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인구센서스 마이크로테이터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 ‘고용의 질’이 공간적으로 어뗜 변화과정을 겪었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비교분석뿐만 아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40913
2013
Korean
학술저널
47-72(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구센서스 마이크로테이터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 ‘고용의 질’이 공간적으로 어뗜 변화과정을 겪었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비교분석뿐만 아니...
이 연구는 인구센서스 마이크로테이터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 ‘고용의 질’이 공간적으로 어뗜 변화과정을 겪었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비교분석뿐만 아니라, 수도 권내 하위 노동시장권역간의 고용의 질 분포를 함께 비교하였다.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1단계로 『경활 고용형태별 부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인구학적 특성(성․연령․교육수준․혼인상 태) 및 일자리 특성(산업 및 직업)별 임금추정식의 계수값을 산출한 후, 2단계로 인구총조사 2000년 및 2010년 마이크로데이터 를 이용하여 개인별 임금추정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개인 별 추정임금을 순위별로 정렬하여 지역노동시장권 및 일자리 분위별 고용의 질 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10년간 고용의 양적 및 질적 측면에서 수도권 집중은 정체 혹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상위 10%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은 오히려 심화되었으며, 특히 서울 북부권의 경우 전체적인 고용량 및 고용의 질이 모두 하락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지 역정책이 수도권 집중을 완화시켰다는 점에서 성과가 있으나, 최상위 일자리의 경우 수도권과 비수 도권간 고용의 질의 양극화를 초래했다는 측면에서 부정적 효과도 함께 발생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정책을 설계할 때 고용의 양적 요소뿐만 아니라 질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between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in Korea. We als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between LLMAs(local labour market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between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in Korea. We als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between LLMAs(local labour market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this purpose, we first estimate the coefficients of demographic and job characteristics as covariates in wage equations, using data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the next stage, we calculate individual wages using census data and the coefficients from the first stage. Finally, we draw employment quality indices for each LLMA.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top 50% and 25% jobs in the capital region has slowed or stopped over the last 10 years. However, the capital region’s share of the top 10% jobs has grown during the same period. Particularly, the northern areas in the Seoul LLMAs saw deterioration in terms of both job quality and quantit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qualitative elements, as well as quantitative element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signing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사회적 기업은 일자리 사업인가 - 사회적 경제와 산 노동의 관점에서 -
울산 북구 공공여가시설 특징과 정책과제 - 근무형태 변경 교대제 근무자의 이용접근성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