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부 정치’와 ‘외부 정치’ 사이의 풀뿌리 자치 1 : 경남 합천군의‘일해공원’명칭 선정 추진의 지체 과정을 중심으로 = Grassroots Autonomy Between ‘Internal Politics’ and ‘External Politics’ 1 : Focusing on the Delayed Process of Naming ‘Ilhae Park’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0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as a field of local politics, the 'county level' political process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conflict over the naming of 'Ilhae Park'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 the mayor(county head) failed to promote the name selection of the park - i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into the one axis of 'internal politics' and ‘external politics', and the other axis of election(party) politics, and social movement politics. This was the early period of local autonomy, and election politics and social movement politics at the level of county-level politics were still weak. But It was also a exceptional time when social movements were very active,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the influence of the Farmers Association and Women Farmers Association through the struggle against the Korea-US FTA, and the increasing possibility of legalization of the public servants union. Due to thes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conditions, the mayor’s promotion of selecting a name for Ilhae Park had to be delayed.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as a field of local politics, the 'county level' political process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conflict over the naming of 'Ilhae Park'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 the mayor(county head) failed to promote the name selection ...

      In this article, as a field of local politics, the 'county level' political process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conflict over the naming of 'Ilhae Park'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 the mayor(county head) failed to promote the name selection of the park - i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into the one axis of 'internal politics' and ‘external politics', and the other axis of election(party) politics, and social movement politics. This was the early period of local autonomy, and election politics and social movement politics at the level of county-level politics were still weak. But It was also a exceptional time when social movements were very active,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the influence of the Farmers Association and Women Farmers Association through the struggle against the Korea-US FTA, and the increasing possibility of legalization of the public servants union. Due to thes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conditions, the mayor’s promotion of selecting a name for Ilhae Park had to be delay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지방 정치의 현장으로서, 경남 합천군의 ‘일해공원’ 명칭 선정을 둘러싼 갈등의 배경이 되는 ‘군 단위’ 정치 과정-곧 군수가 공원 명칭 선정을 추진하다가 실패하게되는-을 ‘내부 정치’와 ‘외부 정치’, 정당 정치와 사회운동 정치로 각각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지방 자치의 초기 시기로서 여전히 기초단체 수준에서의 선거 정치와 사회운동 정치가 미약하였지만, 대통령 탄핵 역풍에 의해서 정당의 우세가 바뀌었고, ‘운동 정당’인 민주노동당이 약진하면서, 정당 정치와 사회운동 정치가 연동될 수 있었고, 한미FTA반대 투쟁에 의한 농민회와 여성농민회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공무원노동조합의 합법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사회운동이 활성화된 시기였다. 이러한 내부 정치와 외부 정치의조건으로 인해서 군수의 일해공원 명칭 선정 추진이 지체될 수밖에 없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지방 정치의 현장으로서, 경남 합천군의 ‘일해공원’ 명칭 선정을 둘러싼 갈등의 배경이 되는 ‘군 단위’ 정치 과정-곧 군수가 공원 명칭 선정을 추진하다가 실패하게되는-을...

      이 글에서는 지방 정치의 현장으로서, 경남 합천군의 ‘일해공원’ 명칭 선정을 둘러싼 갈등의 배경이 되는 ‘군 단위’ 정치 과정-곧 군수가 공원 명칭 선정을 추진하다가 실패하게되는-을 ‘내부 정치’와 ‘외부 정치’, 정당 정치와 사회운동 정치로 각각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지방 자치의 초기 시기로서 여전히 기초단체 수준에서의 선거 정치와 사회운동 정치가 미약하였지만, 대통령 탄핵 역풍에 의해서 정당의 우세가 바뀌었고, ‘운동 정당’인 민주노동당이 약진하면서, 정당 정치와 사회운동 정치가 연동될 수 있었고, 한미FTA반대 투쟁에 의한 농민회와 여성농민회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공무원노동조합의 합법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사회운동이 활성화된 시기였다. 이러한 내부 정치와 외부 정치의조건으로 인해서 군수의 일해공원 명칭 선정 추진이 지체될 수밖에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현, "합천여성농업인센터"

      2 김상준, "합천군 여성농업인센터 희망가족 한마당 잔치"

      3 정광효, "합천군 공무원 인사"

      4 이강호, "합천군 공무원 노조, 인사예고 반발"

      5 임현진, "한국의 사회운동과 진보정당"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6 정상호, "한국사회의 지역권력과 자영업 집단의 이익정치" 2 : 151-182, 2001

      7 박상필,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파악을 위한 연구모델의 개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9) : 465-505, 2013

      8 김수성 ; 김성문, "진보정당에 관한 신문기사의 경향성 분석 : 민주노동당의 국회진출 관련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61-93, 2005

      9 이혜숙,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세력화의 전망 : 경남여성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8 (28): 39-83, 2012

      10 이혜숙, "지역사회운동의 성격과 전개-경남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4) : 300-337, 2004

      1 김수현, "합천여성농업인센터"

      2 김상준, "합천군 여성농업인센터 희망가족 한마당 잔치"

      3 정광효, "합천군 공무원 인사"

      4 이강호, "합천군 공무원 노조, 인사예고 반발"

      5 임현진, "한국의 사회운동과 진보정당"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6 정상호, "한국사회의 지역권력과 자영업 집단의 이익정치" 2 : 151-182, 2001

      7 박상필,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파악을 위한 연구모델의 개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9) : 465-505, 2013

      8 김수성 ; 김성문, "진보정당에 관한 신문기사의 경향성 분석 : 민주노동당의 국회진출 관련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61-93, 2005

      9 이혜숙,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세력화의 전망 : 경남여성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8 (28): 39-83, 2012

      10 이혜숙, "지역사회운동의 성격과 전개-경남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4) : 300-337, 2004

      11 김희송, "지역사회운동과 시민정치 - 광주지역 6․2지방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18 (18): 109-131, 2010

      12 조효래, "지역노동운동 활성화를 위한 노동조합의 전략: 민주노총 경남본부의 사례" 한국산업노동학회 26 (26): 211-248, 2020

      13 박찬표, "지역 시민사회의 구조와 지역 민주주의: 목포시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6 (6): 133-165, 2007

      14 김중섭, "지방자치 발전과 인권조례 제정 운동: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5 (35): 119-144, 2011

      15 이광희, "지방 시민사회에 대한 비교사례 연구 - 구미시와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39-161, 2004

      16 문상석, "정당정치와 참여확대: 정치 참여확대를 위한 정치·사회적 기반 고찰"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33-264, 2011

      17 조명래, "자치시대 지역주의의 양상과 쟁점-신지역주의와 지역민주주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43-70, 2006

      18 안상수, "여성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여성농업인센터를 중심으로" 여성정책연구원 2013

      19 이영제, "시민운동의 정치참여와 정당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제3섹터연구소 4 (4): 247-275, 2006

      20 정대화, "시민운동의 관점에서 본 진보정당-민주노동당과 시민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4) : 41-64, 2004

      21 한맹, "세상의 모든 이야기들"

      22 민병기, "사회운동 기반의 정당 등장과 정치적 기회구조 : 민주노동당과 녹색당의 사례" 한국정치학회 51 (51): 207-231, 2017

      23 장상환, "민주적 사회주의와 민주노동당의 실천" 사회과학연구원 1 (1): 266-302, 2004

      24 진영재 ; 이성희, "민주노동당의 국회진출과 한국 정당의 정책차별화 가능성"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2 (12): 223-254, 2006

      25 서중석, "민주노동당은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역사문제연구소 (68) : 20-40, 2004

      26 강인순, "마산. 창원 지역 여성운동의 현황과 과제" 한국여성학회 23 (23): 177-213, 2007

      27 원재정, "대중투쟁의 길을 열다, ‘30만농민대항쟁"

      28 김도균, "대전지역 사회운동의 성장과 분화: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제3섹터연구소 14 (14): 165-212, 2016

      29 임영일, "노동운동과 노동정치-민주노동당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4) : 65-83, 2004

      30 조돈문, "노동계급 정치세력화와 민주노동당의 과제" 한국산업노동학회 10 (10): 1-33, 2004

      31 박준식, "공무원 노동조합의 형성 과정과 의식조사를 통해 본 공무원 노사관계의 특성과 정책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32 정광효, "경남 합천군"

      33 이정훈, "경남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출범"

      34 합천군청, "가회면 기관 및 단체현황"

      35 김황수진, "가장 자랑스러운 이름표, 여성농민 김미영"

      36 Anthony M. Orum, "政治社會學導論(第4版): 對政治實體的社會剖析" 上海人民出版社 2006

      37 이동진, "‘외부 정치’와 ‘내부 정치’ 사이의 풀뿌리 자치: 경남 합천군의 ‘일해공원’ 명칭선정 과정에서의 갈등을 사례로" 5.18연구소 22 (22): 205-244, 2022

      38 Albanese, Giuseppe, "Civic Capital and Development: Italy, 1951-2001" Bank of Italy 2014

      39 정용상, "4만 당원, 막강했던 ‘지상전’의 전사들"

      40 조현연, "2004년17대 총선과 민주노동장-쟁점과 과제" 비판사회학회 (64) : 12-40, 2004

      41 윤유빈, "'일해공원' 다음 수순은 '전두환기념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