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장(腹藏)과 한국 불교미술사 연구 - 회고와 전망 - = The Bokjang and Studies of Korean Buddhist Art History : The State of the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6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복장(腹藏)은 불상, 불화의 조성을 마친 다음 불전에 봉안하기 전에 예경의 대상으로서 이들을 전화(轉化)하기 위해 거행되는 불교 의례와 의례 도중 납입된 모든 물목을 일컫는다. 복장은 ...

      복장(腹藏)은 불상, 불화의 조성을 마친 다음 불전에 봉안하기 전에 예경의 대상으로서 이들을 전화(轉化)하기 위해 거행되는 불교 의례와 의례 도중 납입된 모든 물목을 일컫는다. 복장은 늦어도 12󰠏13세기에는 성립됐으며, 14세기에는 중요한 의례 중 하나로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복장은 핵심 용기와 그 내외부의 장엄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나, 발원문을 비롯한 여러 문서, 불교전적과 사경, 다라니와 만다라, 직물과 복식 등을 포괄한다. 이와 같은 복장의 복합적인 성격상 서지학, 미술사, 불교사, 복식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개별적인 측면에 대해 부단히 연구해왔다. 그중 미술사학계에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복장 자료를 불교미술사 연구에 활용해왔다. 첫째, 복장기록의 분석을 통해 불상의 제작배경, 제작자와 후원자의 성격, 불교 신앙의 양상을 분석했다. 둘째, 복장 유물과 소의경전의 비교를 통해 복장의 성립과 의례로서의 성격 규정을 시도했다. 특히 최신 연구에서는 복장의 밀교적 성격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가 벌어졌다. 한국에는 밀교와 관련된 유물과 문헌이 영성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밀교가 뿌리내리지 못했던 것으로 이해돼왔다. 즉, 복장은 이와 같은 기존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자료로서 고려시대 불교미술사 연구의 지평 확대에 이바지했다. 한편 복장의 밀교적 요소에 주목한 최근 미술사학계의 접근은 고려시대 밀교에 대한 역사학계의 기존 성과와 유리되어 진행된 측면이 있다. 학제의 벽을 넘어선 복장 자료의 통섭적인 연구를 통해 고려시대 불교미술사를 재조명할 필요가 제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kjang (pokchang) refers to both a consecration ritual of Buddhist images and material remains of the ritual retrieved from the inner recesses of Korean Buddhist images. Bokjang deposit centered on a container functioning as the symbolic heart of the...

      Bokjang (pokchang) refers to both a consecration ritual of Buddhist images and material remains of the ritual retrieved from the inner recesses of Korean Buddhist images. Bokjang deposit centered on a container functioning as the symbolic heart of the Buddha, but typically included votive texts, Buddhist texts and illuminated sutras, dharanis and mandalas, textiles and used clothing, etc. Due to the inclusive nature of the bokjang, scholars of diverse fields such as art history, bibliography, Buddhist studies and textile studies have examined individual aspects of the bokjang. In particular, art historians have utilized bokjang materials in two major ways. First, they examined issues of patronage, Buddhist belief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Buddhist images by examining votive texts and inscriptions found among the bokjang materials. Second, they attempted to define the nature of bokjang as a ritual based on comparisons of objects retrieved from the bokjang and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In recent years, the bokjang materials received special attention for its potential value as primary sources that could supplement the paucity of textual sources on the esoteric Buddhist tradition in Korea. However, these new findings need to be reconsidered in light of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during the Goryeo and vice vers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全東赫, "「梵書総特集」から見た高麗密教の性格" 大正大学 11 : 47-64, 1989

      2 허일범, "한국의 진언문화" 해인행 2008

      3 불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찰문화재 :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 불교문화재연구소・문화재청 2004

      4 정은우, "한국의 복장(腹藏), 경전적 의미와 해석" 한국문화연구원 37 : 163-200, 2019

      5 南權熙, "한국의 陀羅尼 간행과 유통에 대한 서지적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8 : 145-298, 2015

      6 최선아, "한국 불교조각 연구의 현주소와 미래" 인문과학연구소 36 (36): 65-93, 2015

      7 김리나, "한국 불교조각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미술사학회 (241) : 77-104, 2004

      8 이선용, "한국 복장(腹藏)에 수용된 포자법(布字法)의 전개와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28 : 613-636, 2019

      9 한상길,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54) : 341-372, 2010

      10 구미래, "탑과 불상 함장의식의 종교문화사적 의미" 불교문화연구원 (84) : 184-208, 2018

      1 全東赫, "「梵書総特集」から見た高麗密教の性格" 大正大学 11 : 47-64, 1989

      2 허일범, "한국의 진언문화" 해인행 2008

      3 불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찰문화재 :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 불교문화재연구소・문화재청 2004

      4 정은우, "한국의 복장(腹藏), 경전적 의미와 해석" 한국문화연구원 37 : 163-200, 2019

      5 南權熙, "한국의 陀羅尼 간행과 유통에 대한 서지적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8 : 145-298, 2015

      6 최선아, "한국 불교조각 연구의 현주소와 미래" 인문과학연구소 36 (36): 65-93, 2015

      7 김리나, "한국 불교조각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미술사학회 (241) : 77-104, 2004

      8 이선용, "한국 복장(腹藏)에 수용된 포자법(布字法)의 전개와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28 : 613-636, 2019

      9 한상길,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54) : 341-372, 2010

      10 구미래, "탑과 불상 함장의식의 종교문화사적 의미" 불교문화연구원 (84) : 184-208, 2018

      11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12 최선일,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 선집, I-III" 양사재 2018

      13 최선일, "조선후기 彫刻僧과 佛像硏究" 景仁文化社 2011

      14 이용윤, "조선후기 佛畵의 腹藏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89 (289): 121-154, 2016

      15 유근자,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불광출판사 2017

      16 한용운, "조선불교유신론" 운주사 1992

      17 샤를 바라, "조선기행 : 백여 년 전에 조선을 둘러본 두 외국인의 여행기" 눈빛 2001

      18 송은석,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사회평론 2012

      19 불교문화재연구소,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

      20 남권희,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 대한불교 전통불복장 및 점안의식 보존회・불교문화재연구소 142-194, 2014

      21 최연식,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신앙내용과 제작 주체: 발원문 내용의 검토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9) : 29-49, 2015

      22 신은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미술사연구회 (29) : 51-83, 2015

      23 睦秀炫, "일제하 李王家博物館의 식민지적 성격" 227 : 81-104, 2000

      24 문명대, "인도·중국 불복장(佛腹藏)의 기원과 한국 불복장의 전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4) : 293-311, 2015

      25 이선용, "우리나라 불복장의 특징" 한국미술사학회 289 (289): 93-120, 2016

      26 서병패,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불교문화재연구소 75-90, 2009

      27 이선용, "불화에 기록된 범자와 진언에 관한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278 (278): 125-162, 2013

      28 이승혜, "불상의 성물(聖物) 봉안-쟁점과 과제"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32-64, 2015

      29 불교문화재연구소, "불복장의식 현황조사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2012

      30 이선용, "불복장물 구성과 직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31 정우택, "불교미술사-그 성과와 과제" 한국불교학회 68 : 965-995, 2013

      32 이승혜, "불교 조상사적(造像史的) 맥락에서 본 복장(腹藏)" 남도문화연구소 (38) : 7-47, 2019

      33 이병희, "발원, 간절한 바람을 담다 : 불교미술의 후원자들" 국립중앙박물관 2015

      34 종석, "밀교의 수용과 그것의 한국적 전개(2) : 밀교종파 총지종의 형성과 전개" 중앙승가대학 4 : 37-65, 1995

      35 김수연, "민영규본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의 구조와 특징" 한국사상사학회 (54) : 145-184, 2016

      36 남동신,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 한국미술사학회 268 (268): 89-115, 2010

      37 불교문화재연구소, "동학사 대웅전 삼세불상"

      38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I-III" 국립중앙박물관 2018

      39 이승혜, "구미학계의 中國 密敎 논쟁: 연구사적 조망" 불교학연구회 53 : 137-162, 2017

      40 신은제, "고려후기 복장기록물의 내용과 발원자들" 한국중세사학회 (45) : 291-336, 2016

      41 정은우, "고려의 성물, 불복장" 경인문화사 2017

      42 정은우, "고려시대 불복장의 특징과 형성배경" 한국미술사학회 286 (286): 31-58, 2015

      43 남권희, "고려시대 간행의 수진본 小字 총지진언집 연구" 한국서지학회 (71) : 323-363, 2017

      44 김수연, "고려시대 간행 『梵書摠持集』을 통해 본 고려 밀교의 특징" 한국중세사학회 (41) : 201-232, 2015

      45 홍사준, "鴻山無量寺 極樂殿 主尊佛腹藏品 發見" 국립중앙박물관 19 : 29-31, 1976

      46 許興植, "高麗의 佛腹藏과 染織 : 1302年 織造 環境과 織物의 特性" 계몽사 1999

      47 南權熙,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淸州古印刷博物館 2002

      48 김수연, "高麗時代 密敎史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9 이승혜, "高麗時代 佛腹藏의 形成과 意味" 한국미술사학회 285 (285): 71-100, 2015

      50 김수연, "高麗後期 摠持宗의 활동과 사상사적 의미" 16 : 251-285, 2011

      51 鄭恩雨, "高麗後期 佛敎美術의 후원자" 미술사연구회 (16) : 81-104, 2002

      52 해인사성보박물관, "願堂 : 해인사 원당암 아미타불 복장유물 특별전"

      53 동아대학교 박물관, "順天 松廣寺 觀音菩薩坐像 腹藏物"

      54 崔聖銀, "韓國彫刻史硏究 30年 : 統一新羅~朝鮮" 한국미술사학회 188 : 89-110, 1990

      55 郭東錫, "韓國彫刻史硏究 30年 : 先史~三國時代" 한국미술사학회 188 : 61-87, 1990

      56 이승혜, "韓國 腹藏의 密敎 尊像 安立儀禮적 성격 고찰" 한국미술연구소 (45) : 29-51, 2017

      57 李宣鎔, "韓國 佛敎腹藏의 構成과 特性 硏究" 동국대학교 2018

      58 이종수, "靑銅腹藏囊의 新例 : 發願文 내용을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69 : 133-142, 2003

      59 閔泳珪, "長谷寺 高麗鐵佛 腹藏遺物"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4/15) : 237-247, 1966

      60 태경스님, "造像經 : 佛腹藏의 節次와 그 속에 담긴 思想" 운주사 2006

      61 안병찬, "通度寺 소장 金銀製阿 彌陀三尊佛像의 腹藏物 調査" 불교미술사학회 3 : 256-265, 2005

      62 해인사성보박물관, "誓願 : 海印寺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특별전"

      63 월정사성보박물관, "華嚴 : 연꽃 가지를 들다" 월정사성보박물관 2014

      64 최몽룡, "莞島 觀音寺 木造如來坐像과 腹藏遺物" 국립중앙박물관 20 : 63-100, 1977

      65 鄭永鎬, "莊陸寺菩薩坐像과 그 腹藏發願文" 한국미술사학회 128 : 2-4, 1975

      66 修德寺 槿域聖寶館, "至心歸命禮—韓國의 佛腹藏"

      67 姜仁求, "瑞山 文殊寺 金銅如來坐像 腹藏遺物" 국립 중앙박물관 18 : 1-18, 1975

      68 서지민, "海印寺 法寶殿과 大寂光殿 智拳印 佛像에 관한 고찰 - 제작시기 검토와 도상의 화엄교의적 해석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84) : 151-181, 2018

      69 손영문, "海印寺 法寶殿 및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像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70 (270): 5-34, 2011

      70 문명대, "洪城高山寺 佛像의 腹藏調査" 한국미술사학회 9 (9): 366-367, 1968

      71 李王職, "李王家博物館所藏品寫眞帖, 第1冊"

      72 홍윤식, "朝鮮時代眞言集의 刊行과 儀式의 密敎化" 東國大學校出版部 417-454, 1986

      73 최선일, "朝鮮後期僧匠人名辭典 - 佛敎彫塑" 양사재 2007

      74 文明大, "朝鮮前期 彫刻樣式의 硏究 (1)" 梨花女子大學校 史學硏究所 (13/14) : 49-61, 1983

      75 홍윤식, "朝鮮初期 上院寺文殊童子像에 대하여" 한국미술사학회 164 : 9-22, 1984

      76 韓龍雲, "朝鮮佛敎維新論" 佛敎書館 1913

      77 張忠植, "景泰七年 佛像腹藏品에 對하여" 한국미술사학회 (138・139) : 42-50, 1978

      78 泰炅, "佛腹藏에 새겨진 의미" 양사재 2008

      79 이선용, "佛腹藏物 구성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61 (261): 77-104, 2009

      80 홍윤식, "佛像・佛畵에 있어 腹藏物의 意味" 문화재관리국 19 : 48-62, 1986

      81 李英淑, "仙巖寺 掛佛과 腹藏囊에 대한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21) : 875-902, 2004

      82 김영덕, "三種悉地法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10 : 33-54, 2009

      83 강향임, "『造像經』을 통해 본 佛腹藏儀式 曼茶羅 莊嚴 硏究" 위덕대학교 2019

      84 강희정, "『眞美大觀』과 일본 고대 불교조각" 한국미술연구소 (28) : 89-110, 2009

      85 DuBose, H. C., "The Dragon, Image, and Demon, or The Three Religions of China: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C. Armstrong and Son 1887

      86 Chen, Jinhua, "The Construction of Early Tendai Esoteric Buddhism: The Japanese Provenance of Saichō’s Transmission Documents and Three Esoteric Buddhist Apocrypha Attributed to Śubhakarasiṃha" 21 (21): 21-76, 1998

      87 Faure, B., "The Buddhist Icon and the Modern Gaze" 24 (24): 768-813, 1998

      88 황선우, "Sacred Dedication: A Korean Buddhist Masterpiece" 한국미술사학회 304 : 324-325, 2019

      89 Robson, J., "Manuscript Cultures: Mapping he Field" De Gruyter 359-374, 2014

      90 Varat, C., "Deux voyages en Corée" Kaliash 1994

      91 Edkins, J., "Chinese Buddhism: A Volume of Sketches, Historical, Descriptive, and Critical" Trübner & Co 1880

      92 김상현, "9세기 후반의 해인사와 신라 왕실의 후원" 신라문화연구소 (28) : 235-254, 2006

      93 조범환, "9세기 海印寺 法寶展 毗盧遮那佛 조성과 檀越세력-墨書銘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45 : 97-126, 2015

      94 신상철, "19세기 프랑스 박물관에서의 한국미술 전시 역사: 샤를르 바라(Charles Varat)의 한국 여행과 기메박물관 한국실의 설립" 한국학연구소 (45) : 41-64, 2013

      95 송은석, "17세기 조선왕조의 조각승과 불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96 강희정, "17세기 이후 불상의 복장(腹藏) 의례: 법계(法界)의 구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8) : 40-67, 2016

      97 최선일, "17세기 彫刻僧과 佛像硏究" 한국연구원 2009

      98 전효진, "16세기 후반 龍泉寺本 『造像經』의 성립과 의의" 동국대학교 2019

      99 허흥식, "14세기의 새로운 佛腹藏 資料" 국립문화재연구소 (19) : 46-58, 1986

      100 최성은, "13世紀 高麗 木造阿彌陀佛像과 腹藏墨書銘" 고려사학회 (30) : 111-151, 2008

      101 정은우, "1388년명 은제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발원문의 검토와 의의" 이화사학연구소 (43) : 165-193, 2011

      102 배영동, "1302年 阿彌陀佛服藏物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211-241, 1991

      103 溫陽民俗博物館, "1302年 阿彌陀佛服藏物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73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