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회과 교재연구 강좌 시 3개학과 총 71명의 교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 절차는 크게 수업계획- 수업시연- 수업재시연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각 단계마다 보다 원활한 진행과 의사소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으로 LMS(Learning Mangement System)와 온라인망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시연을 통해 수업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 교수(수업분석자)와 현장수업전문가는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단계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주었으며,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의 과정에 모두 참여하여 피드백을 해주며, 동료평가, 양적 및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마다 반복적인 피드백과 훈련을 통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학생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사회과 수업설계(수업안 작성), 수업시연, 수업성찰 및 재시연 등을 통하며, 자신의 수업계획과 수업 행동에 대한 교수, 현장전문가, 동료예비교사들로부터 피드백 및 평가를 받으면서 예비교사들은 사회과적 특성을 감안한 수업개선을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둘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피드백에 있어서 적시성과 효과성이 뛰어나 사회과 현장수업에서 맞닥뜨리게 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습 경험을 공유함과 더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반복된 훈련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 대해서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5개정 사회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어 임용 2차시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얻은 예비교사는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예비교사는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lass of social studies and textbook research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worked. In this course, micro-teaching was conducted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better connect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leanup steps. Professors (class analysts) and field experts provided feedback regarding the steps in the micro-teach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all the micro-teaching processes, providing feedback, and conducted peer evaluation as well. The study provided direct experi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encountered in the field, which is excellent in timeliness and effectiveness. Micro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studie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d demonstrat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provided feedback on their teaching, which provided them with th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classe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to work to solve one’s problems through micro-teaching opportunities has strengthened the classroom empowerment of pre-service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초등사회과에서 마이크로티칭 절차와 준비과정
      • Ⅲ. 마이크로티칭 세부단계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Ⅳ. 결론 및 제언
      • 요약
      • Ⅰ. 서론
      • Ⅱ. 초등사회과에서 마이크로티칭 절차와 준비과정
      • Ⅲ. 마이크로티칭 세부단계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