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녀 성별에 따른 인지 행동적 차이에 관한 연구- 색, 형태, 공간의 선호도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gnitive-behavior between different sex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reference over the color, shape and spa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1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 방법론 개발”의 일환으로 인지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남녀 성별에 따른 단순색채와 형태가 공간속에서 지각 될 때 나타나는 선호도의 변화패턴을 분석하여 주시요소와 흥미요소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디자인을 전공한 20대 총 258명을 대상으로 단순색채와 공간속의 색채, 단순형태와 공간속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변화를 조사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D의미 미분법 5점 척도를 실시하여 최종 선택된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SPSS 18을 이용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선호도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남녀 성별에 의한 단순색채와 단순형태, 그리고 공간속의 색채와 공간속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 변화패턴을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주시요소가 강하고 흥미요소가 약한 단순색채와 공간 속의 색채에 대한 선호도변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②주시요소가 약하고 흥미요소가 강한 단순형태와 공간속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변화 에서는 남성의 경우 원형의 순위만 바뀌었으나 여성은 순위가 전혀 다른 선호도를 나타났다. ③주시요소와 흥미요소가 같은 공간 속의 형태와 공간의 형태에서는 남녀가 같은 선호 유형을 보였다. ④SD 5점 척도분석에서는 단순색채와 공간속의 색채에 관련된 항목에서 남성은 공간성 이미지언어와 형태성 이미지언어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여성은 감정 이미지언어와 평가 이미지 언어 영역에서 적극적 반응을 보였다. ⑤공간 속의 형태에서는 색채와 반대로 남성이 감정언어와 평가 이미지 언어에서 적극적인 반면, 여성은 공간과 형태 이미지언어에서 적극적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와 근거는 3장에서 자세하게 다루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 방법론 개발”의 일환으로 인지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남녀 성별에 따른 단순색채와 형태가 공간속에서 지각 될 때 나타나는 선호도의 변화패턴을 분석하...

      본 연구는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 방법론 개발”의 일환으로 인지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남녀 성별에 따른 단순색채와 형태가 공간속에서 지각 될 때 나타나는 선호도의 변화패턴을 분석하여 주시요소와 흥미요소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디자인을 전공한 20대 총 258명을 대상으로 단순색채와 공간속의 색채, 단순형태와 공간속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변화를 조사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D의미 미분법 5점 척도를 실시하여 최종 선택된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SPSS 18을 이용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선호도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남녀 성별에 의한 단순색채와 단순형태, 그리고 공간속의 색채와 공간속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 변화패턴을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주시요소가 강하고 흥미요소가 약한 단순색채와 공간 속의 색채에 대한 선호도변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②주시요소가 약하고 흥미요소가 강한 단순형태와 공간속의 형태에 대한 선호도변화 에서는 남성의 경우 원형의 순위만 바뀌었으나 여성은 순위가 전혀 다른 선호도를 나타났다. ③주시요소와 흥미요소가 같은 공간 속의 형태와 공간의 형태에서는 남녀가 같은 선호 유형을 보였다. ④SD 5점 척도분석에서는 단순색채와 공간속의 색채에 관련된 항목에서 남성은 공간성 이미지언어와 형태성 이미지언어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여성은 감정 이미지언어와 평가 이미지 언어 영역에서 적극적 반응을 보였다. ⑤공간 속의 형태에서는 색채와 반대로 남성이 감정언어와 평가 이미지 언어에서 적극적인 반면, 여성은 공간과 형태 이미지언어에서 적극적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와 근거는 3장에서 자세하게 다루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e of the projects designed to develop the user specific design methods. Here,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theory,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 cognitive capability and the preference of the color and shape between sexes have been analyzed. The study was conducted onto 248 people in 20s who have majored in design to find out their preferences over the simple color, color in space, simple figure and figure in space. 100 people were finally selected using the 5-point scale of semantic differentials (SD), and their preferenc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8. The researches were made on their preferences over the spatial cognitive capability, the simple color and shape and the preference of color and shape in space between different sexes. The factor which gets the attention in their selection of the items in questionnaires has been check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Men showed the consistent preference over the simple color and the preference in space while the women showed different preference over the simple color and the preference in space. 2) In the preference over the simple figure and the figure in the space, men showed just the simple change in the order of the original while the women showed the complete difference in the order of preferences. 3) In the respect of the figure in the preferred space and the shape of the space, both sexes showed the similar preference. 4) In the category of simple color and the color in space of SD 5-points scale analysis, the men showed the active response toward the image language in the space and the shape type image language while women showed active responses to the emotional image language and evaluation image language. 5) In the figure in the space, unlike the case of the color, the men showed active response toward the emotion and evaluation image language while the females showed the active response to the space and shape type image language. The results and grounds of these analysis results have been handled in Chapter in details.
      번역하기

      This study is one of the projects designed to develop the user specific design methods. Here,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theory,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 cognitive capability and the preference of the color and shape between sexes have bee...

      This study is one of the projects designed to develop the user specific design methods. Here,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theory,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 cognitive capability and the preference of the color and shape between sexes have been analyzed. The study was conducted onto 248 people in 20s who have majored in design to find out their preferences over the simple color, color in space, simple figure and figure in space. 100 people were finally selected using the 5-point scale of semantic differentials (SD), and their preferenc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8. The researches were made on their preferences over the spatial cognitive capability, the simple color and shape and the preference of color and shape in space between different sexes. The factor which gets the attention in their selection of the items in questionnaires has been check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Men showed the consistent preference over the simple color and the preference in space while the women showed different preference over the simple color and the preference in space. 2) In the preference over the simple figure and the figure in the space, men showed just the simple change in the order of the original while the women showed the complete difference in the order of preferences. 3) In the respect of the figure in the preferred space and the shape of the space, both sexes showed the similar preference. 4) In the category of simple color and the color in space of SD 5-points scale analysis, the men showed the active response toward the image language in the space and the shape type image language while women showed active responses to the emotional image language and evaluation image language. 5) In the figure in the space, unlike the case of the color, the men showed active response toward the emotion and evaluation image language while the females showed the active response to the space and shape type image language. The results and grounds of these analysis results have been handled in Chapter in detai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이클 거리안, "회사속의 남과 여 그차이의 심리학" 지식 노마드 2009

      2 이태희, "인터넷 쇼핑행동에서 성별의 차이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효정, "인지행동치료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방임아동의 인지오류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4 최성수, "음양오행론을 활용한 오감 멀티 테라피 디자인 방법론 연구 - 사주명리학에 근거한 음양오행의 태과와 불급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991-1006, 2014

      5 김순덕,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인지행동의 차이"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2004

      6 서정이, "아동의 성별에 따른 색채선호와 연상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북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3

      7 박재우, "심리적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양극성 장애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성수, "색 환경이 공간의 감성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BTI 성격 분류론과 뇌파의 교차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561-573, 2011

      9 최성수, "사주리명학을 활용한 시각 환경의 감성평가 방법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211-224, 2011

      10 이신애, "남녀 중학생의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 마이클 거리안, "회사속의 남과 여 그차이의 심리학" 지식 노마드 2009

      2 이태희, "인터넷 쇼핑행동에서 성별의 차이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효정, "인지행동치료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방임아동의 인지오류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4 최성수, "음양오행론을 활용한 오감 멀티 테라피 디자인 방법론 연구 - 사주명리학에 근거한 음양오행의 태과와 불급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991-1006, 2014

      5 김순덕,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인지행동의 차이"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2004

      6 서정이, "아동의 성별에 따른 색채선호와 연상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북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3

      7 박재우, "심리적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양극성 장애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성수, "색 환경이 공간의 감성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BTI 성격 분류론과 뇌파의 교차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561-573, 2011

      9 최성수, "사주리명학을 활용한 시각 환경의 감성평가 방법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211-224, 2011

      10 이신애, "남녀 중학생의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1 정현원, "감성의 개념 및 어휘 체계 정립을 통한 공감각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실내마감재료의 시촉각 감성평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08

      12 "naver.com/지식백과/Aaron Beck"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