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관련체력과 등속성 하...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관련체력과 등속성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 변화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운동관련체력의 변화에서 코어 트레이닝 집단은 좌측 순발력, 우측 순발력, 근지구력, 스피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은 민첩성, 좌측 순발력, 우측 순발력, 근지구력, 스피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응력에서는 코어 트레이닝 집단,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트레이닝 유형과 운동관련체력 요인의 다변량 검증에서는 민첩성, 좌측 순발력, 우측 순발력, 스피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트레이닝 유형과 포지션 간 상호작용 검증에서는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등속성 하지근력의 변화에서 코어 트레이닝 집단은 60°/sec Peak torque에서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80°/sec Total work에서는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은 60°/sec Peak torque에서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80°/sec Total work에서는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트레이닝 유형과 등속성 하지근력의 다변량 검증에서는 60°/sec Peak torque의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 180°/sec Total work의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트레이닝 유형과 포지션 간 상호작용 검증에서는 180°/sec Total work의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균형능력의 변화에서 코어 트레이닝 집단은 정적 균형능력의 이동면적, 이동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에서는 이동면적의 좌측, 우측, 전방, 후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에는 정적 균형능력의 이동면적, 이동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에서는 이동면적의 좌측, 우측, 전방, 후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트레이닝 유형과 균형능력의 다변량 검증에서는 정적 균형능력의 이동면적, 이동길이, 동적 균형능력의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이동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트레이닝 유형과 포지션 간 상호작용 검증에서는 동적 균형능력의 후방 이동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한 결과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관련체력과 등속성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코어 트레이닝은 성장기의 발전 가능성이 많은 중학교 축구선수들에게 있어서 포지션별 알맞은 체력요인 향상과 체간 밸런스, 코어 안정성, 유연성, 균형능력 등을 향상시키고,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대퇴부의 근력향상 및 슬관절 주변근의 기능발달로 근육과 건 단위의 잠재력을 극대화시켜 중학교 축구선수들이 경기상황 중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포지션에 관계없이 경기력에 직결되는 운동관련 체력요소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