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산림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을 통해 산림자원의 시각적 자원화와 산림의 공익적 차원에서 경관적 가치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3744
2024
-
6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5-13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산림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을 통해 산림자원의 시각적 자원화와 산림의 공익적 차원에서 경관적 가치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색...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산림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을 통해 산림자원의 시각적 자원화와 산림의 공익적 차원에서 경관적 가치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분석의 틀 제시, 산림경관 개선을 위한 시각적 선호도 조사 및 이를 통한 개선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시각적 선호도 조사는 경관관련 전문가 50인으로 구성된 표본집단을 선정하고 경관형용사를 이용한 SD scale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한 최종 선호도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산림경관의 현명한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산림경관의 조망점 선정과 시각적 선호도 분석은 산림경관의 시각적 자원화를 통한 높은 생태계서비스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또한 향후 산림경관의 이용성 증대와 효율적 관리 측면에서 심화 연구를 할 때 기초연구로서 준거 틀로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visual resource of forest resources and the landscape value in terms of public interest of forests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of forest landscapes targeting Baekdudaeg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visual resource of forest resources and the landscape value in terms of public interest of forests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of forest landscapes targeting Baekdudaegan forest resources. The research methods consist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sentation of an analysis framework, a visual preference survey for improving forest landscap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lternatives through this. The visual preference survey selected a sample group consisting of 50 landscape experts and used the SD scale technique using landscape adjectives. Then, the final preference model was present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selection of viewpoints and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s in forest landscapes are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providing high ecosystem services through visual resource utilization of forest landscapes in terms of wise use of forest landscapes. In addition, it is judged to be significant as a basic research and reference frame when conducting in-depth research in terms of increasing the usabilit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landscapes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가스펠 음악에 나타나는 흑인민권운동의 메시지에 대한 고찰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I Dreamed a Dream과 On My Own 매쉬업을 통한 음악적·서사적 특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