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9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hierarchy of needs and job environment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it is intended to help strengthe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by enhanc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395 people) and in-depth interviews (12 people)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y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s high in physiological needs, job environment is high in student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is high in job itself, and professional identity is high in autonomy.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positi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work experience of the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were the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director environment, colleague environment, facility environ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identity were physiological needs, social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at private tutoring 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and improvement of the job environment. At the level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efforts to increase professional identity are needed by improving expertise and enhancing a sense of miss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hierarchy of needs and job environment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it is intended to help strengthen the educational f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hierarchy of needs and job environment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it is intended to help strengthe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by enhanc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395 people) and in-depth interviews (12 people)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y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s high in physiological needs, job environment is high in student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is high in job itself, and professional identity is high in autonomy.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positi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work experience of the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were the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director environment, colleague environment, facility environ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identity were physiological needs, social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at private tutoring 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and improvement of the job environment. At the level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efforts to increase professional identity are needed by improving expertise and enhancing a sense of mi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국문초록 >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1.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
      • < 국문초록 >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1.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
      • 2. 학원구성원의 직무환경
      • 3.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 4.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
      • Ⅲ. 연구방법
      • 1. 연구설계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3. 측정도구
      • 4. 분석방법
      • Ⅳ. 연구결과
      • 1.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 및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
      • 2.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
      • 3.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Ⅴ. 결론
      • <참고문헌>
      • < Abstract >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