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그리고 사회비교가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5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적 안녕감에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여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 1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변인 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매개 분석하였다. 연구 2 실험을 통해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비교가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인과성을 확인하고, 상호작용 효과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연결감과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적 안녕감 사이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정체성에 대해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비교의 주요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이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연결감이 높을 때 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정체성이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 되었다. 또한, 과거 한국 사회와의 하향비교 시 사회적 안녕감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사회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사회적 안녕감에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여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

      이 연구는 사회적 안녕감에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여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 1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변인 간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매개 분석하였다. 연구 2 실험을 통해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비교가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인과성을 확인하고, 상호작용 효과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연결감과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적 안녕감 사이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정체성에 대해 사회적 연결감과 사회비교의 주요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이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연결감이 높을 때 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정체성이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 되었다. 또한, 과거 한국 사회와의 하향비교 시 사회적 안녕감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사회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with the objective of discussing psychosocial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well-being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uch interventions. To this end, Study 1 employed a survey to statis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ain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se relationships. Study 2 involved an experimental approach to determine the causal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and to test for the presence of interaction effects. The primar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nectedness and Korean social ident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well-being, with Korean social identity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well-being. Second, while the main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were confirmed,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observed.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social connectedness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reports of social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Additionally, downward comparison with past Korean society resulted in the most favorable outcomes for social well-be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well-being, a concept tha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s of key variables—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thus offering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social well-being.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with the objective of discussing psychosocial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well-being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with the objective of discussing psychosocial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well-being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uch interventions. To this end, Study 1 employed a survey to statis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ain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se relationships. Study 2 involved an experimental approach to determine the causal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and to test for the presence of interaction effects. The primar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nectedness and Korean social ident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well-being, with Korean social identity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well-being. Second, while the main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were confirmed,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observed.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social connectedness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reports of social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Additionally, downward comparison with past Korean society resulted in the most favorable outcomes for social well-be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well-being, a concept tha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s of key variables—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thus offering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social well-be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