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조선시대 귀태(鬼胎) 소재 설화의 문화사회적 의의와 한계 = A study of cultural sociology`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n the "pregnancy by ghost"(鬼胎) themed narratives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1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귀태란 귀신이 갖게 한 아이라는 뜻이다 인지와 과학이 발전한 조선 시대에도 귀태에 대한 속설이 전승되고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조선 중후 기로 갈수록 설화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유형화...

      귀태란 귀신이 갖게 한 아이라는 뜻이다 인지와 과학이 발전한 조선 시대에도 귀태에 대한 속설이 전승되고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조선 중후 기로 갈수록 설화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유형화되면서 재생산된 귀태 소 재 설화를 대상으로 그 의미 지향과 문화사회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귀태란 가부장 이데올로기가 극단적으로 실현되었을 때 성적 피해 여 성과 그 가족을 보호하는 사회적 안전장치로 기능했다 설화에서도 이 산해 탄생담 한양조씨 시조담 사자생손혈 설화의 주요 모티프로 자 리 잡으면서 귀태는 정치 신앙 과학적 차원에서 진실의 영역으로 편입되고 있으며 윤리적으로도 가부장적 가치를 위배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곧 개별적인 도깨비 경험담으로 이야기되던 귀태 소재가 본격담의 주요 모티프로 자리 잡은 것은 혼외 임신한 여성과 아이를 가 부장 사회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문화정치적 실천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귀태에 대한 문화사적 맥락이 깨어지기 시작한 것은 근대화와 함께 풍 속과 사건의 일환으로 이를 보고하면서부터이다 한국에 대한 식민 지배를 준비하며 민속을 샅샅이 조사했던 일본학자와 관리에 의해 귀태는 귀신 신앙의 일부로 보고되었고 개화기 신문 기사들을 통해 도깨비불 사건의 전모가 고발되면서 귀태는 그 발생의 사회문화적인 맥락이 제거 된 채 음란한 여성과 전근대적이고 우매한 조선을 노골적으로 부각시키게 되었다 이는 환상 장치를 통해 성적 피해자들을 포용하고자 했던 귀 태 소재가 지닌 시대적인 한계라고도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oseon period, there is traditionally said that a ghost gets a woman with a child. Joseon Dynasty has mad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on the other hand many people believed the child of ghost.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the meaning and signi...

      In Joseon period, there is traditionally said that a ghost gets a woman with a child. Joseon Dynasty has mad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on the other hand many people believed the child of ghost.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pregnancy by ghost’ theme which narrative types had formed in Joseon Dynasty. When patriarchal ideology extremely realized in Joseon period, pregnancy by ghost(鬼胎) narrative could protect to sexually abused woman and her family. in the case of narrative, ‘pregnancy by ghost’ had become the essential motif in a famous politician/ a noble family/ feng-shui(風水) legend, its bona fides was proved with politics /belief/ science way. For these narrative, to accept this offspring is needed as a value to maintain the patriarchal society. ‘pregnancy by ghost’ narratives had developed from simple ghost stories to full-scaled stories, so I interpreted this was the culture-political activities to accept a extramarital pregnant woman and her illegitimate child. The view point of ‘pregnancy by ghost’ had changed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Joseon. Japanese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vestigated Joseon’s culture thoroughly for colonization. At that time ‘pregnancy by ghost’ phenomenon was reported a part of ghost’s relief. Add to this the newspaper researched the fact and the meaning of wildfires. By removing the significant meaning from this cultural phenomena, it is criticized as adultery woman’s lie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ignorant Joseon people. ‘pregnancy by ghost’ narrative is not direct resistance against patriarchal sexual norm but a kind of narrative tools for the village community to accept victims of sexual abuse, in this reason it should be reached the limit to keep the meaning of fantasy as time goes 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나래, "희생명당 풍수설화에 나타난 구복(求福)행위의 의미와 결과에 대한 일고찰 -‘사자생손형(死子生孫型)’, ‘유복자삼정승형(遺腹子三政丞型)’, ‘재취후손형(再娶後孫型)’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7) : 141-175, 2013

      2 강내희,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문화사회를 위한 비판적 문화연구" 문화과학사 1-479, 2003

      3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1-332, 1994

      4 정명기, "한국야담자료집성" 계명문화사 1987

      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헌설화전집" 민족문화사

      6 강등학,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1-574, 2002

      7 "한국구비문학대계(전 82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8 강진옥, "한국 구비문학사 연구" 박이정 37-73, 1998

      9 이영수, "하음 봉씨 성씨 시조설화 연구" 한국사연구회 10 : 95-116, 1999

      10 주디스 허먼, "트라우마" 플래닛 1-454, 2007

      1 홍나래, "희생명당 풍수설화에 나타난 구복(求福)행위의 의미와 결과에 대한 일고찰 -‘사자생손형(死子生孫型)’, ‘유복자삼정승형(遺腹子三政丞型)’, ‘재취후손형(再娶後孫型)’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7) : 141-175, 2013

      2 강내희,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문화사회를 위한 비판적 문화연구" 문화과학사 1-479, 2003

      3 김종대,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1-332, 1994

      4 정명기, "한국야담자료집성" 계명문화사 1987

      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헌설화전집" 민족문화사

      6 강등학,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1-574, 2002

      7 "한국구비문학대계(전 82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8 강진옥, "한국 구비문학사 연구" 박이정 37-73, 1998

      9 이영수, "하음 봉씨 성씨 시조설화 연구" 한국사연구회 10 : 95-116, 1999

      10 주디스 허먼, "트라우마" 플래닛 1-454, 2007

      11 "지봉유설" 누리미디어

      12 조창희, "조선후기 무뢰배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국제협력연구원 22 : 87-103, 2004

      13 심재우, "조선후기 국가권력과 범죄 통제-『심리록』 연구" 태학사 1-346, 2009

      14 이마무라 도모, "조선풍속집:제국의 경찰이 본 조선풍속" 민속원 1-511, 2011

      15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 한울 1-171, 2003

      16 장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429, 1997

      17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귀신" 동문선 1-472, 1990

      18 박주, "조선시대 昌寧지역의 효자, 효녀, 열녀" 한국사상문화학회 (67) : 103-128, 2013

      19 아키바 다카시, "조선민속지" 1-422, 1993

      20 장병인, "조선 중·후기 간통에 대한 규제의 강화" 한국사연구회 121 (121): 4-116, 2003

      21 홍양희, "이마무라 도모(今村鞆)의 『朝鮮風俗集』과 조선사회 인식: 가족과 관련된 풍속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45): 293-324, 2009

      22 "용천담적기"

      23 정명기, "양은천미" 보고사 2000

      24 미셀 푸코, "안전, 영토, 인구" 난장 1-575, 2011

      25 황인덕, "아계(鵝溪) 사행몽교탄생(使行夢交誕生)담 연구"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5 : 153-178, 2010

      26 "속대전" 법제처 1965

      27 서해숙, "성씨시조신화의 전승과 분포 그리고 문화권역" 남도민속학회 (19) : 97-126, 2009

      28 "설화유형분류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29 조현범, "문명과 야만-타자의 시선으로 본 19세기 조선" 책세상 1-187, 2002

      30 매티 윌콕스 노블, "노블일지 1892~1934" 이마고 1-352, 2010

      31 "내고향 해제고을" 해제면지발간위원회 1988

      32 김기란, "근대 계몽기 매체의 코드화 과정을 통한 여성인식의 개연화 과정 고찰-『제국신문』의 여성 관련 기사 분석을 통해-" 한국여성문학학회 (26) : 7-39, 2011

      33 "고신문"

      34 유화수, "계서야담" 국학자료원 2003

      35 홍나래, "간통 소재 설화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6 김준형, "『覺睡錄』에 나타난 性과 그 의미" 국어문학회 40 : 95-127, 2005

      37 홍나래,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덕(德)의 의미와 그 수용 양상" 한국구비문학회 (33) : 197-226, 2011

      38 황인덕, "<조카의 반심을 교화한 토정> 전설의 역사의식과 역사배경" 어문연구학회 63 : 217-244, 2010

      39 권기석, "15~17세기 족보 편찬과 참여계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