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육전공 학생들의 하지길이 차이와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의 상관성 연구 : 모아레 근・체형 사진 촬영을 통해 = Research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Lower Limbs and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 Through Moire Muscle Somatotype Phot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0031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6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47 p. ; 26 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종성
        참고문헌 : p.42-44.

      • 소장기관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and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ysical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bod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e-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34 students aged over 19 of M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the body forming test (Inbody 3.0) was conducted on them, and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by TMM measuremen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less than 0.5cm and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And then video patterns were photographed and read by using Moire muscle somatotype tester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in the bodily development condition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MM measurement showed that the length of right lower limb was 98.0cm on the average, and the length of left lower limb was 97.8cmm, with the right limb being longer on the average.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was found to be 0.55cm.
      Second,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the higher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was found to be. This means that greater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causes greater unbalance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between the group of less than 0.5cm and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The score of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group of less than 0.5cm was average 70.36 which was higher than 50.26 of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This means that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is caused in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Fourth,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shoulder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examined as follows.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egs without shorter lower limb side, the direction of shoulders was also parallel. 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right side,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shoulder was also on the right side accounted for 84.2%, which was higher than 10.5%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left side. Whe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left side, the direction of the slope was all on the left side. This shows that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is mostly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slope.
      Fifth, the cases where the back was high in the contour measurem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ere examined as follows.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egs without shorter lower limb side, the direction of the higher back was parallel and 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right side, the higher direction of the back was on the right side accounted for 94.7% which was greater than 5.3%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left side.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left side, and the higher direction of the back was on the left side accounted for 91.7% which was greater than 8.3%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right side. This shows that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and the direction of the higher back are mostly the same.
      It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causes the unbalance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When such bodily unbalance continues to exist, a lot of diseases such as back pain, scoliosis and lordosis of the lumbar, and lumbago can be caused.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further researches on the correction exercise programs to correct the balance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and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and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and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ysical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and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ysical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bod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e-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34 students aged over 19 of M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the body forming test (Inbody 3.0) was conducted on them, and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by TMM measuremen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less than 0.5cm and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And then video patterns were photographed and read by using Moire muscle somatotype tester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in the bodily development condition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MM measurement showed that the length of right lower limb was 98.0cm on the average, and the length of left lower limb was 97.8cmm, with the right limb being longer on the average.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was found to be 0.55cm.
      Second,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the higher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was found to be. This means that greater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causes greater unbalance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between the group of less than 0.5cm and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The score of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group of less than 0.5cm was average 70.36 which was higher than 50.26 of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This means that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is caused in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Fourth,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shoulder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examined as follows.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egs without shorter lower limb side, the direction of shoulders was also parallel. 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right side,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shoulder was also on the right side accounted for 84.2%, which was higher than 10.5%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left side. Whe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left side, the direction of the slope was all on the left side. This shows that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is mostly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slope.
      Fifth, the cases where the back was high in the contour measurem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ere examined as follows.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egs without shorter lower limb side, the direction of the higher back was parallel and 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right side, the higher direction of the back was on the right side accounted for 94.7% which was greater than 5.3%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left side.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left side, and the higher direction of the back was on the left side accounted for 91.7% which was greater than 8.3%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right side. This shows that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and the direction of the higher back are mostly the same.
      It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causes the unbalance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When such bodily unbalance continues to exist, a lot of diseases such as back pain, scoliosis and lordosis of the lumbar, and lumbago can be caused.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further researches on the correction exercise programs to correct the balance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and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and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M대학 만 19세 이상의 남자 체육전공 학생들 34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조성 검사(Inbody 3.0)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TMM측정을 하여 양하지 길이의 차이를 분석한 후, 길이차이 정도에 따라 0.5cm미만 집단과 0.5cm이상 집단으로 분류했다. 그 후 모아레 근·체형 검사기를 사용하여 영상무늬를 촬영, 판독하고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 하지길이 차이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신체발달 상황 중 하지길이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MM측정 결과 오른쪽 하지 길이는 평균 98.0cm, 왼쪽 하지 길이는 평균 97.8cm로 오른쪽 다리가 평균적으로 좀 더 길었다. 하지 길이 차이의 평균은 0.55cm로 나타났다.
      둘째, 하지 길이 차이가 클수록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 높은 음(-)의 상관을 가지고있었다. 이것은 하지 길이 차이가 클수록 상지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더 크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하지 길이 차이 0.5 미만 집단과 0.5 이상 집단의 상지 근골격계 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 길이 차이 0.5cm 미만 집단의 상지 근골격계 균형 점수는 평균 70.36점으로 하지 길이 차이 0.5cm 이상 집단의 평균 50.26점보다 높아하지 길이 차이 0.5cm 미만 집단이 하지 길이 차이 0.5cm 이상 집단보다 상지근골격계 균형 점수가 높았다. 이것은 하지길이 0.5cm 이상 집단에 상지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어깨 기울기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하지측이 없이 두 다리 길이차이 없는 경우 어깨방향도 평행이었으며, 단하지측 방향이오른쪽인 경우 어깨 기울기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가 84.2%로 왼쪽인 경우 10.5%보다 많았다. 단하지측 방향이 왼쪽인 경우 어깨 기울기 방향은 모두 왼쪽이었다. 이는 단하지측 방향과 어깨 기울기 방향이 대부분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등고선 측정상 배면이 높은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하지측이 없이 두 다리 길이차이 없는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평행이었으며, 단하지측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가 94.7%로 왼쪽인 경우 5.3%보다 많았다. 단하지측 방향이 왼쪽인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왼쪽인 경우가 91.7%로 오른쪽인 경우 8.3%보다 많았다. 이는 단하지측 방향과 배면이 높은 방향이 대부분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로 하지길이 차이는 상지 근골격계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몸의 불균형이 지속될시 back pain, 요추의 측만증과 전만증, 요통 둥 많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양쪽 하지 길이 차이와 상지 근골격계 균형을 바로 잡기 위한 교정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M대학 만 19세 이상의 남자 체육전공 학생들 34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조성 검사(Inbody 3.0)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TMM측정을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M대학 만 19세 이상의 남자 체육전공 학생들 34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조성 검사(Inbody 3.0)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TMM측정을 하여 양하지 길이의 차이를 분석한 후, 길이차이 정도에 따라 0.5cm미만 집단과 0.5cm이상 집단으로 분류했다. 그 후 모아레 근·체형 검사기를 사용하여 영상무늬를 촬영, 판독하고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 하지길이 차이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신체발달 상황 중 하지길이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MM측정 결과 오른쪽 하지 길이는 평균 98.0cm, 왼쪽 하지 길이는 평균 97.8cm로 오른쪽 다리가 평균적으로 좀 더 길었다. 하지 길이 차이의 평균은 0.55cm로 나타났다.
      둘째, 하지 길이 차이가 클수록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 높은 음(-)의 상관을 가지고있었다. 이것은 하지 길이 차이가 클수록 상지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더 크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하지 길이 차이 0.5 미만 집단과 0.5 이상 집단의 상지 근골격계 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 길이 차이 0.5cm 미만 집단의 상지 근골격계 균형 점수는 평균 70.36점으로 하지 길이 차이 0.5cm 이상 집단의 평균 50.26점보다 높아하지 길이 차이 0.5cm 미만 집단이 하지 길이 차이 0.5cm 이상 집단보다 상지근골격계 균형 점수가 높았다. 이것은 하지길이 0.5cm 이상 집단에 상지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어깨 기울기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하지측이 없이 두 다리 길이차이 없는 경우 어깨방향도 평행이었으며, 단하지측 방향이오른쪽인 경우 어깨 기울기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가 84.2%로 왼쪽인 경우 10.5%보다 많았다. 단하지측 방향이 왼쪽인 경우 어깨 기울기 방향은 모두 왼쪽이었다. 이는 단하지측 방향과 어깨 기울기 방향이 대부분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등고선 측정상 배면이 높은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하지측이 없이 두 다리 길이차이 없는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평행이었으며, 단하지측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가 94.7%로 왼쪽인 경우 5.3%보다 많았다. 단하지측 방향이 왼쪽인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왼쪽인 경우가 91.7%로 오른쪽인 경우 8.3%보다 많았다. 이는 단하지측 방향과 배면이 높은 방향이 대부분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로 하지길이 차이는 상지 근골격계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몸의 불균형이 지속될시 back pain, 요추의 측만증과 전만증, 요통 둥 많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양쪽 하지 길이 차이와 상지 근골격계 균형을 바로 잡기 위한 교정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가설 3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가설 3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TMM(Tape Measure Method)측정 6
      • 1) 해부학적 불일치(Anatomical discrepancy) 6
      • 2) 기능적 불일치(Functional discrepancy) 6
      • 2. 모아레 근·체형 촬영 시스템 7
      • 1) 모아레의 이론적 근거 7
      • 2) 3차원 모아레 근·체형 촬영 시스템 8
      • 3. 모아레 근·체형 검사기를 이용한 영상무늬 촬영에 대한 선행연구 10
      • Ⅲ. 연구 방법 12
      • 1. 연구대상 12
      • 2. 연구방법 13
      • 3. 측정방법 및 도구 14
      • 1) 신체저성 검사(Inbody 3.0)측정방법 14
      • 2) 하지길이 차이의 측정방법(TMM 측정) 14
      • 3) 모아레 근·체형 검사기를 통한 측정방법 14
      • 4) 모아레 근·체형 검사기를 통한 영상무늬 촬영 및 판독 15
      • 4. 자료처리 24
      • Ⅳ. 연구 결과 25
      • 1. 학생들의 신체발달 상황 26
      • 2. 하지 길이 차이와 상지근육균형과의 상관분석 27
      • 3. 하지 길이 차이에 따른 상지근육균형 차이 분석 29
      • 4.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어깨 기울기 방향과의 상관분석 34
      • 5.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등고선 측정상 배면의 높은 방향과의 상관분석 35
      • Ⅴ. 논의 36
      • 1. 구조적 하지길이의 진닥에 대한 결과 36
      • 2. 하지 길이 차이와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의 상관 분석 결과 37
      • 3. 하지 길이 차이에 따른 상지 근골격계 균형 차이 분석 결과 38
      • 4.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어깨 기울기 방향과의 상관 분석 결과 39
      • Ⅵ. 결론 및 제언 40
      • 참고문헌 42
      • ABSTRACT 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