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사회불안의 관계 :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이중매개효과 =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1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self presentational model of social anxiety and exams the relationship of relatively new variable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Accordingly, this study predicts that fear of posi...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self presentational model of social anxiety and exams the relationship of relatively new variable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Accordingly, this study predicts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roused from the large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tion makes it difficult to fit in accepting positive events and leads to social anxiety. For this study’s purpose, it is verified that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Participants were 399 university students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Short Form of the 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and the Korean Social Phobia Scale (K-SPS),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al Scale(SPMS),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Scale(SPES), Korean Version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K-FPES) and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 Scale(IPES). The SPSS 21.0 and the PROCESS macro were used in this study for analysis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participants.
      As expected, results indicated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FPE)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IPE) had partial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II. 이론적 배경 6
      • 1. 사회불안 6
      • 2. 자기제시 모형 8
      • 1) 자기제시동기 10
      • 2) 자기제시기대 11
      • 3)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사회불안 13
      • 3.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16
      • 1)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긍정적 평가에 대한
      • 두려움 19
      • 2)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 22
      • 4.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 23
      • 1)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 부정적 해석 26
      • 2)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 부정적 해석 28
      • 3)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과 사회불안 29
      • III.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32
      • 1. 연구 목적 32
      • 2. 연구 문제 및 연구가설 32
      • 3. 연구 모형 34
      • IV. 연구 방법 36
      • 1. 연구 대상 36
      • 2. 측정 도구 37
      • 1)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 SIAS)와 사회적 공포 척도(Social Phobia Social: SPS)의
      • 단축형 37
      • 2) 자기제시동기 척도(Self-Presentational Motivational Scale:
      • SPMS) 37
      • 3) 자기제시기대 척도(Self Presentational Expectancies Scale:
      • SPES) 38
      • 4)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Korean Version of the Fear
      •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K-FPES) 39
      • 5)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 척도(Interpretation of Positive
      • Event Scale: IPES) 39
      • 3. 연구 절차 40
      • 4. 자료 분석 41
      • V. 연구 결과 43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3
      • 2.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긍정적 평가에 대한
      • 두려움,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 영향 44
      • 1)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45
      • 2)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매개효과 49
      • 3)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 부정적 해석의 이중매개효과 53
      • VI. 논의 58
      • 1. 논의 및 결론 58
      • 2. 연구의 의의 65
      • 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8
      • 참고문헌 71
      • 부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