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 연구 : 개척, 장학생, 그리고 후진양성 = The Study on the Studying Abroad of Korea Holiness Church after Liberation: Pioneer, Scholarship, an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1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analyze the studying abroad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after liberation in 1945. After liberation, the flow of studying abroad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rom liberation to 1975 and after 1975. In the former case, it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 pioneering the way to study abroad without the help of the church. In the latter case, it is the time when the support of the church began to be activated. There are three important topics for studying abroad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One is pioneering, and a second is scholarship. Pioneering has a dual meaning, and early international students pioneered the way to study abroad without the help of the church, and pioneered the church in the foreign country where they studied. After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without help of the church, support at the church appeared, but nevertheless, international students entered foreign schools that they wanted without help of the church. Finally, international students helped foster younger generations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and various univers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analyze the studying abroad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after liberation in 1945. After liberation, the flow of studying abroad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rom libera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analyze the studying abroad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after liberation in 1945. After liberation, the flow of studying abroad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rom liberation to 1975 and after 1975. In the former case, it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 pioneering the way to study abroad without the help of the church. In the latter case, it is the time when the support of the church began to be activated. There are three important topics for studying abroad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One is pioneering, and a second is scholarship. Pioneering has a dual meaning, and early international students pioneered the way to study abroad without the help of the church, and pioneered the church in the foreign country where they studied. After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without help of the church, support at the church appeared, but nevertheless, international students entered foreign schools that they wanted without help of the church. Finally, international students helped foster younger generations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and various univers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을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의 흐름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해방 이후부터 1975년까지와 1975년 이후이다. 전자의 경우 교단의 도움 없이 개개인이 유학의 길을 개척했다는 특징이 있다. 후자의 경우 교단의 지원이 활성화된 시기이다.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에는 중요한 세 가지 주제가 있다. 하나는 개척이며, 다른 하나는 장학생이다. 개척은 중의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초기 유학생들 은 교단의 도움 없이 유학의 길을 개척하였고, 유학지에서는 교회를 개척하였 다. 유학 개척의 시기가 지나자, 교단 차원의 지원이 등장하였지만, 그럼에도 실질적인 유학 개척은 유학생들이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학생들은 서울신학 대학과 여러 대학에서 후진양성에 힘을 보탰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을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의 흐름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해방 이후부터 1975년까지와 1975년 이후...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을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의 흐름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해방 이후부터 1975년까지와 1975년 이후이다. 전자의 경우 교단의 도움 없이 개개인이 유학의 길을 개척했다는 특징이 있다. 후자의 경우 교단의 지원이 활성화된 시기이다. 한국성결교회의 유학에는 중요한 세 가지 주제가 있다. 하나는 개척이며, 다른 하나는 장학생이다. 개척은 중의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초기 유학생들 은 교단의 도움 없이 유학의 길을 개척하였고, 유학지에서는 교회를 개척하였 다. 유학 개척의 시기가 지나자, 교단 차원의 지원이 등장하였지만, 그럼에도 실질적인 유학 개척은 유학생들이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학생들은 서울신학 대학과 여러 대학에서 후진양성에 힘을 보탰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활천"

      2 강일구총장희수기념문집편집위원회, "호야호야 好也好也 77" 도서출판 동연 2021

      3 윤은석, "해외 유학의 통로로서 십자군 장학생에 대한 역사적 연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33-61, 2021

      4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성결교회 100년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12

      5 조종남, "하늘 연어"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6

      6 "조선일보"

      7 장경호, "일제강점기 미국유학생의 기독교 인식과 학습" 한국학연구소 54 : 183-211, 2020

      8 김봉섭, "이승만정부의 해외유학인재 정책" 재외한인학회 (34) : 323-357, 2014

      9 이만신, "선한 싸움 싸우고 달려갈 길 마치며" 도서출판 청파 2000

      10 정진경, "목적이 분명하면 길은 열린다" 주식회사 홍성사 2008

      1 "활천"

      2 강일구총장희수기념문집편집위원회, "호야호야 好也好也 77" 도서출판 동연 2021

      3 윤은석, "해외 유학의 통로로서 십자군 장학생에 대한 역사적 연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33-61, 2021

      4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성결교회 100년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12

      5 조종남, "하늘 연어"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6

      6 "조선일보"

      7 장경호, "일제강점기 미국유학생의 기독교 인식과 학습" 한국학연구소 54 : 183-211, 2020

      8 김봉섭, "이승만정부의 해외유학인재 정책" 재외한인학회 (34) : 323-357, 2014

      9 이만신, "선한 싸움 싸우고 달려갈 길 마치며" 도서출판 청파 2000

      10 정진경, "목적이 분명하면 길은 열린다" 주식회사 홍성사 2008

      11 백창현, "대한민국 군종 목사 67년사 1948-2015" 한국군목회 2015

      12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회의록 (1949~1994)"

      13 최종진, "구약성서개론" 도서출판 소망사 2001

      14 강일구, "개치네쒀" 도서출판 동연 2021

      15 "A Visit from Major Huh Chaplain Korean Air Force"

      16 Kilbourne, Elmer, "A Desperate Soul"

      17 윤은석, "6․25전쟁 중 개신교의 군내 활동과 정신전력 : 군목과 신앙 군인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7) : 1-52, 2018

      18 장영민, "1950년대 도미유학과 유학생의 미귀국" 한국근현대사학회 (96) : 303-340,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7 0.76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