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화성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관계 유형 연구 ― 『백화』와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Female Characters Relationship in Park Hwaseong’s Novels ― Focusing on Park Hwaseong’s “Baekhwa” and “Crossing over the Pas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박화성은 목포 출신의 여성 작가로 일제 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 작품 활동을 해온 다작의 작가이다. 그녀의 해방이전 작품에 대해서는 식민지하 조선 민중이 겪는 고난과...

      박화성은 목포 출신의 여성 작가로 일제 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 작품 활동을 해온 다작의 작가이다. 그녀의 해방이전 작품에 대해서는 식민지하 조선 민중이 겪는 고난과 시련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해방 이후 발표한 다수의 소설에서도 박화성은 역사의 격변 속에서 고뇌하고 방황하는 당대 젊은이들의 모습을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박화성은 자신의 소설에서 여성의 주체화에 대해 누구보다 심혈을 기울인 작가이다. 그녀의 여성 주인공들은 단순히 소설 속의 인물이 아니라 시대적 의미를 온몸으로 표현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특히 1945년 해방을 기점으로 해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의 모습이 달라졌으며 또 여성 스스로 이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반면 그녀의 창작론이 가부장이데올로기에 편향되어 있으며 소설 속 여성 주인공 역시 남성의 지도를 받아 전근대적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박화성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여성해방의식과 가부장이데올로기 양쪽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식민지배라는 사회적 모순이 야기한 불가피한 면이기도 하다. 나아가 지식의 전수가 지식인 남성을 통해 이루어졌던 특수한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그녀가 그리고 있는 여성인물은 해방을 기준으로 구별된다. 해방이전 즉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독립과 계급해방이 최우선이기에 이를 함께할 동지적 관계가 가장 중요했다. 이 목표에 동참하지 않는 여자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여성 유형은 동지적 관계와 적대적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해방이후에는 조국의 근대화라는 대의명분아래 다양한 인물들이 협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이런 이유로 여성들의 성격도 개성적이면서 상호 보완적이었다. 반면 그러한 목적에 동조하지 않거나 올바른 여성의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 여자들을 배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여성 유형은 보완적 관계와 배제적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해방이전의 주제였던 민족독립과 계급해방이 점차 신세대의 독립선언으로 이어지는 경향도 보인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에서 여성의 성격과 관계도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세대의식은 전통과의 단절 및 쇄신을 의미하며 더불어 여성에게 신세대를 양육하고 가르칠 의무를 부여했다. 따라서 박화성의 여성인식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변화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 Hwaseong is a female writer from Mokpo who worked for a long tim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he 1980s. For her works before the Liberation, the mainstream was the fact that she painstakingly portrayed the suffering and trials the pe...

      Park Hwaseong is a female writer from Mokpo who worked for a long tim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he 1980s. For her works before the Liberation, the mainstream was the fact that she painstakingly portrayed the suffering and trials the people in colonized Joseon were experiencing. She also showed the contemporary young people who were agonizing and wandering in the cataclysm of history in the novel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Park Hwaseong is a writer who is more concerned about the subjectivity of women in his novels. Her female characters are not simply characters in novels, but characters who express the meaning of the times in whole body. Especially in 1945, it shows a great change based on the Liberation, showing that women that the society demands turn to be different and that women themselv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what the society demands. On the other hand, her creative theory was biased toward patriarchal ideology and there was a criticism that female characters in her novels also had premodern values by being guided by men.
      It can be said that Park Hwaseong's perception of women includes both women's liberation consciousness and patriarchal ideology. This is also an inevitable aspect caused by the social contradiction of colonialism. Furthermore, this is also also related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where the transfer of knowledge was done through the intellectuals of men
      The female character she depicts is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e Liberation. In the pre-Liberation period, that i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and the liberation of classes were top priority, so the comrade relationship along with them was the most important. And negative attitudes were shown toward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is goal. Therefore, the types of women in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comrade relationship and hostile relationship.
      After the Liberation, it was most important for the various people to cooperate under the name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For this reason, the personality of the women was also individualistic and complementary. On the other hand, it tends to rule out women who do not agree to such a purpose or who do not fit the correct identity of a woman. Therefore, the types of women in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complementary and exclusionary relations.
      On the other hand, national independence and class liberation, which were the themes before the Liberation, gradually tend to lead to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new generation.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the nature and relationship of women were changing in this process. The new generation consciousness meant a break with the tradition and a renewal, and it granted women the duty to nurture and teach the new generation. Thus, it is said that Park Hwaseong’s perception of women has changed in response to this tren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