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는 디지털 융․복합 환경의 발전 속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 또한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서책형 교과서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14834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학과초등영어교육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372.6521 판사항(22)
충청북도
vii, 125 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세계는 디지털 융․복합 환경의 발전 속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 또한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서책형 교과서의 ...
현재 세계는 디지털 융․복합 환경의 발전 속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 또한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 극복 및 교실수업 개선과 학생별 맞춤형 교수․학습을 위해 2012년 8월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를 교육현장에 보급하였다. 하지만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적합한 수업모형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교과의 특성과 교육목표 및 교육환경에 부합하는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투입하여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6학년 학생 390명과 초등학교 영어 교육 유경험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수업모형 개발 방향 설정 자료로 활용하였고,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분석,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의 e-Learning 교실에서 4학년 27(남16, 여11)명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투입하여 영어 학습능력에 미친 영향과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에 미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후 교사 수업일지 분석, 학생 수업 소감문 분석, 영어 교육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하여 최종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함 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보완하고 교실 수업 개선과 맞춤형 교수․학습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적용 결과 학습자의 영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할 경우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성공적으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과 전자칠판과 Tablet-PC 등의 디지털기술 기반 교실환경 구축 및 확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조적 학습활동을 하는 교실수업 구현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