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02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단독가구가 우리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정간편식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과 관련하여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

      최근 단독가구가 우리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정간편식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과 관련하여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제품 개발 및 소비자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다인가구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원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성인 가구원 5830명 자료를 사용하여 교차타당성 검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단독가구의 경우, 가정간편식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인가구의 경우에는 가정간편식의 맛 만족도와 가격 만족도,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변화의 원인을 다인가구와 비교하여 제시하고, 단독가구의 식생활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가정간편식 개발 및 소비자 교육․지원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ne-person households become a major household type in Korea, home meal replacement (HM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ful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about HMR, in order to enhance the dietar...

      As one-person households become a major household type in Korea, home meal replacement (HM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ful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about HMR, in order to enhance the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We tested how satisfaction with HMR attributes influenced purchase changes for HMR among one-person households compared with multi-person households. We analyzed data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 total of 583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cross-validation test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among one-person households,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HMR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changes for them, and increasing rates of HMR purchas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participants’ dietary lives. In contrast, taste, price, and convenience satisfaction regarding HMR positively affected changes in HMR purchasing, and increased levels of HMR purchasing negatively influenced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asons of changes in HMR purchasing behavior compared to their multi-person household counterparts. In addition, effective HMR development plans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for improving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1. 가정간편식의 정의 및 구입행동
      • 2. 가정간편식의 선택속성 평가와 구입행동 변화의관계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1. 가정간편식의 정의 및 구입행동
      • 2. 가정간편식의 선택속성 평가와 구입행동 변화의관계
      • 3. 단독가구의 식생활 특성 및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 2. 분석자료 및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적 특성
      • 3. 측정도구 개요 및 분석방법
      • Ⅳ. 연구결과
      • 1. 단독가구와 다인가구의 가정간편식 이용 현황기초 분석
      • 2. 단독가구와 다인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와 식생활 만족도에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차이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영희, "홈쇼핑 온라인 몰의 HMR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5 (15): 197-218, 2012

      2 송은경, "테이크 아웃(Take-out) 아웃소싱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HMR(Home Meal Replacement)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3

      3 한국농촌경제원, "조사설계 및가중치: 표본구성"

      4 양성진, "온라인 쇼핑몰의 HMR 선택속성이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1 (21): 76-90, 2015

      5 홍완수, "싱글족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식품구매행동 연구 - 서울 및 수도권지역 25세 이상 54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047-1057, 2011

      6 최재혁,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Home Meal Replacement)의 이용현황 및 개선" 169-, 2013

      7 서여주, "소비자역량 만족도가 식생활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불안감 및 가구형태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원 45 (45): 131-156, 2014

      8 김영주, "성별에 따른 성인 독신가구와 다가구간의 건강행위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 23 (23): 219-231, 2009

      9 정영길,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구매의향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873-1880, 2015

      10 명춘옥, "베이비부머 여성들의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HMR 구매행동 및 요구도" 한국식품영양학회 29 (29): 87-103, 2016

      1 유영희, "홈쇼핑 온라인 몰의 HMR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5 (15): 197-218, 2012

      2 송은경, "테이크 아웃(Take-out) 아웃소싱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HMR(Home Meal Replacement)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3

      3 한국농촌경제원, "조사설계 및가중치: 표본구성"

      4 양성진, "온라인 쇼핑몰의 HMR 선택속성이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1 (21): 76-90, 2015

      5 홍완수, "싱글족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식품구매행동 연구 - 서울 및 수도권지역 25세 이상 54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047-1057, 2011

      6 최재혁,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 대용식(HMR:Home Meal Replacement)의 이용현황 및 개선" 169-, 2013

      7 서여주, "소비자역량 만족도가 식생활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불안감 및 가구형태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원 45 (45): 131-156, 2014

      8 김영주, "성별에 따른 성인 독신가구와 다가구간의 건강행위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 23 (23): 219-231, 2009

      9 정영길,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구매의향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873-1880, 2015

      10 명춘옥, "베이비부머 여성들의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HMR 구매행동 및 요구도" 한국식품영양학회 29 (29): 87-103, 2016

      11 김주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식(HMR)시장의 세분화:서울 강남 S백화점의 중식(HMR)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8 (8): 137-154, 2005

      12 최성웅,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가정대체식품)의 구매동기와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19 (19): 296-311, 2013

      13 권태성,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선택동기 및 이용 행태" 4 (4): 395-408, 2005

      14 김혜경,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건강심리학적 차원의 질적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431-460, 2016

      15 이해영,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한국에서의 Home Meal Replacement (HMR)개념 정립 및 국내 HMR 산업 전망 예측" 한국영양학회 38 (38): 251-258, 2005

      16 강하연, "대학생의 가정식 대용식(HMR) 이용 특성에 따른 구매의사 결정요인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335-356, 2015

      17 전상민, "단독가구의 소비지출패턴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소비자원 44 (44): 21-43, 2013

      18 파이낸셜뉴스, "늘어난 ‘혼밥족’에 즉석식품지출↑"

      19 박지영, "노인세대의 편의식 이용현황과 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81-90, 2012

      20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2 임영지, "경북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계절별 영양소섭취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58-67, 2007

      23 김현정, "가정식사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 소비자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9 (19): 52-64, 2013

      24 주세영, "가정식사 대용식의 선택속성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639-1644, 2012

      25 장윤정, "가정식사 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관련 고령소비자의 소비행태 및 선택속성 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12 (12): 97-119, 2009

      26 정라나, "가정식사 대용식(HMR)제품 유형별 재구매 의도와 소비자태도 구성개념간의 구조적 관련성 검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344-351, 2007

      27 정라나, "가정식사 대용식(HMR) 선택 속성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15-322, 2007

      28 박성진, "가정식 대체식품(HMR)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29 최성식, "가정간편식(HRM)에 대해 아세요? 머니위크 전문가칼럼"

      30 송태민, "u-Health 수용요인의 교차타당성 검증:공급자와 수요자 집단간 분석"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7 (37): 98-108, 2012

      31 Costa A. I. A., "To cook or not to cook: A means-end study of motives for choice of meal solutions" 18 (18): 77-88, 2007

      32 Poortman, A. R., "Singles'relational attitudes in a time of individualization" 39 (39): 938-949, 2010

      33 Schöllgen, I., "Resources for health : Differential effects of optimistic self-belief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30 (30): 326-335, 2011

      34 Cassano, J., "Home meal replacement: A home run with consumer" 8 : 9-12, 1999

      35 Gibson, M, "Home meal replacement in Europe revolution or evolution?" (4) : 1999

      36 Blaszek, H., "Home meal replacement 67billion & growing"

      37 서경화, "HMR(Home Meal Replacement) 선택속성이 지각된 효용적 가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형 할인마트와 백화점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934-947, 2011

      38 김성혁, "HMR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이 지출과 구매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91-110, 2007

      39 이보순,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단 조리 후 먹는 음식(Ready to end-cook)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17 (17): 85-97, 2011

      40 Donkin, A. J. M., "Gender and living alone as determinan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t home in urban nottingham" 30 (30): 39-51, 1998

      41 전상민, "Gender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in South Korea While Using Mobile Phones" 대한가정학회 14 (14): 1-12, 2013

      42 Mullen, M. R., "Diagnosing measurement equivalence in cross-national research" 26 (26): 573-596, 1995

      43 Hu, L. Z.,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ntrivances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 1-55, 1999

      44 Geeroms N, "Consumers' health-related motive orientations and ready meal consumption behaviour" 51 (51): 704-712, 2008

      45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46 Grier K., "An update on the Canadian home meal replacement market" 2011

      47 Myers, M. B., "Academic insights : An application of multiple-group causal models in assessing cross-cultural measurement equivalence" 8 (8): 108-121, 2000

      48 Tucker, L. R.,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 1-10, 1973

      49 김혜민, "1인 가구의 유형별 식품소비행태 분석 : 1인가구 4% 포장밥 등 가공식품만 먹는다" 201 : 38-39, 2015

      50 김소영, "1인 가구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가정식사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소비행태 및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6

      51 박현우, "1인 가구의 소비 패턴을 반영한 외식업 서비스 방향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697-704, 2015

      52 반정호,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2012

      53 연합뉴스, "1인 가구, 식사불규칙․영양섭취부실"

      54 이계임,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소비자정책ㆍ교육학회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4 1.2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