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s for Promoting Tourism Using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 Focused on the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at Osan City with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34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관광은 지역의 이미지 제고, 지역주민의 정체성 확립, 자긍심 고취 및 지역 활성화의훌륭한 방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를 중심으로 오산시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역사문화경관 및 관광자원을 관광콘텐츠화하고, 최근의 관광트렌드를 분석하여 오산시의 지역관광 활성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관광, 둘째,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체험 및 교육적활용, 셋째, 대표관광자원의 랜드마크화 구축, 넷째, 축제 및 다양한 이벤트 및 관광상품 개발 등을 통한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관광은 지역의 이미지 제고, 지역주민의 정체성 확립, 자긍심 고취 및 지역 활성화의훌륭한 방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를 중심으로 오...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관광은 지역의 이미지 제고, 지역주민의 정체성 확립, 자긍심 고취 및 지역 활성화의훌륭한 방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를 중심으로 오산시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역사문화경관 및 관광자원을 관광콘텐츠화하고, 최근의 관광트렌드를 분석하여 오산시의 지역관광 활성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관광, 둘째,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체험 및 교육적활용, 셋째, 대표관광자원의 랜드마크화 구축, 넷째, 축제 및 다양한 이벤트 및 관광상품 개발 등을 통한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urism based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becomes a great plan for improving the image of a local communi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local residents, encouraging self-confidence, and promoting local tour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content a variety of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and tourism resources scattered in Osan city, especially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to analyze the recent trend of tourism, and to pursue local development through tourism promotion in Osan city. The plans to achieve them are as follows: First, Associated tourism of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with neighboring tourist attractions; Second, The experience and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Third, The establishment of landmarks with the use of typical tourism resources; Fourth, The historic and cultural hall operation, festivals, and various events related to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and development of tourism programs.
      번역하기

      The tourism based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becomes a great plan for improving the image of a local communi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local residents, encouraging self-confidence, and promoting local tour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tourism based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becomes a great plan for improving the image of a local communi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local residents, encouraging self-confidence, and promoting local tour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content a variety of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and tourism resources scattered in Osan city, especially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to analyze the recent trend of tourism, and to pursue local development through tourism promotion in Osan city. The plans to achieve them are as follows: First, Associated tourism of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with neighboring tourist attractions; Second, The experience and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Third, The establishment of landmarks with the use of typical tourism resources; Fourth, The historic and cultural hall operation, festivals, and various events related to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and development of tourism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영주, "화성궐리사의 활용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6

      2 강금해, "헬스투어리즘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 완주군 건강힐링체험 안덕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31 (31): 85-99, 2021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한국관광데이터랩"

      5 "한국관광공사 보도자료"

      6 "한국관광공사"

      7 이재호 ; 한승희, "포항 덕계구곡의 지형 특성 및 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32 (32): 163-173, 2022

      8 정종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축제 콘셉트 설정 연구" 한국융합학회 12 (12): 151-160, 2021

      9 이혁진 ; 신애경, "포르투갈 리스본의 역사문화경관 고찰"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87-98, 2015

      10 최화열 ; 이혁진, "충남 서산의 지역관광 특성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43-55, 2013

      1 신영주, "화성궐리사의 활용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6

      2 강금해, "헬스투어리즘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 완주군 건강힐링체험 안덕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31 (31): 85-99, 2021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한국관광데이터랩"

      5 "한국관광공사 보도자료"

      6 "한국관광공사"

      7 이재호 ; 한승희, "포항 덕계구곡의 지형 특성 및 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32 (32): 163-173, 2022

      8 정종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축제 콘셉트 설정 연구" 한국융합학회 12 (12): 151-160, 2021

      9 이혁진 ; 신애경, "포르투갈 리스본의 역사문화경관 고찰"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87-98, 2015

      10 최화열 ; 이혁진, "충남 서산의 지역관광 특성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43-55, 2013

      11 김용남 ; 권기창,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도시 조성 방안"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2 (22): 88-98, 2019

      12 임지혜, "지역 공동체 기반 문화유산 활용의 교육적 의미" 교육연구소 28 (28): 87-104, 2022

      13 정주연, "지속 가능한 역사도시경관의 보존과활용: 부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14 오일환 ; 이미, "중국 광저우(廣州)도시경관의 역사문화 관광자원"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1-13, 2015

      15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이읍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6 심승구, "임진왜란 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 전술적․전략적 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7 : 121-154, 2012

      17 성명희 ; 이혁진, "인도 델리의 역사문화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31 (31): 44-55, 2021

      18 오일환 ; 이준태, "우즈베키스탄 역사도시의 문화관광자원 경관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4 (24): 135-152, 2014

      19 "오산시청"

      20 남경식, "오산시 역사⋅문화와 지명유래" 오산학연구소 57-, 2023

      21 민웅기, "역사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에 내재된 포스트모던적 의미- 역사자원과 관광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44) : 229-262, 2012

      22 조홍정, "역사문화지구 건축경관 개선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7 (7): 25-34, 2005

      23 김규연, "역사문화경관의 계획 및 관리 요소로서 재료의 보존과 구분" 한국사진지리학회 30 (30): 78-89, 2020

      24 박지호 ; 이애란,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청주시 문화재를 사례로-"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13 (13): 21-30, 2019

      25 천겅 ; 이선호 ; 이영경, "역사문화경관 이미지가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 - 경주시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39 (39): 29-38, 2021

      26 신민지 ; 신지훈,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협정 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41 (41): 129-139, 2013

      27 한우식, "역사문화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역사경관보전제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28 김선태, "역사도시 나주읍성지역의 전통경관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8

      29 沈承姬, "역사경관과 지역 정체성(Regional Identity)에 관한 연구 : 전주시 한옥보존지구와 역사유적을 사례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30 노재현 ; 김화옥 ; 이정한 ; 박주성, "양주 노고산(老姑山) 독재동(篤才洞)의 장소성과 역사문화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33 (33): 97-109, 2015

      31 김선화 ; 이재근, "압구정의 역사경관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28-441, 2014

      32 공윤경, "스페인 톨레도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활용" 한국사진지리학회 31 (31): 1-14, 2021

      33 신애경 ; 이혁진, "세계유산으로서 스페인 세비야의 역사문화경관 고찰" 한국사진지리학회 30 (30): 19-30, 2020

      34 이진향 ; 김선화 ; 서우현 ; 이재근, "서울 서촌지역의 역사문화경관 보존 및 복원"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98-110, 2011

      35 오진숙,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경관자원의 가치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1

      36 박찬용 ; 김한배,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복원및 정비" 한국전통조경학회 21 (21): 47-61, 2003

      37 임정수, "문화재 보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오산시 독산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38 한상현, "문화유산의 역사경관 변화가 방문 수요와 경관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 (20): 149-168, 2020

      39 공윤경, "몰타의 역사문화자원과 도시경관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7 (27): 85-101, 2017

      40 嚴瑞浩, "도시환경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경관보존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982

      41 이문진 ; 한필규 ; 김학준,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경주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131-141, 2013

      42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43 최기수, "곡(曲)과 경(景)에 나타난 역사경관의 구조와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90

      44 강태호, "고도경주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보존 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64-75, 2010

      45 "Travel DAILY"

      46 한국관광공사, "2023 관광트렌드 전망 설문조사 및 데이터 종합분석"

      47 김포시민신문, "2023 관광트렌드 전망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