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자동화설비’ 수업에 적용한 후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70638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기술교육학과 공업교육전공 , 2012. 2
2012
한국어
607.12 판사항(22)
충청북도
ⅷ, 289 p. : 삽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자동화설비’ 수업에 적용한 후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자동화설비’ 수업에 적용한 후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이론적 토대를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헌 고찰을 하였다. 첫째, 두뇌 반구의 특징과 두뇌 기능의 통합 필요성을 통한 전뇌 교육의 교육적 활용 및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둘째, PBL의 개념․특징․모형을 통해 PBL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창의적 산출물의 한 방법으로써 CPSS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한 자동화설비 과목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헌 연구 분석에서 도출된 이론과 시사점을 통해 문제기반 전뇌학습 수업 모형 개발,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 개발, 개발된 프로그램의 예비 검사와 현장 적용의 3단계에 걸쳐 연구 설계를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과 프로그램은 문제해결력 과정에 뇌의 기능과 학습 기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이는 모형 개발의 선행 작업으로 탐색한 전뇌학습과 문제기반학습의 주요 이론과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결과를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의 구성 원리로 적용하였다.
둘째,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은 기존의 준비, 제시, 적용, 평가 단계로 진행되는 전통적 실습수업에 비해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신장에 효과적인 문제 제시, 문제 정의, 아이디어 생성, 문제해결책 선정과 실행 및 평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은 자동화설비 과목의 활동 과제 선정과 교사용 지도서와 학습지로 구성되어 있어 자동화설비 과목을 담당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수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실습수업(M=24.36)에 비해 문제해결력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점수(M=27.55)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문제 제시(t=2.075, p<.05)', '문제 정의(t=2.289, p<0.05)', '아이디어 생성(t=0.811, p<0.05)'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동화설비 수업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이 수업에 효과가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모둠 구성에 따른 산출물의 창의성 검사 결과가 전뇌집단(M=4.86, SD=1.53)이 우뇌집단(M=4.17, SD=1.45)과 좌뇌집단(M=4.37, SD=1.07)에 비해 창의력 평가의 하위 영역인 ‘참신성’, ‘실용성’, ‘정교성과 종합성’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484, p>.05). 이는 효과적인 창의력 향상을 위해 협동학습의 모둠 구성시 뇌우세성 판별에 따른 전뇌집단으로의 구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자동화설비 수업에 대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수행된 이 연구에 덧붙여 연구자는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과 프로그램 단계에서 발현되는 뇌활성 영역에 대한 뇌파분석과 fMRI 등 과학적인 검증과 함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변인과 실험처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유안진, "인간발달",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7
2 McCarthy, "The 4MAT System", 1980
3 배춘상 4, "신경해부학", 1995
4 Wallas,Graham, "The art of thought", Harcourt,Brace, The art of thought, 1926
5 차경호, "통합인지이론", 2002
6 Amabile, "Creative in Context", 1996
7 노태천, "공업교육학신론", 문음사, 2008
8 Wiles, Jon, "Curriculum development", Pearson, Curriculum Development, 2015
9 Barrows, H. S., "Problem-based learning", 1980
10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1999
1 유안진, "인간발달",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7
2 McCarthy, "The 4MAT System", 1980
3 배춘상 4, "신경해부학", 1995
4 Wallas,Graham, "The art of thought", Harcourt,Brace, The art of thought, 1926
5 차경호, "통합인지이론", 2002
6 Amabile, "Creative in Context", 1996
7 노태천, "공업교육학신론", 문음사, 2008
8 Wiles, Jon, "Curriculum development", Pearson, Curriculum Development, 2015
9 Barrows, H. S., "Problem-based learning", 1980
10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1999
11 강인애, "PBL의 실천적 이해", 2007
12 강인애,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3
13 박경아, 이원택, "의학 신경 해부학", 의학신경해부학, 1996
14 Jensen, "How Julie's brain learns", 1998
15 MaGeehan, "Brain-compatible learning", 2001
16 전경원, "창의성과 동기 유발", 창지사, 1998
17 김영채, "CPS: 창의적 문제해결", 2004
18 박영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창지사, 2008
19 Zull, "The art of changing the brain", 2004
20 Herrmann, Ned, "The whole brain business book", McGraw-Hill, The Whole Brain Business Book, 1996
21 김진수,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2005
22 손은경, "인간의 뇌발달과 교육", 2004
23 Wolfe, Westwater, "The Brain-Compatible Curriculum", 2000
24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25 Kidd, Caulfield, Kocher, "Brain-based instruction in action", Brain-Based Instruction in Action, 2000
26 Mager, Beach, "Developing vocational instruction", 1967
27 이 홍 3, "지식과 창의성 그리고 뇌", 2005
28 Farmer, "Left Brain Right Brain Whole Brain", 2004
29 이오남, 최준섭, "문제해결학습의 수업처방", 2007
30 양영종, "21세기 인재되기와 PBL 학습", 한경사, 2009
31 Simonov, "Neurobiological basis of creativity", 1997
32 Jensen, "Brain-Based Learning: A Reality Check", 2000
33 Savin-Baden, Maggi,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 Open university press, 2004
34 Mollou, "The two-conditions view of creativity", 1996
35 Besemer, "Creating Products in the Age of Design", 2006
36 Grady, Michael P, "우측 뇌를 자극하는 교육방법", 자유출판사, 1991
37 김진수, "융합인재 양성이 필요한 이유", 2011
38 Prigge, "Promote brain-based teaching and learning", 2002
39 Merriam-Webster, "Webster's ninth new collegiate dictionary", Webster's Ninth New Collegiate Dictionary, 1983
40 이무근, "직업·기술교육에서의 교육과정", 직업?기술교육에서의 교육과정, 1990
41 Young, Selby, Treffinger,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2002
42 Barrows, H. S.,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1993
43 김정희,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2004
44 Barrows, "A taxonomy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s", A taxonomy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s, 1986
45 Besemer, "Creative Products Analysis to Foster Innovation", 2000
46 임 웅,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韓國카운슬러協會, 2011
47 서정돈, "하워드 배로우스의 문제중심학습법", 2005
48 Cardellichio, Field, "Seven strategies that encourage neural branching", 1997
49 Lumsdaine, "Teach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2006
50 Caine, Renate Nummela, "Making connections : teaching and the human brai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1
51 Borrows, H. S., "Problem 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2000
52 김은아,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뇌과학적 해석", 서울교육대학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5
53 정종진, "잠자는 천재성을 깨우는 데니슨 공부법", 한언, 2004
54 손희정, 서정돈, 안병헌, "하워드 배로우스 박사의 튜터식 교수법", 2005
55 Hardiman, Mariale, "Connecting Brain Research with Dimensions of Learning", 2001
56 Kelson, Barrows, "problem-based learning: A total approach to education", 1993
57 Sperry.R.W, "Some effects of disconnecting the cerebral hemispheres", 1982
58 황매향, "(부모가 알아야 할) 청소년기의 뇌 이야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59 Roberts, "Beyond learning by doing: The brain compatible approach", 2002
60 Falsgraf, "Learner-Friendly Technology in a Brain-Friendly Classroom", 2007
61 김명희, "뇌 기반 교육과정 모형의 개발과 그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4
62 송연자,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04
63 Schmidt.H.G, "Found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some explanatory notes", 1993
64 박선희, "아동의 창의적 산물 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成均館大學校,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2
65 복진선,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활용하는) 전뇌 학습법", 한스컨텐츠, 2006
66 우미라(Woo Mee Ra),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초등문학교육 모형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07
67 MacLean, "Brain Evolution: The Origins of Social and Cognitive Behaviors", 1984
68 Barrows,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A Brief Overview, 1996
69 문승호, "뇌 기반 학습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4
70 김명자, "전뇌 사고 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 신장방안", 2002
71 김영록, 이순묵, "한국판 창의적 산물 평가도구의 개발 및 구조확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2004
72 이원경, "중학생의 과학 연구 능력과 두뇌 기능 분화의 관계", 1998
73 조연순, "창의성 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창의성 교육-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2008
74 강호감, 원용준, "대뇌의 인지기능에 기초한 자연과 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1994
75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학지사,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2006
76 안광식, 최완식, 류승민, "중학생들의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2005
77 Besemer, O'Quin, "Analyzing creative products;refinement and test of a judging instrument", Analyzing Creative Products: Refinement and Test of a Judging Instrument, 1986
78 조경숙, "뇌 기능 분화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 내용 분석",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5
79 White, Shen, Smith, "Judging Advertising Creativity Using the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2002
80 Evensen, Dorothy H, "Problem-based learning : a research perspective on learning interactions",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2008
81 Dianne, "PROBLEM-BASED LEARNING & IT TO SUPPORT AUTHENTIC TASKS IN TEACHER EDUCATION", 2001
82 Bloom, Benjamin Samuel,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D. McKay, 1956
83 Wonder, Jacquelyn, "(학교와 직장에서 성공하려면) 당신의 양쪽 뇌를 사용하라", 良書院, 1992
84 최동선, "자동화설비분야 마이스터고 교육과정 및 인증시스템 개발", 2010
85 우상호,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자체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09
86 Duffy, Savery,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Problem-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1996
87 Sage, Trop,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2nd Edition", 2002
88 김용진, "전뇌학습법의 실제와 학습적용에 따른 실용적 고찰에 대하여", 한국정신과학학회, "한국정신과학학회, 2000
89 이미자, 안정혜, "창의력 증진을 위한 웹기반 우뇌 훈련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02
90 오흥미,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7
91 Frith, Blakemore, "Target Article with Commentaries: The learning brain: Lessons for education: a precis", 2005
92 Besemer, "To Buy or Not to Buy: Predicting the Willingness to Buy from Creative Product Variables", 2000
93 안광식 ( Gwang Sik An ), 최완식 ( Won Sik Choi ),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94 Besemer, O'Quin, "Confirming the Three-Factor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Model in an American Sample", 1999
95 오계영, "웹 기반의 두뇌 훈련을 통한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韓國敎員大學校,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1999
96 김명준, "개인의 뇌 활용성향 측정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학습스타일과의 관계", 2002
97 하종덕, "우뇌기능 훈련이 뇌의 인지특성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1992
98 곽형식, "좌뇌·우뇌 우세성 및 남녀차에 의한 조직자 유형 제시의 차별적 학습효과", 1999
99 오승균, "지식기반사회에서 공업교육 전문가가 인식하는 공업교육기관의 역할과 기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08
100 백중열, "우뇌기능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아동의 뇌 선호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2005
101 성호경, "전뇌 계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지능에 미치는 효과", 2005
102 Besemer,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comparison among products - three novel chairs",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 comparison among products - Three novel chairs, 1998
103 김영진, "뇌 기능 특성에 기초한 수업체제 개발 및 적용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04
104 강호감, 조병희, "국민학교 아동의 인지양식분석과 창의력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1992
105 정남용(Chung Nam Yong), "아동중심 교육 실현을 위한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전뇌학습 및 인지양식 기반 수업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04
106 Harris, "Right brain training: Some reflections on the application of research on cerebral hemispheric specialization to education", 1988
107 정진현(Jung Jin Hyun), 박준영(Park Jun Young), 황옥곤(Hwang Ok Gon), 김용익(Kim Yong Ik), "뇌과학에 기초한 실과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04
108 김익수,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생들의 행동목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06
109 안정혜, "창의력 증진을 위한 웹기반 우뇌 훈련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0 Koschmann, "Using technology to assist in realizing eff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A principled approach to the use of computers in collaborative learning",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