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한 가톨릭 전례 꽃장식 연구 = A Study on the Flower Arrangement of Catholic Ritual on the Road of the Cro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2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flower decoration in Catholic precedent. Messages consistent with the precedent were suggested through flower arrangement and actively participate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religious art with flower decorations under the theme of the path of the cross. Under the theme of the Road of the Cross, it was produced based on Bible verses, main contents, and meditation prayer, and adding formative elements of flower design. The work was produced in colorful colors to escape from stereotypes. It tried to express the effects of imagination, reconstruction, and creation by symbolically and repeatedly expressing Jesus with Phalaenopsis spp. The attempt to produce precedent flower works under the remedy theme of the path of the cross, centering on Jesus’ deeds from entering Jerusalem to the Resurrection, presented a new genre for precedent flower arrangement. Through this, it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ritual flower decoration into a religious ar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flower decoration in Catholic precedent. Messages consistent with the precedent were suggested through flower arrangement and actively participate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develop...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flower decoration in Catholic precedent. Messages consistent with the precedent were suggested through flower arrangement and actively participate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religious art with flower decorations under the theme of the path of the cross. Under the theme of the Road of the Cross, it was produced based on Bible verses, main contents, and meditation prayer, and adding formative elements of flower design. The work was produced in colorful colors to escape from stereotypes. It tried to express the effects of imagination, reconstruction, and creation by symbolically and repeatedly expressing Jesus with Phalaenopsis spp. The attempt to produce precedent flower works under the remedy theme of the path of the cross, centering on Jesus’ deeds from entering Jerusalem to the Resurrection, presented a new genre for precedent flower arrangement. Through this, it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ritual flower decoration into a religious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톨릭 전례 꽃장식의 발전을 위해서 전례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꽃장식을 통해 제안하고 능동적으로참여할 수 있도록 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꽃장식하고 전례 꽃장식의 종교예술로 발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성경구절과 주요 내용, 묵상기도를 바탕으로 화훼장식의 조형적 요소를 가미하여 제작하였다. 작품은 화려한 색상으로 제작하여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예수님을 호접란으로 상징적으로 반복적 표현하여 상상력, 재구성, 창조의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예루살렘의 입성에서부터 부활까지의 예수님의 행적을 중심으로 십자가의 길을 구제적인 테마로 하여 전례 꽃 작품의 제작을 시도한 것은 전례 꽃장식에 대한 새로운 장르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례 꽃장식에 대한 종교예술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톨릭 전례 꽃장식의 발전을 위해서 전례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꽃장식을 통해 제안하고 능동적으로참여할 수 있도록 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꽃장식하고 전례 꽃장식의 종교예술...

      본 연구는 가톨릭 전례 꽃장식의 발전을 위해서 전례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꽃장식을 통해 제안하고 능동적으로참여할 수 있도록 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꽃장식하고 전례 꽃장식의 종교예술로 발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성경구절과 주요 내용, 묵상기도를 바탕으로 화훼장식의 조형적 요소를 가미하여 제작하였다. 작품은 화려한 색상으로 제작하여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예수님을 호접란으로 상징적으로 반복적 표현하여 상상력, 재구성, 창조의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예루살렘의 입성에서부터 부활까지의 예수님의 행적을 중심으로 십자가의 길을 구제적인 테마로 하여 전례 꽃 작품의 제작을 시도한 것은 전례 꽃장식에 대한 새로운 장르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례 꽃장식에 대한 종교예술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지윤, "화예디자인 작품에 나타난 반복표현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14) : 113-132, 2006

      2 화훼장식학회,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장식학" 부민문화사 10-, 2010

      3 피에르 쥬넬, "주교예절서의 개정" 214 : 217-241, 2021

      4 이순남, "전례력에 따른 천주교⋅개신교 성전 꽃꽂이 비교" 서울시립대학교 2021

      5 마르쿠스 보그, "예수의 마지막 일주일" 도서출판 중심

      6 박명희 ; 김홍열, "예수님의 행적을 테마로 표현한 전례꽃장식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2) : 165-186, 2010

      7 손미자, "소재로 본 한국 천주교 제대 꽃꽂이 : 1995년부터 2010년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8 최창덕, "성찬례 왜관" 분도출판사 106-, 1996

      9 박명희 ; 김홍열, "성 베드로의 영적성숙 과정의 전례꽃장식 표현"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 : 81-97, 2009

      10 소기천, "설교자를 위한 성경연구" 5-23, 1996

      1 신지윤, "화예디자인 작품에 나타난 반복표현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14) : 113-132, 2006

      2 화훼장식학회,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장식학" 부민문화사 10-, 2010

      3 피에르 쥬넬, "주교예절서의 개정" 214 : 217-241, 2021

      4 이순남, "전례력에 따른 천주교⋅개신교 성전 꽃꽂이 비교" 서울시립대학교 2021

      5 마르쿠스 보그, "예수의 마지막 일주일" 도서출판 중심

      6 박명희 ; 김홍열, "예수님의 행적을 테마로 표현한 전례꽃장식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2) : 165-186, 2010

      7 손미자, "소재로 본 한국 천주교 제대 꽃꽂이 : 1995년부터 2010년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8 최창덕, "성찬례 왜관" 분도출판사 106-, 1996

      9 박명희 ; 김홍열, "성 베드로의 영적성숙 과정의 전례꽃장식 표현"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 : 81-97, 2009

      10 소기천, "설교자를 위한 성경연구" 5-23, 1996

      11 신미현, "꽃의 상징적의미를 통한 금속작품 연구-백합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12 장정희, "가톨릭교회의 종교예식에서 전례꽃 작품의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13 조진옥, "가톨릭 전례주년의 상징적 이미지에 따른 화훼디자인의 조형구성"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