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생물학적 이론을 은유하여 생명진화과정을 시스템으로 설계한 에보 시스템(EVO System)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에 의해 디자인된 에보 시스템은 자연 도태(Natural Selection) 과정에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생물학적 이론을 은유하여 생명진화과정을 시스템으로 설계한 에보 시스템(EVO System)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에 의해 디자인된 에보 시스템은 자연 도태(Natural Selection) 과정에 따...
본 논문은 생물학적 이론을 은유하여 생명진화과정을 시스템으로 설계한 에보 시스템(EVO System)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에 의해 디자인된 에보 시스템은 자연 도태(Natural Selection) 과정에 따른 노화(aging) 현상이 시스템 설계에 적용되어 이 과정을 통해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물학적 이론을 컴퓨터 예술을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적용한 예술 장르를 진화생성예술(Evolutionary Generative Art)라 한다. 진화생성예술 연구자, 이론가에 따르면 과정 중심의 시스템 미학(System Esthetics)과 미학적 선택(Aesthetic Selection)의 조건이 충족될 때 진화생성예술은 미학적 가치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이 두 가지 특징이 충족될 경우 생물학적 이론이 적용된 시스템은 인간이 예측하지 못한 과정과 결과물의 예술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보 시스템을 시스템 미학과 미학적 선택을 중심으로 시스템 설계 원리, 구조, 그리고 특징에 대해 논하려 한다. 노화 이론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스템이 생성하는 선대 객체 이미지와 후대 객체 이미지의 개연성에 따라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지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물학적 이론을 은유한 진화생성예술의 콘텐츠로의 활용 가능성을 예측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biologically inspired image generated system known as the EVO System. The system is designed considering aging issues based on th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Biologically inspired computer art is classi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biologically inspired image generated system known as the EVO System. The system is designed considering aging issues based on th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Biologically inspired computer art is classified as evolutionary generative art related to art theory and aesthetics. System esthetics and aesthetic selection are terms often used in evolutionary generative art in relation to its contribution to the value of aesthetics. These values establish the system as an art machine which generates unexpected outputs. In this paper, the author discusses the system’s design principle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theories of system esthetics and aesthetic selection, suggesting a method of analyzing the results for further discussions of these cont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리, "예술과 세포 자동화 기계 : 세포 자동화 기계 이론에서 본 진화생성예술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445-454, 2011
2 Boden, M, A., "What is generative art?" 20 : 2009
3 Galanter, P., "What is Generative Art" 20 (20): 2009
4 McCormack, J., "The Application of L-Systems and Developmental Models to Computer Art, Animation, and Music Synthesis" Monash University 2010
5 Burnham, J., "System Esthetics"
6 Rhee, H., "Programmed Life" 2010
7 McCormack, J.,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3449" 2005
8 Bentley, P. J., "Digital Biology" Simon & Schuster 2001
9 Rhee, H., "Design of Cellular Automata : Focused on the Generation of Digital Ornament" Sogang University 2012
10 Schiff, J. L., "Cellular Automata: A Discrete View of the World" Wiley Inter-Science 2008
1 이혜리, "예술과 세포 자동화 기계 : 세포 자동화 기계 이론에서 본 진화생성예술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445-454, 2011
2 Boden, M, A., "What is generative art?" 20 : 2009
3 Galanter, P., "What is Generative Art" 20 (20): 2009
4 McCormack, J., "The Application of L-Systems and Developmental Models to Computer Art, Animation, and Music Synthesis" Monash University 2010
5 Burnham, J., "System Esthetics"
6 Rhee, H., "Programmed Life" 2010
7 McCormack, J.,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3449" 2005
8 Bentley, P. J., "Digital Biology" Simon & Schuster 2001
9 Rhee, H., "Design of Cellular Automata : Focused on the Generation of Digital Ornament" Sogang University 2012
10 Schiff, J. L., "Cellular Automata: A Discrete View of the World" Wiley Inter-Science 2008
11 Sims, K., "Artificial evolution for computer graphics" ACM Computer Graphics 1991
12 Dorin, A., "Artificial Life Art, Creativity and Techno-hybridization(editor’s introduction)" 261-270, 2015
13 Nake, F., "Algorithmic Art" 47 (47): 108-, 2014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각매체 비교연구 - 중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51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