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함석헌의 민중·생명사상과 평화 : 요한 갈퉁의 평화이론의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4187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40 판사항(6)

      • DDC

        32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iii, 8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윤순갑
        참고문헌: p. 74-79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생명사상’에 바탕을 둔 평화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함석헌의 ‘민중(씨ᄋᆞᆯ)사상’과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그것을 현대 평화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요한 갈퉁(Johan Galtung)의 평화이론과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함석헌의 사상이 지닌 평화에 대한 인식과 관점을 체계적으로 다루어보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구상이다. 주지하다시피 요한 갈퉁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인식되는 평화를 ‘소극적 평화’, 구조적‧문화적 폭력의 부재 상태를 ‘적극적 평화’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갈퉁이 주장한 ‘평화’를 기준으로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검토해보도록 한다.
      Ⅱ장에서는 논문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함석헌의 사상을 다룬 국내의 선행연구 검토를 할 것이다. 그의 평화주의, 평화지향적 부문에 대한 연구가 정밀하게 검토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사고해 볼 것이다. 이처럼 과거와 현재의 평화를 적절히 규정한 갈퉁의 평화사상이 지닌 핵심적인 두 범주를 다루는 논문의 ‘분석틀’을 마련하여,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다루는 Ⅲ장과 Ⅳ장에서 이것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함석헌의 민중사상에 나타난 평화에 대해 면밀히 살펴본다. 여기서는 그의 민중사상에서의 주요개념인 ‘고난사상’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민중론, 민중평화론, 민중주권론(반국가주의 사상)을 각각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함석헌의 생명사상에 나타난 평화를 심도있게 살펴볼 것이다. 생명사상도 민중사상과 마찬가지로 ‘고난’을 바탕에 두고 있다. 함석헌에게 있어 고난은 하나님의 섭리이며, 생명의 원리가 된다. 생명은 고난이며, 고난은 생명의 근본원리이며, 고난을 통해서 자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함석헌의 생명사상에 나타난 평화에 대한 입장과 평화의 실현방법을 요한갈퉁이 제시한 평화의 개념을 통해 언급한다.
      Ⅴ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종합하여 함석헌의 민중‧생명사상에 대한 평화학적 평가 및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 여기서 함석헌의 사상은 현대 평화학의 틀에서 비판될 수 있지만, 함석헌의 사상이 지닌 평화지향적 요소들은 여전히 현대 평화이론과 상통하는 지점이 있으며 현대 사회가 나아갈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으로 끝맺음을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생명사상’에 바탕을 둔 평화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함석헌의 ‘민중(씨ᄋᆞᆯ)사상’과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생명사상’에 바탕을 둔 평화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함석헌의 ‘민중(씨ᄋᆞᆯ)사상’과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그것을 현대 평화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요한 갈퉁(Johan Galtung)의 평화이론과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함석헌의 사상이 지닌 평화에 대한 인식과 관점을 체계적으로 다루어보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구상이다. 주지하다시피 요한 갈퉁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인식되는 평화를 ‘소극적 평화’, 구조적‧문화적 폭력의 부재 상태를 ‘적극적 평화’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갈퉁이 주장한 ‘평화’를 기준으로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검토해보도록 한다.
      Ⅱ장에서는 논문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함석헌의 사상을 다룬 국내의 선행연구 검토를 할 것이다. 그의 평화주의, 평화지향적 부문에 대한 연구가 정밀하게 검토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사고해 볼 것이다. 이처럼 과거와 현재의 평화를 적절히 규정한 갈퉁의 평화사상이 지닌 핵심적인 두 범주를 다루는 논문의 ‘분석틀’을 마련하여,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다루는 Ⅲ장과 Ⅳ장에서 이것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함석헌의 민중사상에 나타난 평화에 대해 면밀히 살펴본다. 여기서는 그의 민중사상에서의 주요개념인 ‘고난사상’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민중론, 민중평화론, 민중주권론(반국가주의 사상)을 각각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함석헌의 생명사상에 나타난 평화를 심도있게 살펴볼 것이다. 생명사상도 민중사상과 마찬가지로 ‘고난’을 바탕에 두고 있다. 함석헌에게 있어 고난은 하나님의 섭리이며, 생명의 원리가 된다. 생명은 고난이며, 고난은 생명의 근본원리이며, 고난을 통해서 자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함석헌의 생명사상에 나타난 평화에 대한 입장과 평화의 실현방법을 요한갈퉁이 제시한 평화의 개념을 통해 언급한다.
      Ⅴ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종합하여 함석헌의 민중‧생명사상에 대한 평화학적 평가 및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 여기서 함석헌의 사상은 현대 평화학의 틀에서 비판될 수 있지만, 함석헌의 사상이 지닌 평화지향적 요소들은 여전히 현대 평화이론과 상통하는 지점이 있으며 현대 사회가 나아갈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으로 끝맺음을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word, It is a thesis that studies his thoughts on peace in Ham Suk-Heon 's idea. It is precisely the study of Peace in Minjung and Life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peace scholar Johan Galtung's theory of peace. In order to study his idea of peace, the text wa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Ⅱ, I explain the 'negative peace' and 'positive peace' presented in Johann Galtung's theory of peace. I have outlined the position of John Galtung, who argues that positive peace should be implemented to eliminat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s well as negative peace to reduce direct violence. In this way, I have established a 'framework of analysis' that covers two key categories of the peace thought of Galtung, which appropriately defined past and present peace, and applied it in Chapters III and IV of Ham Seok Heon's Peace Thought.
      ChapterⅢ, deals with Ham Suk-Heon's Minjung Thought. He refers to Christian minority theory, Minjung peace theory, and Minjung sovereignty based on his philosophical thoughts, and his Minjung Thought based on Suffering Thought show that he stands in a posi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peace. In ChapterIV, I briefly reviewed Ham Suk-Heon's Thought of life. Life thought is based on suffering as well as Minjung thought. In Ham Suk-Heon, suffering is the providence of God and the principle of life. ChapterⅤ summarizes the above points and concludes the peaceful evaluation and conclusion of Ham Suk-heon's Thought of Minjung and Life.
      Ham Suk-heon's ideas can be criticized in the framework of modern peace studies, but the peace-oriented elements of Ham Suk-hun's ideas still point to the point of contemporary peace theory and suggest ways for modern society to move forward.
      번역하기

      In a word, It is a thesis that studies his thoughts on peace in Ham Suk-Heon 's idea. It is precisely the study of Peace in Minjung and Life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peace scholar Johan Galtung's theory of peace. In order to study h...

      In a word, It is a thesis that studies his thoughts on peace in Ham Suk-Heon 's idea. It is precisely the study of Peace in Minjung and Life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peace scholar Johan Galtung's theory of peace. In order to study his idea of peace, the text wa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Ⅱ, I explain the 'negative peace' and 'positive peace' presented in Johann Galtung's theory of peace. I have outlined the position of John Galtung, who argues that positive peace should be implemented to eliminat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s well as negative peace to reduce direct violence. In this way, I have established a 'framework of analysis' that covers two key categories of the peace thought of Galtung, which appropriately defined past and present peace, and applied it in Chapters III and IV of Ham Seok Heon's Peace Thought.
      ChapterⅢ, deals with Ham Suk-Heon's Minjung Thought. He refers to Christian minority theory, Minjung peace theory, and Minjung sovereignty based on his philosophical thoughts, and his Minjung Thought based on Suffering Thought show that he stands in a posi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peace. In ChapterIV, I briefly reviewed Ham Suk-Heon's Thought of life. Life thought is based on suffering as well as Minjung thought. In Ham Suk-Heon, suffering is the providence of God and the principle of life. ChapterⅤ summarizes the above points and concludes the peaceful evaluation and conclusion of Ham Suk-heon's Thought of Minjung and Life.
      Ham Suk-heon's ideas can be criticized in the framework of modern peace studies, but the peace-oriented elements of Ham Suk-hun's ideas still point to the point of contemporary peace theory and suggest ways for modern society to move forwa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범위와 방법 5
      •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논문의 분석틀 9
      • 1. 선행연구 검토 9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범위와 방법 5
      •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논문의 분석틀 9
      • 1. 선행연구 검토 9
      • 2. 주요개념에 대한 논의 14
      • 1) 요한 갈퉁의 평화이론 14
      • (1) 소극적 평화 14
      • (2) 적극적 평화 17
      • 2) 함석헌 사상에서 민중(씨알)과 생명 20
      • (1) 민중(씨알) 20
      • (2) 생명 24
      • 3. 본 논문의 분석틀 29
      • Ⅲ.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평화 31
      • 1. 함석헌의 민중사상 개관 31
      • 2. 함석헌의 민중사상에서 평화인식 33
      • 1) 전쟁의 부재는 곧 평화 34
      • 2) 민중적 관점에서 본 구조적 폭력 37
      • 3) 민중적 관점에서 본 문화적 폭력 40
      • 3. 함석헌의 민중사상에서 평화 실현방법 42
      • 1) 우호적 협력관계를 통한 세계평화의 기획 42
      • 2) 씨알의 통일, 과학화, 비폭력주의를 통한 평화 실현 45
      • Ⅳ. 함석헌의 생명사상과 평화 51
      • 1. 함석헌의 생명사상 개관 51
      • 2. 함석헌의 생명사상에서 평화인식 54
      • 1) 전쟁의 부재를 통한 평화 구현 54
      • 2) 생명적 관점에서 본 구조적 폭력 58
      • 3) 생명적 관점에서 본 문화적 폭력 60
      • 3. 함석헌의 생명사상에서 평화 실현방법 62
      • 1) 못남과 약함을 통한 평화 실현 62
      • 2) 평화운동의 실천과 스스로 함을 통한 평화 실현 64
      • Ⅴ. 결론 71
      • 참고문헌 74
      • 영문초록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