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 활용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3 (23): 51-74, 2020

      6 엄사랑 ; 신혜리 ; 김영선,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3 (23): 173-204, 2020

      7 조주은, "정보 격차의 확대재생산: 노인의 스마트폰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211-242, 2014

      8 임정훈 ; 이혁준 ; 이지훈,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75-485, 2020

      9 송현애, "인터넷상 노인전용 사이트의 노년기 교육에의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18 : 165-184, 2002

      10 남석인 ; 한상윤 ; 김태현 ; 박유빈, "왜 여전히 나는 소외되고 있는가?: 노인 집단 내 디지털정보격차 심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42 (42): 731-753, 2022

      11 이인정, "연소노인, 고령노인, 초고령노인의 우울 수준 및 우울 관련요인 비교:일상적인 근심의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8 : 1-24, 2017

      12 이동범, "스마트폰 사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층의 스마트폰 수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3 김우영,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더불어돌봄중심사회로 나아가기" 이화여자대학교 2022

      14 이복자 ; 명승환 ; 권용민 ; 박주용, "세대간 정보활용의 행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서울·경기·인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4 (14): 55-85, 2011

      15 손연기, "선진 고령사회를 위한 고령층정보격차해소 정책방안 고찰" 13 : 33-58, 2008

      16 김유진, "사례 파일 분석을 통해 살펴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 노인의 가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7 (77): 355-386, 2022

      17 정순둘 ; 김성원,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237-256, 2013

      18 오봉욱, "디지털 취약노인을 위한 노인복지관의 환경구축 방안 모색" K교육연구학회 6 (6): 33-52, 2021

      19 안미리,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노인 정보화교육과 사이버 문화의 확산: 세대간의 차이와 정보소외 경험을 중심으로" (20) : 147-172, 2001

      20 김미숙 ; 김연아,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노인복지관의 디지털 체험 공간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87-96, 2022

      21 백옥미 ; 홍석호 ; 이미영 ; 장은하,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1 (41): 108-127, 2021

      22 황현정 ; 황용석,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23 김세진 ; 곽윤희 ; 남석인, "노인의 정보기기 이용유형에 대한 연구 : 전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217-254, 2020

      24 하영미 ; 장현정, "노인의 신기술 사용에 대한 태도와 기술준비도가 신기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간호학회 17 (17): 34-41, 2022

      25 양승민 ; 임진섭, "노인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지행동모델(cognitive-behavioral model)을 기반으로 한 탐색연구" 지방자치연구소 36 (36): 207-230, 2019

      26 김명용 ; 전혜정,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343-370, 2017

      27 박지은 ; 이나윤, "노인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대한스트레스학회 30 (30): 37-44, 2022

      28 오설미 ; 최송식, "노인의 디지털 정보수준이 신기술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 자기효능감과 이용성과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6 (76): 137-170, 2021

      29 김학실 ; 심준섭,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30 이민홍, "노인맞춤돌봄서비스제공 현황 진단 및 품질 제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20

      31 순덕기,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울증의 매개효과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41 (41): 221-237, 2023

      32 이윤정,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만족도 영향요인" 인문사회 21 13 (13): 337-350, 2022

      33 김효선, "노인들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인식. Open Creativity: 함께하는 창조" 739-742, 2010

      34 이강진 ; 이설희,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 양상에 대한 연구: 70대 이상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93-216, 2018

      35 박창희 ; 장석준, "노년층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복지-스마트 기기 접근 및 이용 격차를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79-105, 2013

      36 장현용 ; 고준, "고령자의 스마트폰 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6 (26): 143-169, 2017

      37 최혜지 ; 최혜진, "고령자 정보격차의 또 다른 위험, 정치참여의 소외"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5) : 169-204, 2019

      38 Kroenke, K., "The PHQ-9 :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16 (16): 606-613, 2001

      39 Paul, P., "Standardizing the power of the Hosmer–Lemeshow goodness of fit test in large data sets" 32 (32): 67-80, 2013

      40 Andersen, R.,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95-124, 1973

      41 채주석, "Smartphone Usage Patterns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사회복지연구소 62 : 57-80, 2019

      42 정소연 ; 서홍란, "Korean Version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Factor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Validity Test of the Short Form (KCRES-SF) and the Revised Shorter Form (KCRES-S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216-247, 2018

      43 Cox, E. O., "Coping with late-life challenge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46 (46): 640-649, 2006

      44 정순둘 ; 이미우 ; 박채리 ; 임정숙, "Andersen과 Newman 모델을 활용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노인집단과 다른 연령집단간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93-218, 2016

      45 이기영 ; 최송식 ; 박현숙 ; 임현정, "Andersen과 Newman 모델에 근거한 농어촌 지역 노인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57-278, 2010

      46 WHO, "Age-Friendly World. Age-Friendly in Practice. ‘ACTIVA el +60por What’sApp"

      47 보건복지부, "2023년 보건복지부 예산 109조 1,830억 원 확정"

      48 보건복지부, "2023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49 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II" 보건복지부 2022

      50 보건복지부, "2021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90조1536억원 편성"

      5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52 이윤경,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