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현황 분석 및 시사점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 India. For this end, the author looks at the history an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fter that the author collects dissertations and studies dealing with India's Korean language educations and analyzes research themes of them. As a result, the author finds out that studies dealing with teaching methods cover the majority of the pool while curriculum, textbooks, learner’s language, contrastive analysis are the minor research area of the p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studies,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deal with vocabulary, grammar, speaking, writing and culture.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analysis regarding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The author also emphasize that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Indian language is needed. If researches regarding technical side of language education, non-language components, learner’s language, and teachers issues are conduc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 India. For this end, the author looks at the history an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fter that the author collects dissertations and studie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 India. For this end, the author looks at the history an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fter that the author collects dissertations and studies dealing with India's Korean language educations and analyzes research themes of them. As a result, the author finds out that studies dealing with teaching methods cover the majority of the pool while curriculum, textbooks, learner’s language, contrastive analysis are the minor research area of the p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studies,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deal with vocabulary, grammar, speaking, writing and culture.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analysis regarding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The author also emphasize that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Indian language is needed. If researches regarding technical side of language education, non-language components, learner’s language, and teachers issues are condu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태진, "힌디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힌디어-한국어친족 호칭어 교수-학습 방안" 국제언어문학회 (38) : 83-108, 2017

      2 스리잔 꾸마르, "힌디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힌디어 사동문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3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회 (155) : 39-78, 2010

      4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28, 2003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론 3" 한국문화사 2005

      6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7 한・인도 수교 30주년 기념위원회, "한국과 인도의 수교 30년" 신구문화사 2003

      8 Neerja Singh,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 라비 꾸마르,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10 김도영, "인도의 한국어교육" 3 : 315-328, 2005

      1 고태진, "힌디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힌디어-한국어친족 호칭어 교수-학습 방안" 국제언어문학회 (38) : 83-108, 2017

      2 스리잔 꾸마르, "힌디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힌디어 사동문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3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회 (155) : 39-78, 2010

      4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28, 2003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론 3" 한국문화사 2005

      6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7 한・인도 수교 30주년 기념위원회, "한국과 인도의 수교 30년" 신구문화사 2003

      8 Neerja Singh,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 라비 꾸마르,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10 김도영, "인도의 한국어교육" 3 : 315-328, 2005

      11 김재웅,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과제" 16 : 39-68, 2005

      12 미시라 하시 쿠마르, "인도 한국어학과의 한자・한자어 교육 현황과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 33 : 5-43, 2018

      13 김도영, "인도 한국어교육 과정개발과 방향" 53-63, 2015

      14 김윤주, "다문화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 (13): 87-112, 2017

      15 응아이테 랑칸쿱,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in India"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347-366, 2021

      16 니르자씽,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 study based on Indian students" 1-1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