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자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 : 충청북도 청주시내 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Perception on Dance Course : The Case of Students in Cheongju City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77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여자 중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업내용의 선정과 효율적인 수업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어 무용교육의 운영에 이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총 23개 문항을 구성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지에 위치한 무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를 배포조사 하였다. 이 중에서 응답을 일부 또는 전혀 기입하지 않은 것, 응답을 했으나 기타로 모두 표기한 것 등 장난형식이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자료 17부를 무효처리한 후의 유효 설문지 총 3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3월과 4월에 설문지를 작성하여 2003년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을 살펴 본 결과, 무용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더 많았으며, 무용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은 아름다움에 가치를 두고 있었으며,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재미없고, 어려워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람도를 살펴 본 결과, 무용관람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무용관람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관람은 주로 공연장이나 TV를 통해 많이 하였고, 관람하게된 동기로는 수행평가로 인한 관람이 가장 많았으며, 많은 학생이 관람의사가 있었으나 일부 학생은 수업의 연장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도 관람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 본 결과, 여중생들은 현대무용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스포츠 댄스나 째즈 댄스와 같은 경쾌한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과 발레는 기본 틀에 박힌 것이어서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았다.
      또한 수업 내용의 즐거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재미있어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일부 학생은 무용수업을 지루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을 통해 얻은 효과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통해 신체를 움직임으로 몸매유지와 자세교정에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였으며,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자신의 생각을 틀에 맞추지 않고 표현할 수 있어 리듬감과 창의력 발달에도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간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결과, 학생이 생각하는 무용수업 시간은 주당 2시간이 가장 많았다. 대체적으로 여중생들은 주당 수업시간에 만족하였으나 일부 학생은 무용시간이 '부족하다'거나 필요 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만족하고 있었지만 일부 학생들은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무용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가 무용실을 갖추고 있어 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교구에 대해서는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는 전신거울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TV·비디오 및 반주악기에 대해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여자 중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업내용의 선정과 효율적인 수...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여자 중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업내용의 선정과 효율적인 수업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어 무용교육의 운영에 이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총 23개 문항을 구성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지에 위치한 무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를 배포조사 하였다. 이 중에서 응답을 일부 또는 전혀 기입하지 않은 것, 응답을 했으나 기타로 모두 표기한 것 등 장난형식이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자료 17부를 무효처리한 후의 유효 설문지 총 3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3월과 4월에 설문지를 작성하여 2003년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을 살펴 본 결과, 무용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더 많았으며, 무용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은 아름다움에 가치를 두고 있었으며,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재미없고, 어려워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람도를 살펴 본 결과, 무용관람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무용관람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관람은 주로 공연장이나 TV를 통해 많이 하였고, 관람하게된 동기로는 수행평가로 인한 관람이 가장 많았으며, 많은 학생이 관람의사가 있었으나 일부 학생은 수업의 연장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도 관람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 본 결과, 여중생들은 현대무용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스포츠 댄스나 째즈 댄스와 같은 경쾌한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과 발레는 기본 틀에 박힌 것이어서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았다.
      또한 수업 내용의 즐거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재미있어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일부 학생은 무용수업을 지루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을 통해 얻은 효과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통해 신체를 움직임으로 몸매유지와 자세교정에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였으며,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자신의 생각을 틀에 맞추지 않고 표현할 수 있어 리듬감과 창의력 발달에도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간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결과, 학생이 생각하는 무용수업 시간은 주당 2시간이 가장 많았다. 대체적으로 여중생들은 주당 수업시간에 만족하였으나 일부 학생은 무용시간이 '부족하다'거나 필요 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만족하고 있었지만 일부 학생들은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무용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가 무용실을 갖추고 있어 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교구에 대해서는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는 전신거울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TV·비디오 및 반주악기에 대해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dance course in school, and by doing so, to fi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curriculum that enables students to give full play to their potential ability.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with 23 questions.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middle schools in Cheongju city area where dance courses were offered. During the survey, total 350 s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33 sets of answers proved to be valid. The field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a week from May 12 to May 18, 2003.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terests in dance, more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dance. Stu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 tended to regard dance as something very worthy while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 showed indifference to the dance largely du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nces.
      Second, about their experiences in visiting dance performances, more students gave positive answers. Most of them visited performances at least one to two times. They tended to resort to TV or to visit performing halls to see dances. One thing interesting is that many students were reluctant in visiting, but were forced to visit because of the mandatory assessment of learning performance at school.
      Third, about their preferences among dance types, they were found to prefer modern dances, particularly such cheerful and rhythmical ones as sports and jazz dance. Students tended to regard the so-called Korean dance and traditional ballet as too typical and too difficult to learn. About the curriculum offered, many students evaluated them as so boring and not delightful.
      Fourth, about the usefulness of dance course, mor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 is helpful for their physical shape and the correction of posture.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ense of rhythm.
      Fifth, about the course hours, two credit hours are found most common at schools.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lass hours. Some of them answered for need more or dont need at all.
      Sixth, concerning facilities and teaching aid,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hile others were negative. Student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ground facilities that are set up for dancing. About teaching aid, however, they showed less satisfaction. They are unsatisfactory with such equipments as mirror, TV, video, and accompanied musical instruments.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dance course in school, and by doing so, to fi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curriculum that enables students to give full play to their potential ability. For the purpose,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dance course in school, and by doing so, to fi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curriculum that enables students to give full play to their potential ability.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with 23 questions.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middle schools in Cheongju city area where dance courses were offered. During the survey, total 350 s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33 sets of answers proved to be valid. The field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a week from May 12 to May 18, 2003.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terests in dance, more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dance. Stu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 tended to regard dance as something very worthy while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 showed indifference to the dance largely du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nces.
      Second, about their experiences in visiting dance performances, more students gave positive answers. Most of them visited performances at least one to two times. They tended to resort to TV or to visit performing halls to see dances. One thing interesting is that many students were reluctant in visiting, but were forced to visit because of the mandatory assessment of learning performance at school.
      Third, about their preferences among dance types, they were found to prefer modern dances, particularly such cheerful and rhythmical ones as sports and jazz dance. Students tended to regard the so-called Korean dance and traditional ballet as too typical and too difficult to learn. About the curriculum offered, many students evaluated them as so boring and not delightful.
      Fourth, about the usefulness of dance course, mor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 is helpful for their physical shape and the correction of posture.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ense of rhythm.
      Fifth, about the course hours, two credit hours are found most common at schools.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lass hours. Some of them answered for need more or dont need at all.
      Sixth, concerning facilities and teaching aid,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hile others were negative. Student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ground facilities that are set up for dancing. About teaching aid, however, they showed less satisfaction. They are unsatisfactory with such equipments as mirror, TV, video, and accompanied musical instruments.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논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문제 = 2
      • 목차 = ⅰ
      • 논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문제 = 2
      • 3. 본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무용교육의 개념 = 4
      • 1) 무용교육의 가치 = 4
      • (1) 신체적 가치 = 4
      • (2) 사회적 가치 = 5
      • (3) 문화적 가치 = 5
      • (4) 교육적 가치 = 6
      • 2) 무용 교육의 목표 = 8
      • 2. 교과과정 개정과 무용교육 = 9
      • 3. 현행 중학교 체육교과 무용 영역 = 12
      • 1)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 12
      • (1) 7차 교육과정의 교육 이념 = 12
      • (2) 7차 교육과정을 통하여 추구하는 인간상 = 12
      • (3) 중학교 교육 목표 = 12
      • 2) 체육과 교과과정의 성격 = 13
      • 3) 체육과 교과과정의 목표 = 14
      • 4)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 14
      • 5) 학년별 무용단원 내용 = 16
      • (1) 7(중1)학년 무용 = 16
      • (2) 8(중2)학년 무용 = 16
      • (3) 9(중3)학년 무용 = 16
      • 4. 무용수업 관련 선행연구 = 17
      • Ⅲ. 연구방법 = 18
      • 1. 연구대상 = 18
      • 2. 연구내용 = 18
      • 3. 자료수집 = 19
      • 4. 자료분석 = 20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1
      • 1. 무용에 대한 관심도 = 21
      • 1) 무용에 대한 관심빈도 = 21
      • 2) 무용에 대한 관심과 무관심에 대한 이유 = 22
      • 2. 무용에 대한 관람도 = 23
      • 1) 무용에 대한 관람빈도 = 23
      • 2) 무용관람 동기 및 장소 = 23
      • 3.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 = 25
      • 1)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빈도 = 25
      • 2)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 = 25
      • 4. 무용교육의 효과 = 26
      • 1) 무용교육의 효과 = 26
      • 2) 무용교육을 통한 신체의 아름다움, 리듬감, 창의력발달의 효과 = 27
      • 5. 무용교과 시수에 관한 인식 = 29
      • 1) 무용교과 시수에 관한 인식 = 29
      • 6. 무용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 = 29
      • 1) 무용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빈도 = 29
      • 2) 무용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와 무용인식과의 관계 = 30
      • Ⅴ. 결론 및 제언 = 32
      • 1. 결론 = 32
      • 2. 제언 = 33
      • 참고문헌 = 35
      • ABSTRACT = 37
      • [ 설문지 ] =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