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28109
2013
Korean
학술저널
31-37(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서 그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여 대학생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는 학업문제가 가장 높았으며, 친구관계가 가장 낮았다. 하위영역별 스트레스 중요도는 학업문제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장래문제, 가치관문제, 가족과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월수입이 많을수록 가족응집성이 높았으며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응집성과 적응성점수가 높았다. 남학생의 자아 존중감 수준이 여학생 보다 높았으며 월수입과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 중요도는 여학생이 높았으며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스트레스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 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으면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elf-esteem and life stress i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of a program related school life and guidance. The score of family co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elf-esteem and life stress i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of a program related school life and guidance. The score of family cohesion was relatively high as 3.50/5, The score of family adaptability was relatively high as 3.44/5. The score of life stress(frequency) was relatively low as 0.83/3. The score of life stress(importance) was relatively high as 2/3. The score of self-esteem was relatively high as 2.75/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frequency) an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elf-esteem revealed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r=-.363, p<.01),(r=-.323, p<.01),(r=-.650, p<.01).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importance) an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elf-esteem revealed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r=-.323, p<.01), (r=-.274, p<.01), (r=-.635, p<.01).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reveale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r=.481, p<.01), (r=.473, p<.01).
마을 만들기의 계량적 접근에 관한 연구 -안양시 주민자치센터 활용 용도에 따른 주민의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저탄소 녹색도시성장을 위한 패시브 하우스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과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
주민 참여형 마을만들기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시 행궁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