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考는 『日本書紀』에 기록되어 있는 倭의 한반도 파병의 기사와 百濟에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인적 교류의 기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4~6세기에 이르는 百濟와 倭의 관계를 재조명해보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81858
2010
Korean
百濟 ; 야마토 倭 ; 日本書紀 ; 韓半島 파병 ; 인적 교류 ; ?支 ; Baekje(百濟) ; Yamato Wa ; Ilbonseogi(曰本書紀) ; dispatch of ancient Japanese troops ; exchanges of personnel ; Junji(?支) ; Konji(昆支) ; doctor ; Buddhist monk
KCI등재
학술저널
3-38(36쪽)
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本考는 『日本書紀』에 기록되어 있는 倭의 한반도 파병의 기사와 百濟에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인적 교류의 기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4~6세기에 이르는 百濟와 倭의 관계를 재조명해보고...
本考는 『日本書紀』에 기록되어 있는 倭의 한반도 파병의 기사와 百濟에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인적 교류의 기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4~6세기에 이르는 百濟와 倭의 관계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6세기 중엽 가야 패망 전까지 『日本書紀』내에 기록되어 있는 倭의 한반도 군사 파견기록을 분석하면, 모두 倭가 주체가 되어 활동한 것이 아니라 百濟가 주체가 되어 수행한 전쟁에 지원군의 형태로 왔던 것을 알 수 있다.
즉,『日本書紀』神功?應神紀의 한반도 출병 기사는 4세기말~5세기초 廣開土王碑文의 시기에 고구려와 백제의 전투 중에 百濟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되었던 것이며,6세기의 기록은 百濟가 伴破를 직접 지배하기 위한 전쟁,百濟가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해 신라, 왜와 공동전선을 폈던 전쟁,그리고 百濟가 신라와 벌였던 전쟁에 百濟의 지원군 형태로 倭軍의 파병이 이루어졌던 것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같은 기간 내에 있었던 百濟에서 일본열도로 간 인적 교류의 현황을 고찰하면 4세기말 이래 지속적으로 百濟의 王族과 貴族의 파견이 이루어진 정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倭의 군원이 파견될 때마다 百濟에서는 반대급부로 博士 및 僧侶 등 전문지식인의 파견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당시 百濟와 야마토 倭의 관계가 ?支?昆支?斯我君 등의 왜국 파견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국의 왕족 간 혼인에 의해 화친 및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百濟가 선진문물을 전해주고 일본의 군사력 제공이라는 용병관계가 성립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이는 6세기만이 아니라 아직기와 왕인을 통한 4세기말부터 지속된 百濟와 倭의 교류방식 이었다.
이상과 같이 『日本書紀』를 분석하여 보면 4~6세기에 있었던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관계는 백제와 야마토 정권의 인적 교류에 의해 실행되었던 것이며,神功에 의한 삼한정벌의 기사 및 4세기말 이래 한반도에 등장하는 倭人의 활동은 백제가 수행하는 전쟁에 따르는 지원군 형태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Baekje(百濟) and Wa(倭) in the 4~6th century by a study on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and the exchanges of personnel which moved t...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Baekje(百濟) and Wa(倭) in the 4~6th century by a study on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and the exchanges of personnel which mov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Baekje written in Ilbonseogi(日本書紀).
First of all, as we analyzed documents that described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in the 4~6th century written in Ilbonseogi(曰本書紀), we could understand that Japan backed up military aid to Baekje(百濟) instead of the Japan’s leading role under the battles which was performed by Baekje(百濟). In other words, we could find out that the dispatch of ancient Japanese(倭人) troops written in Jinku-ki(神功紀) and Oojin-ki(應神紀) of Ilbonseogi(曰本書紀) as well as written about the 6th century in Ilbonseogi(日本書紀) was support of the Japanese army for Baekje (百濟) during the war between Baekje (百濟) and Koguryo (局句麗) and in the 6th century.
Meanwhile, as we analyzed documents on the exchanges of personnel which mov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Baekje at the same time,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royal family and nobles were dispatched continuously to Japan since the end of 4th century and that during Japanese military aids professional intellectuals including doctors and Buddhist monks etc. were dispatched from Baekje.
Therefore, we could observ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Yamato Wa was their cultural exchanges by marriage between the two royal families and that the transmission of advanced civilization from Baekje to Yamato Wa corresponds to support of Japanese military power to Baekje in the 4~6th century.
As the above-mentioned study on the Ilbonseogi(曰本書紀), we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n 4-6th century was their cultural and military exchanges between Baekje(百濟) and Yamato Wa, and the dispatch of the Japanesearmy to Baekje(百濟) was distorted by the argument such as the Japan’s conques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三轉征伐) written in Jinku-ki(神功紀) of Ilbonseogi(曰本書紀) and theory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ruled by Yamato govern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千寬宇, "「復元加耶史」, 加耶史硏究" 一潮閣 1991
2 今西龍, "「加羅疆域考」,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1970
3 이재석, "「6세기 야마토정권의 대한정책」, 임나문제와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집3)" 경인문화사 2005
4 연민수, "백제의 대왜외교와 왕족"
5 연민수,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35-39, 1998
6 홍성화, "石上神宮 七支刀에 대한 一考察" 한일관계사학회 (34) : 3-39, 2009
7 金鉉球, "百濟의 加耶進出에 관한 一考察" 70 : 2000
8 三品彰英, "日鮮神話傳說の硏究" 平凡社 1972
9 三品彰英,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 上" 吉川弘文館 1962
1 千寬宇, "「復元加耶史」, 加耶史硏究" 一潮閣 1991
2 今西龍, "「加羅疆域考」,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1970
3 이재석, "「6세기 야마토정권의 대한정책」, 임나문제와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집3)" 경인문화사 2005
4 연민수, "백제의 대왜외교와 왕족"
5 연민수,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35-39, 1998
6 홍성화, "石上神宮 七支刀에 대한 一考察" 한일관계사학회 (34) : 3-39, 2009
7 金鉉球, "百濟의 加耶進出에 관한 一考察" 70 : 2000
8 三品彰英, "日鮮神話傳說の硏究" 平凡社 1972
9 三品彰英,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 上" 吉川弘文館 1962
10 徐甫京, "日本書紀 한반도 관계 기사 검토" 고려대학교 2004
11 "日本古典文學大系 日本書紀 上" 岩波書店 410-, 1993
12 池內宏, "日本上代史の一硏究" 中央公論美術出版 78-, 1972
13 홍성화, "廣開土王碑文을 통한 『日本書紀』 神功, 應神紀의 분석" 일본연구센터 (13) : 489-514, 2010
14 金鉉球, "大和政權の對外關係硏究" 吉川弘文館 1985
15 田中俊明, "大加耶連盟の興亡と‘任那’" 吉川弘文館 12-, 1992
16 金善民, "古代의 博士" 12 : 8-10, 2000
17 坂元義種, "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吉川弘文館 2-15, 1978
18 羅幸柱, "古代朝〮日關係における質の意味" 134 : 1996
19 津田左右吉, "古事記及日本書紀の研究" 岩波書店 1924
20 金泰植, "加耶聯盟史" 一潮閣 125-, 1993
21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56
22 金鉉球, "任那日本府硏究" 一潮閣 1993
23 "6세기 한일관계-교류의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2005
24 박현숙, "6세기 백제와 일본의 문물 교류와 그 배경" 민족문화연구원 (45) : 387-412, 2006
25 김현구, "5세기 한반도 남부에서 활약한 倭의 實體" 일본사학회 (29) : 5-32, 2009
26 김현구, "2002년 학술회의 : 백제문화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 백제와 일본간의 왕실외교 - 5세기를 중심으로 -" 백제문화연구소 (31) : 31-40,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