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나 아렌트의 행위 개념 = 가면과 퍼포먼스의 은유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1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행위론은 우리가 이 세계에서 움직이고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과 현재의 삶의 형식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라는 요구에 대한 하나의 답이다. 정치 행위는 인간사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고, 동료에게 기대거나 맞서면서 자신의 한계를 끊임없이 확인하면서도 서로 지지하는, ‘함께-있는’ 인간의 삶의 양식이다. 그에 의하면 이러한 삶의 양식은 근대의 시작과 함께 점차 사라졌는데, ‘생존’이나 ‘생산’을 위한 활동만이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한 활동 말고도 인간은 그저 자기와 다른 인간을 만나기 위해 자기가 누구인지를 보이고 다른 사람이 누구인지를 보는 활동을 하는데 그는 이것이 바로 정치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아렌트의 행위 개념을 가면과 퍼포먼스의 은유를 통해 살펴본다. 가면의 은유는 정치 행위가 수단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있지 않고서는 자기 자신으로 살 수 없는 인간에게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드러낸다. 그런 만큼 그것은 ‘함께-있는’ 삶의 양식이 가능하지 않은 체제 안에서의 정치 행위는 언제나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도 보여준다. 퍼포먼스의 은유는 이러한 행위가 타인의 현전에 전적으로 기대고 있다는 것과, 타인과 만나는 장소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드러낸다. 행위자와 관찰자는 상호감응하고 역할을 바꿔가며 활동하는 세계 속의 참여자이며, 이들이 만나 세계에 개입함으로써 오늘날 사라져가고 있는 관계맺음의 ‘장소’가 구성된다.
      번역하기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행위론은 우리가 이 세계에서 움직이고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과 현재의 삶의 형식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라는 요구에 대한 하나의 답이다. 정치 행위는 인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행위론은 우리가 이 세계에서 움직이고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과 현재의 삶의 형식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라는 요구에 대한 하나의 답이다. 정치 행위는 인간사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고, 동료에게 기대거나 맞서면서 자신의 한계를 끊임없이 확인하면서도 서로 지지하는, ‘함께-있는’ 인간의 삶의 양식이다. 그에 의하면 이러한 삶의 양식은 근대의 시작과 함께 점차 사라졌는데, ‘생존’이나 ‘생산’을 위한 활동만이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한 활동 말고도 인간은 그저 자기와 다른 인간을 만나기 위해 자기가 누구인지를 보이고 다른 사람이 누구인지를 보는 활동을 하는데 그는 이것이 바로 정치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아렌트의 행위 개념을 가면과 퍼포먼스의 은유를 통해 살펴본다. 가면의 은유는 정치 행위가 수단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있지 않고서는 자기 자신으로 살 수 없는 인간에게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드러낸다. 그런 만큼 그것은 ‘함께-있는’ 삶의 양식이 가능하지 않은 체제 안에서의 정치 행위는 언제나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도 보여준다. 퍼포먼스의 은유는 이러한 행위가 타인의 현전에 전적으로 기대고 있다는 것과, 타인과 만나는 장소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드러낸다. 행위자와 관찰자는 상호감응하고 역할을 바꿔가며 활동하는 세계 속의 참여자이며, 이들이 만나 세계에 개입함으로써 오늘날 사라져가고 있는 관계맺음의 ‘장소’가 구성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tion theory of Hannah Arendt is a response to the needs of rethinking about how we moving and relating to others in this world. She thinks over our form of life in modern times, especially in the twentieth century. Action is a mode of human life that is being-together. It means that people receive uncertainty of human affairs and realize their limitation and identification by coming in contact with others. This being-together form of life gradually disappears in modern times. Now people take it for granted that only activity for survival or for production is important. But we have another activity besides these. It is the action that people see each other and show who they a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Arendt’s concept of Action in connection with metaphors of mask and performance. We can see action is not mere means to a certain end but indispensable to human’s life of being-together through metaphor of mask. This metaphor also shows action has a meaning of resistance in neo-liberal system. The metaphor of performance indicates action needs the presence of others and a publicly organized space. Actors and spectators are affected each other, and they are both intervened in public world. Through their action, resisting places that gradually disappear today are created and constituted.
      번역하기

      Action theory of Hannah Arendt is a response to the needs of rethinking about how we moving and relating to others in this world. She thinks over our form of life in modern times, especially in the twentieth century. Action is a mode of human life tha...

      Action theory of Hannah Arendt is a response to the needs of rethinking about how we moving and relating to others in this world. She thinks over our form of life in modern times, especially in the twentieth century. Action is a mode of human life that is being-together. It means that people receive uncertainty of human affairs and realize their limitation and identification by coming in contact with others. This being-together form of life gradually disappears in modern times. Now people take it for granted that only activity for survival or for production is important. But we have another activity besides these. It is the action that people see each other and show who they a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Arendt’s concept of Action in connection with metaphors of mask and performance. We can see action is not mere means to a certain end but indispensable to human’s life of being-together through metaphor of mask. This metaphor also shows action has a meaning of resistance in neo-liberal system. The metaphor of performance indicates action needs the presence of others and a publicly organized space. Actors and spectators are affected each other, and they are both intervened in public world. Through their action, resisting places that gradually disappear today are created and constitu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들어가며
      • 2. 가면
      • 3. 퍼포먼스: 타인과의 만남과 정치적 장소의 형성
      • 4. 나가며
      • 국문 초록
      • 1. 들어가며
      • 2. 가면
      • 3. 퍼포먼스: 타인과의 만남과 정치적 장소의 형성
      • 4.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유경, "한나 아렌트의 정치 행위(Action) 개념 분석" 3 : 2000

      2 양창아,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의 시작: 배제된 자들의 관점과 정치적 경험의 회복" 인문학연구소 71 : 343-374, 2012

      3 이성환, "한나 아렌트에게 묻는다 : 당신은 누구나/지금도 ‘행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 새한철학회 65 (65): 249-271, 2011

      4 홍원표,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정치철학적 주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4 (44): 75-95, 2010

      5 아렌트, 한나, "칸트 정치철학 강의" 푸른숲 2000

      6 블랑쇼, 모리스, "정치평론, In 블랑쇼 전집9" 그린비 1953-1993, 2009

      7 아렌트, 한나, "정치의 약속" 푸른숲 2007

      8 아렌트, 한나,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사 2006

      9 골드파브, 제프리, "작은 것들의 정치: 혁명 전통의 잃어버린 보물" 후마니타스 2011

      10 아렌트, 한나, "이해의 에세이 1930-1954" 텍스트 2012

      1 서유경, "한나 아렌트의 정치 행위(Action) 개념 분석" 3 : 2000

      2 양창아,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의 시작: 배제된 자들의 관점과 정치적 경험의 회복" 인문학연구소 71 : 343-374, 2012

      3 이성환, "한나 아렌트에게 묻는다 : 당신은 누구나/지금도 ‘행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 새한철학회 65 (65): 249-271, 2011

      4 홍원표,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정치철학적 주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4 (44): 75-95, 2010

      5 아렌트, 한나, "칸트 정치철학 강의" 푸른숲 2000

      6 블랑쇼, 모리스, "정치평론, In 블랑쇼 전집9" 그린비 1953-1993, 2009

      7 아렌트, 한나, "정치의 약속" 푸른숲 2007

      8 아렌트, 한나,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사 2006

      9 골드파브, 제프리, "작은 것들의 정치: 혁명 전통의 잃어버린 보물" 후마니타스 2011

      10 아렌트, 한나, "이해의 에세이 1930-1954" 텍스트 2012

      11 마페졸리, 미셸, "영원한 순간-포스트모던 사회로의 비극의 귀환" 이학사 2010

      12 서유경, "약속의 정치학: 한나 아렌트의 로마커넥션과 그 함의" 한국정치사상학회 17 (17): 11-36, 2011

      13 아감벤, 조르조,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문서고와 증인" 새물결 2012

      14 서유경, "아렌트의 “政治行爲”와 自己定礎的 土臺의 문제" 17 (17): 1999

      15 임옥희,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의 이미지와 본다는 것의 정치적 의미에 대하여" 20 (20): 2010

      16 권김현영, "성의 정치 성의 권리" 자음과모음 2012

      17 노양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18 테일러, 에스트라, "불온한 산책자-8인의 철학자, 철학이 사라진 시대를 성찰하다" 이후 2012

      19 루츠 무스너, "문화학과 퍼포먼스" 유로서적 2009

      20 이와사부로 코소, "뉴욕열전-들뢰즈 가따리의 눈으로 완성한 벤야민의 프로젝트, 저항의 도시공간 뉴욕 이야기" 갈무리 2010

      21 버틀러, 주디스, "누가 민족 국가를 노래하는가?" 산책자 2008

      22 베라르디, 프랑코, "노동하는 영혼-소외에서 자율로" 갈무리 2012

      23 게릴라 걸스, "게릴라 걸스의 서양미술사" 마음산책 2010

      24 김주만, "‘행위’의 재조명:「인간의 조건」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2 (32): 38-63, 2008

      25 한나 아렌트, "[단행본] 혁명론" 한길사 2004

      26 한나 아렌트, "[단행본] 정신의 삶 . 1 , 사유" 푸른숲 2004

      27 한나 아렌트, "[단행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28 한나 아렌트, "[단행본] 과거와 미래 사이 : 정치사상에 관한 여덟 가지 철학연습" 푸른숲 2005

      29 Phelan, Peggy, "Unmarked : The Politics of Performance" Routledge 1993

      30 Arendt, Hannah, "The Human Condition" Chicago University Press 195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gito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2 1.18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