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H 대학교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을 분석하여 지역대학에 중요한 재학생 충원율을 상승시키는 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는 중도탈락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94775
천안 :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2024. 8
2023
한국어
혼합효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 로지스틱 회귀분석 ; 중도탈락 ; 예측모형
충청남도
; 26 cm
지도교수: 연규필
I804:44018-20000081507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H 대학교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을 분석하여 지역대학에 중요한 재학생 충원율을 상승시키는 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는 중도탈락의 ...
본 연구는 H 대학교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을 분석하여 지역대학에 중요한 재학생 충원율을 상승시키는 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는 중도탈락의 패턴을 확인해보았는데,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는 정시모집에 입학한 학생들의 중도탈락이 높고, 서울 인천지역 소재의 학생들이 중도탈락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입학전형이 수능인 경우와 첫 학기 성적이 중도탈락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로는 혼합효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학과의 특성에 따라 모형의 결과값이 다르게 나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도탈락 학생을 예측할 때 기존의 방식인 성적이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만 이탈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학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혼합효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이탈 할 수 있는 학생들을 예측해본다면 성적이 낮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성적이 높은데도 중도탈락 할 수 있는 학생들을 예측한다면, 교내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들을 통해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