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OICA 협력국 감염병 대비·대응 체계 강화 사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4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KOICA 협력국들의 감염병 현황을 파악하고 공여기관으로서 KOICA가 협력국들에 대한 지원 분야, 국가, 방법, 시기 등을 선정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협력국들의 감...

      본 연구는 KOICA 협력국들의 감염병 현황을 파악하고 공여기관으로서 KOICA가 협력국들에 대한 지원 분야, 국가, 방법, 시기 등을 선정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협력국들의 감염병 현황 파악의 주된 방법은 IHR의 편견없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진 JEE와 SPAR 평가 결과를 1~5점으로 정량화하여 분석하였다.
      SPAR 평가의 경우 2018년 대비 2019년 10개 지표 중 “검역”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9개 지표에서 조금씩 상승하였고 인수공통감염병 지표가 2.7% 상승으로 가장 큰 차이 상승 결과를 보였다. JEE 기준 가장 취약한 지표는 항생제 내성, 검역, 다분야합동신속대응, 공중보건위기 대비였고 국가로는 아프카니스탄, 나이지라아, DR 콩고, 동티모르, 카메룬이었다. 2019년 SPAR기준으로 가장 취약한 지표는 인력개발, 위기소통, 의약품지원 및 보건의료인력파견, 공중보건위기대비, 식품안전, 인수공통병이었고 국가로는 동티모르, 라오스, 네팔, DR콩고, 코트디부아르 이었다. KOICA 부서별(대륙별) 분석 결과 취약 지표는 다음과 같다.
      ① 동남아시아1실- 미얀마(공중보건위기대비), 캄보디아(공중보건위기대비 및 대응)
      ② 동남아시아2실- 동티모르(인수공통병, 공중보건위기대비, 다분야합동신속대응)
      ③ 서남아태평양실- 아프카니스탄(제정, 조정, 항생제 내성, 식품안전, 생물안전, 검역), 파키스탄(항생제 내성, 공중보건위기대비), 네팔(조정, 인수공통병, 식품안전), 스리랑카(공중보건위기대비)
      ④ 중동중앙아실- 이라크(제정), 아제르바이잔(조정, 식품안전)
      ⑤ 동아프리카실- 케냐(의약품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 르완다(항생제 내성), 모잠비크(공중보건위기 대비)
      ⑥ 서아프리카실- DR콩고(항생제 내성, 식품안전, 공중보건위기 대비, 다분야 합동 신속대응, 의약품 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 검역), 코트디부아르(항생제 내성), 세네갈(검역), 가나(항생제 내성, 의약품지원 및 보건의료인력파견), 나이지리아(제정, 공중보건위기 대비, 다분야 합동신속대응, 의약품 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 검역), 카메룬(조정, 검역)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KOICA 협력국의 취약한 보건의료 현황을 알 수 있었고 공여국으로서 우리나라가 지원해줄 우선순위 선정 즉, 지원 시기, 분야, 방법들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높은 보건의료 체계를 활용하여 잘 통제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전 세계의 이목을 받은바 있다. 이제 공여국의로서의 충분한 자격 검증이 되었다할 수 있으니 수여국에 대한 지원과 K-방역 수출을 위한 역할과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ter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s in KOICA cooperation countries and when KOICA selects the field, country, method, and timing of support for partner countries as a donor. The ma...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ter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s in KOICA cooperation countries and when KOICA selects the field, country, method, and timing of support for partner countries as a donor. The main method of understanding the status of infectious diseases of cooperation countries was to quantify and analyze JEE and SPAR evaluation results known to present an unbiased standard of IHR by 1-5 points.
      As a result of the annual self-investigation of SPAR by focal point(health officials) from cooperation countries, out of the 10 capacities in 2019 compared to 2018, the remaining 9 capacities excluding the “point of entry” sector increased slightly, and the Zoonotic disease capacity rose 2.7%, showing the largest difference increase. The weakest capacities of the JEE standard were Antimicrobial resistance, Point of entry, Linking public health with security authorities, Emergency preparedness. The countries included Afghanistan, Nigeria, DR Congo, East Timor, and Cameroon. The weakest indicators based on SPAR in 2019 were
      Workforce development, Risk communication, Medical countermeasures and personnel deployment, Emergency preparedness, Food safety, Zoonotic disease, and countries include East Timor, Laos, Nepal, DR Congo, and Cote d"Ivoire. As a result of analysis by KOICA department(by continent), the indicators of weakness are as follows.
      ① Southeast Asia Department I- Myanmar(Emergency preparedness), Cambodia (Emergency response operations)
      ② Southeast Asia Department II- East Timor(Zoonotic disease, Emergency preparedness, Linking public health with security authorities)
      ③ Southwest and Pacific Asia Department- Afghanistan(National legislation, Antimicrobial resistance, Food safety, Biosafety and biosecurity, Point of entry), Pakistan(Antimicrobial resistance, Emergency preparedness), Nepal (National legislation, Zoonotic disease, Food safety), Sri Lanka(Emergency preparedness)
      ④ Middle East and Central Asia Department- Iraq(National legislation), Azerbaijan(National legislation, Food safety)
      ⑤ East Africa Department- Kenya(Medical countermeasures and personnel deployment), Rwanda(Antimicrobial resistance), Mozam bique(Emergency preparedness)
      ⑥ West Africa Department- DR Congo(Antimicrobial resistance, Food safety, Emergency preparedness, Linking public health with security authorities, Medical countermeasures and personnel deployment, Point of entry), Cote d"Ivoire(Antimicrobial resistance), Senegal(Point of entry), Ghana(Antimicrobial resistance, Medical countermeasures and personnel deployment), Nigeria(National legislation, Emergency preparedness, Linking public health with security authorities, Medical countermeasures and personnel deployment, Point of entry), Cameroon(National legislation, Point of entr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know the current status of vulnerable health care in KOICA partner countrie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use basic data to search for the timing, fields, and methods of support for Korea as a donor country. Even in the recent Corona-19 situation, Korea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s it has been well controlled by utilizing a high health care system. Now that it can be said that sufficient qualifications as a donor country have been verified, it is necessary to find a role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donor country and exporting K-quaranti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용어(알파벳순)]
      • [국문요약]
      • [Abstract]
      • [목차]
      • [표지]
      • [용어(알파벳순)]
      • [국문요약]
      • [Abstract]
      • [목차]
      • 표 목차
      • 그림 목차
      • [Ⅰ. 서론]
      • 1. 연구의 내용과 목적
      • [Ⅱ. 연구방법과 추진체계]
      • 1. 분석방법 및 추진체계
      • 2. 추진체계 및 일정
      • [Ⅲ. 연구결과]
      • 1. 선행연구의 고찰
      • 2. 평가지표 정의
      • 3. JEE분석 결과
      • [Ⅳ. 토의]
      • [Ⅴ. 결론]
      •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2. 추가연구의 필요성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