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산화적지에서 지상부 식생구조와 표토에 분포하는 세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ground Vegetation Structure and Fine Roots of the Topsoil in the Burnt Forest Areas,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8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ground vegetation structure and fine roots of the topsoil (<15 cm), and thereafter to obtain the regression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the fine roots of the topsoil using th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ground vegetation structure and fine roots of the topsoil (<15 cm), and thereafter to obtain the regression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the fine roots of the topsoil using the aboveground vegetation values in the burned forest areas, Korea. The FRT (fine roots of the top soil) as well as the aboveground vegetation structure showed spatial variation in the earlier successional stages after forest fire. The fine roots (<2 mm) of the topsoil in the earlier successional
      stages than the first 3 year after forest fire showed the range from 3 to 166 g DM/m2. The FRT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ites and planted sites after forest fire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vegetation indices, especially Ivc, represent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aboveground vegetation. The FRT in the terrace seeding work sites after forest fire was closely correlated with year elapsed after terrace seeding work. The FRT in the terrace
      seeding work sites showed the much higher values because of the vigorous growth of grass species than the other sites.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ites, the FRT showed the parabola form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aboveground vegetation value (Ivc). Although the aboveground vegetation value (Ivc)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logarithmically during the secondary succession after forest fire, the estimated fine roots of the topsoil
      was depicted the parabola form showing the gradual increment until the first 15 years and slight decrease thereafter. Decrease of FRT in the later successional stage showing the high vegetation value may be caused
      by increment of the woody species contribution to the vegetation value (Ivc). Our results represented that the boveground vegetation value (Ivc) can be used to the estimation of the fine roots of the topsoil in burned forest are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식생뿌리의 전단강도 보강에 의한 사면안전율 해석 잣나무뿌리를 중심으로" 27 : 80-93, 2000

      2 "수목의 근계구성에 따른 사면의 붕괴방지효과에 관한 연구 잣나무뿌리의 공간분포" 92 : 33-41, 2003

      3 "산지지역 우수 및 토사유출량관측 및 저감대책 수립"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173-, 2003

      4 "산불피해지역에서 재생된 식생이 토사유출에 미치는영향" 66-, 2003

      5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 .38 : 59-71, 2005

      6 "산불 피해 지역에서 산불 후 관리방법이 식물군집의재생에 미치는 영향" 41-, 2003

      7 "뿌리의 강도가 자연사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51-66, 1991

      8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27 : 99-106, 2004

      9 "동해안 산불지역 생태계 변화 및 복원기법 연구" 환경부 244-, 2002

      10 "독일가문비(Picea abies L.)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량에 관한 연구 흉고직경에 의한 뿌리생체량 추정" 90 : 338-345, 2001

      1 "식생뿌리의 전단강도 보강에 의한 사면안전율 해석 잣나무뿌리를 중심으로" 27 : 80-93, 2000

      2 "수목의 근계구성에 따른 사면의 붕괴방지효과에 관한 연구 잣나무뿌리의 공간분포" 92 : 33-41, 2003

      3 "산지지역 우수 및 토사유출량관측 및 저감대책 수립"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173-, 2003

      4 "산불피해지역에서 재생된 식생이 토사유출에 미치는영향" 66-, 2003

      5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 .38 : 59-71, 2005

      6 "산불 피해 지역에서 산불 후 관리방법이 식물군집의재생에 미치는 영향" 41-, 2003

      7 "뿌리의 강도가 자연사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51-66, 1991

      8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27 : 99-106, 2004

      9 "동해안 산불지역 생태계 변화 및 복원기법 연구" 환경부 244-, 2002

      10 "독일가문비(Picea abies L.)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량에 관한 연구 흉고직경에 의한 뿌리생체량 추정" 90 : 338-345, 2001

      11 "강원도 평창군 일대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기구" 237-, 1995

      12 "강원도 산불지역 재해의 저감대책 수립"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343-, 2001

      13 "’04년도 산지시험유역 운영을통한 토사재해 저감효과 분석"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143-, 2004

      14 "The importance of plant rootcharacteristics in controlling concentrated flow erosion rates" 28 : 371-384, 2003

      15 "Spati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in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113-119, 1994

      16 "Seral changes in floristic composition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18 : 275-283, 1995a

      17 "Seral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and recovery of soil fertility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after shifting cultivation" 18 : 243-253, 1995b

      18 "Rooting strategy of naturally regeneratedbeech in Silver birch and Scots pine woodlands" 255 : 265-279, 2003

      19 "Plant strategies and the dynamic and structure of plantcommun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60-, 1988

      20 "Forest response to the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19 : 43-54, 2004

      21 "Asimulation model for erosion and sediment yield at the hillslopescale"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37, 2001

      22 "Application of physically based models" Springer-Verlag 318-,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1-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3-04-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태학회지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외국어명 :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8 0.08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7 0.29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