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수영 시와 번역의 비인칭성: 말라르메ㆍ블랑쇼와의 비교를 통하여 = Impersonality of Kim Soo-young’s Poetry and Transl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Mallarmé and Blancho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56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수영이 “내 시의 비밀은 내 번역을 보면 안다”고 말했을 때의 번역은 ‘번역 불가능성으로서의 번역’을 가리킨다. 김수영은 번역을 통해서 말하는 자가 사라지고 언어의 ‘비인칭성’...

      김수영이 “내 시의 비밀은 내 번역을 보면 안다”고 말했을 때의 번역은 ‘번역 불가능성으로서의 번역’을 가리킨다. 김수영은 번역을 통해서 말하는 자가 사라지고 언어의 ‘비인칭성’이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인칭성은 김수영이 ‘너무 마음에 들었다’고 말한 블랑쇼의 책 『불꽃의 문학焰の文学』(『불의 몫La part du feu』의 일역본)에서 블랑쇼가 그의 번역론을 전개하며 주요하게 언급하는 단어로서, 블랑쇼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던 말라르메로부터 기인한 개념이다. 김수영과 말라르메는 언어가 본질적으로 무의미를 향해간다고 여기면서도 시어를 언어의 의미 작용과 대립되는 것으로 여기지 않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두 시인은 비인칭성으로 나아가는 수동성으로의 개방을 통해 전통적인 고립된 1인칭 주체를 넘어서는 ‘의미/무의미’-존재의 운동에 주목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Kim Soo-young said, “You can know the secret of my poetry by looking at my translation,” the translation refers to “translation as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Kim Soo-young showed that the impersonal language can be acquired, in which ...

      When Kim Soo-young said, “You can know the secret of my poetry by looking at my translation,” the translation refers to “translation as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Kim Soo-young showed that the impersonal language can be acquired, in which the speaker disappears and the language has subjectivity through translation. ‘Impersonality’ is a key element in Blanchot’s translation theory in his book The Literature of Flames 焰の文学 (Japanese translation of La part du feu), in which Kim Soo-Young said ‘I liked it so much’ and is a concept derived from Mallarmé, which inspired Blanchot a lot. Kim Soo-young and Mallarmé have in common that they do not regard the language of poetry as opposed to the signification of language, although they consider language to be essentially meaningless. In addition, the two poets paid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meaning/meaningless’-existence beyond the traditional isolated first-person subject through the openness to passivity toward imperson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윤정, "책을 통한 시인과 화가의 만남 - 말라르메와 마네의 『까마귀』, 『목신의 오후』 공동창작과정과 의미" 불어문화권연구소 (26) : 41-75, 2016

      2 김수영, "전집2" 민음사 2020

      3 발터 벤야민,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외" 도서출판 길 2008

      4 스테판 말라르메, "시집" 문학과지성사 2005

      5 도윤정, "시와 음악 간의 새로운 관계 - 말라르메에게 있어 시 창작원리로서의 음악" 비교문화연구소 44 : 211-237, 2016

      6 박수연, "세계문학, 번역, 미메시스의 시-번역자로서의 김수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2 (22): 103-128, 2018

      7 김주연, "릴케" 문학과지성사 1981

      8 Blanchot, Maurice, "焰の文学" 紀伊國屋書店 1958

      9 박연희, "『청맥』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 한국문학연구소 (53) : 283-320, 2017

      10 Blanchot, Maurice, "The Work of Fire" Stanford 1995

      1 도윤정, "책을 통한 시인과 화가의 만남 - 말라르메와 마네의 『까마귀』, 『목신의 오후』 공동창작과정과 의미" 불어문화권연구소 (26) : 41-75, 2016

      2 김수영, "전집2" 민음사 2020

      3 발터 벤야민,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외" 도서출판 길 2008

      4 스테판 말라르메, "시집" 문학과지성사 2005

      5 도윤정, "시와 음악 간의 새로운 관계 - 말라르메에게 있어 시 창작원리로서의 음악" 비교문화연구소 44 : 211-237, 2016

      6 박수연, "세계문학, 번역, 미메시스의 시-번역자로서의 김수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2 (22): 103-128, 2018

      7 김주연, "릴케" 문학과지성사 1981

      8 Blanchot, Maurice, "焰の文学" 紀伊國屋書店 1958

      9 박연희, "『청맥』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 한국문학연구소 (53) : 283-320, 2017

      10 Blanchot, Maurice, "The Work of Fire" Stanford 1995

      11 Mallarmé, Stéphane, "OEuvres complètes" Gallimard 1974

      12 Blanchot, Maurice, "L’amitié" Gallimard 1971

      13 Blanchot, Maurice, "La part du feu" Gallimard 1999

      14 Mallarmé, Stéphane, "Correspondance 1854-1898 [ebook]" Gallimard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3 0.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