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태진, "힌디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힌디어-한국어친족 호칭어 교수-학습 방안" 국제언어문학회 (38) : 83-108, 2017
2 스리잔 꾸마르, "힌디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힌디어 사동문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3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회 (155) : 39-78, 2010
4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28, 2003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론 3" 한국문화사 2005
6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7 한・인도 수교 30주년 기념위원회, "한국과 인도의 수교 30년" 신구문화사 2003
8 Neerja Singh,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 라비 꾸마르,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10 김도영, "인도의 한국어교육" 3 : 315-328, 2005
1 고태진, "힌디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힌디어-한국어친족 호칭어 교수-학습 방안" 국제언어문학회 (38) : 83-108, 2017
2 스리잔 꾸마르, "힌디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힌디어 사동문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3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회 (155) : 39-78, 2010
4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28, 2003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론 3" 한국문화사 2005
6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7 한・인도 수교 30주년 기념위원회, "한국과 인도의 수교 30년" 신구문화사 2003
8 Neerja Singh,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 라비 꾸마르,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10 김도영, "인도의 한국어교육" 3 : 315-328, 2005
11 김재웅,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과제" 16 : 39-68, 2005
12 미시라 하시 쿠마르, "인도 한국어학과의 한자・한자어 교육 현황과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 33 : 5-43, 2018
13 김도영, "인도 한국어교육 과정개발과 방향" 53-63, 2015
14 김윤주, "다문화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 (13): 87-112, 2017
15 응아이테 랑칸쿱,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in India"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347-366, 2021
16 니르자씽,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 study based on Indian students" 1-1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