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남은 쟁점과 과제: 교육과정 담당 교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 Remaining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a Teacher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0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이 발표됨으로써 고교학점제는 준비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의사결정과 실행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사안에 ...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이 발표됨으로써 고교학점제는 준비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의사결정과 실행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사안에 대한 현장 교원들의 의견을 총론 주요사항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확정·고시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남은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업무담당자 1,203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편제와 학점 체계, 학생평가 등의 측면에서 총론 주요사항과 현장 교원들의 의견이 대체로 일치하지만, 일부 간극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 교원들은 선택과목의 양적 확대보다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과목 편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지원 측면에서는 교원 수급, 학교 공간 및 시설 개선, 미이수 예방 및 지원 대책 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확정하는 단계에서 고려해야 보완점과 더불어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edit system in high schools has been pursued as a major curriculum reform agenda in Korea. As part of this effort, the Outline of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contain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released in November 2021. After undergoi...

      The credit system in high schools has been pursued as a major curriculum reform agenda in Korea. As part of this effort, the Outline of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contain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released in November 2021. After undergoing a complementary process, it shall be adopted as a new national curriculum in later 202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cently released outline with teachers’ perceptions of the guidelines for high schools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makes use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curriculum matters. The main findings support that, despite considerable accordance, a few significant discrepancies exist between the survey results and changes anticipated in the outline. It also turns out that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the effective organization of elective courses than simply expanding their numbers. They also reckon that the provision of instructors,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provision of support for underachievers are major challenges in implementing credit-based curricul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main issues and challeng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fore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is finally determin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