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년기 여성 우울증극복을 위한 기독교상담 : Carl G.Jung의 개성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09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년 여성이 겪는 우울증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심리적으로 밝히고, 이러한 우울증이 심리학자 Carl Jung이 지적하는 중년의 위기와 어떤 관계가 있음을 말하고, 특별히 개성화의 과...

      본 논문은 중년 여성이 겪는 우울증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심리적으로 밝히고, 이러한 우울증이 심리학자 Carl Jung이 지적하는 중년의 위기와 어떤 관계가 있음을 말하고, 특별히 개성화의 과정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기독교 상담 입장에서 상담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울증의 원인이 외부적인 요소도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의미’와 관계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의미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의 하나는 종교, 특별히 기독교 신앙이라는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심리학자 Carl Jung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인생의 후반이 의미와 공동체에 관심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중년에 필요한 심리적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이라 했고, 중년기에는 기독교적 신앙이 중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다. 그래서 중년 여성의 우울의 핵심은 바로 신앙적인 것이며, 이 신앙적인 것이 우선 정립이 되어야 중년의 여성이 외부적인 환경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중년의 심리적인 여건을 잘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우울은 근원적인 분리에 대한 반응이며, 영적 의미를 찾고자 하는 반응, 의미의 상실에 대한 반응, 다시 의미를 되찾기 위한 갈구의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신앙과 우울증의 관계가 무엇인지는 바로 우울증을 통한 삶의 의미, 즉 영적성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연관되며, 이를 통하여 삶에 대한 나름대로의 통찰과 의미를 찾는다.
      중년이 겪는 우울에는 신학적 함수가 숨어 있다. 즉 의미의 부재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의미의 부재로 인해, 조건의 충족이든 부족이든 이것은 중년을 우울로 몰고 개인을 죽음으로 내몰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Carl Jung의 개성화과정은 우울증에 빠진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지금껏 가졌던 왜곡된 자아상에 대한 페르조나를 살펴볼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자신 안에서 고민하는 콤플렉스의 덩어리인 그림자를 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Carl Jung의 설명과 같이 자신의 페르조나와 그림자를 볼 수 있는 자만이 인격의 성숙인 개성화의 과정을 밝을 수 있다는 지적과 같이, 그의 개성화과정은 중년여성이 가진 왜곡된 자아상을 회복할 수 있고, 특별히 자신이 가진 자아상이 소극적인 것이든, 확장된 것이든 그 의미를 줄 수 있다고 본다. 동시에 개성화의 과정이 중생(rebirth)의 과정이기 때문에 이 개성화의 과정이 우울증치료에 미칠 수 있는 것은 기독교신앙의 중요성이다.
      그러므로 상담학, 특히 기독교상담학과 교회에서도 그동안 봉사와 충성만을 요구당하고 그들의 삶의 문제에 대해서는 소외시한 것을 반성하고 새로운 전환을 위한 상담의 방법들과 프로그램으로써 중년기, 특히 중년 여성들이 새로운 삶의 이정표를 찾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은 방법론을 넓히고 신학적 뿌리를 튼튼히 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립하고 성숙의 길을 새롭게 발견하며 또한 그 자체의 유산과 도움이 되는 다른 교훈들을 통해서 위기의 여성들을 도울 수 있는 성경적 신앙적 신학적 방법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reason of melancholia for a middle-aged woman, to demonstrate certain relation between the melancholia and middle-aged crisis that is indicated by psychologist, Carl G.Jung , to analyze the relation , esp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reason of melancholia for a middle-aged woman, to demonstrate certain relation between the melancholia and middle-aged crisis that is indicated by psychologist, Carl G.Jung , to analyze the relation , especially , individuation process , and to give an wealthy about the counseling in the position of the Christian counseling.
      In this thesis, the reason of melancholia is from external factor,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s it has an intimate relation with the ‘meaning’. Then, one of the vital factors which can give the meaning is demonstrated in the position of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As Carl G.Jung indicated, living with meaning for the second half of life and interest in altruism is the key to keep to maintain the psychological health for the middle-aged, and the Christian faith is doing a major ro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middle-aged. Thus, the core of melancholy for the middle-aged woman is the faith, and it should be set up to overcome psychological circumstances for the middle-aged woman without being shaken by the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melancholia is a reaction against fundamental separation, a reaction of searching for the spiritual rebirth, a reaction to the loss of meaning,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retrieve the meaning for expression of thirst.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melancholia can be connected with the question for the meaning of life throughout melancholia, namely the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spiritual maturity and then, insights and meanings can be found through.
      Theological function is lying behind the melancholy suffered by the middle-aged. That means there is meaninglessness. By the absence of meaning, it can lead the middle-aged to melancholy and even death regardless that the condition is sufficient or not. In this matter of fact, Carl G.Jung’s individuation process can enable the people who is suffering from melancholia to look around his/her own persona which has been perverted self-image so far and to see the shadow of the lump of complex inside him/her self. As Carl G.Jung indicated that the person who can see his/her persona and shadow can go through the individuation process that is puberty of individuality, his individuation process can recover the perverted self-image for middle-aged woman, especially, it can give the meaning whether one’s self-image is negativistic or ampliative.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individuation process is the course of rebirth, this individuation process is important for remedying melancholia in the aspect of the Christian faith.
      Accordingly, counseling, especially, Christian counseling and church have requested them service and loyalty only and alienated a matter of life. However, they have to reconsider it and help the middle-aged woman to find milestone of new life as a program including solutions of counseling for turn of life. Consequently, the Christian counseling has to broaden the methodology, strengthen the theological root to establish the academic position, discover the path of puberty newly, and also has to improve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methods to help critical middle-aged woman throughout other rules which can be helpful to God’s herit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2. 선행연구사 = 2
      • 3. 연구의 방법 = 3
      • Ⅱ. 중년 여성의 심리적 이해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2. 선행연구사 = 2
      • 3. 연구의 방법 = 3
      • Ⅱ. 중년 여성의 심리적 이해 = 4
      • 1. 중년 위기에 대한 이해 = 4
      • 1) 중년의 정의 = 4
      • 2) 중년기 위기의 정의 = 7
      • 2. 중년 여성의 심리이해 = 12
      • 1) 심리적 특성 = 13
      • 2) 심리적 변화의 요인 = 17
      • Ⅲ. 중년여성 우울증에 대한 진단 = 22
      • 1. 우울증 정의 = 22
      • 2. 우울증 발생원인 = 26
      • 1) 상실감 = 26
      • 2) 내인 및 생체적 원인 = 27
      • 3) 심리 사회적 원인 = 31
      • 4) 영적 원인 = 36
      • 3. 중년여성의 우울증 발생원인 = 37
      • 1) 신체 화학적 요인 : 폐경기(Menopause)와 성적 매력의 상실 = 38
      • 2) 외로움과 사별 = 43
      • 3) 여성관과 성차별요인 = 47
      • Ⅳ. Carl Jung의 개성화과정을 통한 중년여성의 우울증극복 = 51
      • 1. 중년여성 우울증과 죽음 = 51
      • 1) 우울증의 신학적 의미 = 52
      • 2) 우울증과 무의미(meaninglessness)의 함수관계 = 54
      • 2. 신앙과 우울증의 상관성 = 56
      • 1) 인지치료와 우울증 = 56
      • 2) 신앙을 통환 인식전환 = 60
      • 3) 인지치료와 기독교 상담 = 62
      • 3. 우울증과 Carl Jung의 개성화 = 64
      • 1) 중년위기와 우울증 : 의미상실과 우울증 = 64
      • 2) 개성화과정과 자기발견 = 68
      • 3) 기독교 상담에서 본 우울증의 개성화 = 75
      • Ⅴ. 결론 = 80
      • 참고문헌 = 83
      • Abstract = 88
      • 초록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