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금저축 세제혜택 세액공제 전환에 따른 연금저축 납입행태 변화 분석 = Does changing tax treatment method increase private pension sav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1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고소득층의 세제혜택을 조정하고, 저소득층의 연금저축 납입유인을 강화하기 위해 소득공제를 적용하던 연금저축 납입액에 대한 세제혜택 방식을 2014년부터 세액공제로 전환하였다...

      정부는 고소득층의 세제혜택을 조정하고, 저소득층의 연금저축 납입유인을 강화하기 위해 소득공제를 적용하던 연금저축 납입액에 대한 세제혜택 방식을 2014년부터 세액공제로 전환하였다. 세액공제로 전환이 연금저축 가입자들의 연금저축 가입과 납입액에 미친 영향을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된 재정패널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액공제 도입이 저소득층 연금저축 가입 및 납입액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액공제가 연금자산 형성이 꼭 필요한 저소득 계층에 연금저축 납입유인을 감소시킨 것을 의미하며, 이들 계층에 특화된 사적연금가입유인 제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세제혜택 방식 변화에 따른 연금저축납입행태 변화를 규명하고 이에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 것에 그 학술적·정책적 기여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nhance pension saving incentive to lower income earners and adjust tax favor to higher income earners, the Korean government changes the tax treatment method for the private pension contributions from tax exemption to tax credit in 2014. To assess...

      To enhance pension saving incentive to lower income earners and adjust tax favor to higher income earners, the Korean government changes the tax treatment method for the private pension contributions from tax exemption to tax credit in 2014. To assess the policy effect empirically, we analyze the policy effect by income level using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Survey data from 2012 to 2016.
      We find two important pension saving behavior after changing the tax treatment method from the analysis. First, on average,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has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tax treatment method. We find that changing tax treatment method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pension subscription rate by 0.57%. However, for the pension subscription,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vidence that a certain income group differently reacted to the new tax treatment method.
      Secondly, for the amount of pension contribution, changing the tax credit method decreased the pension contributions and compare to the higher income earners, the lower income earners decrease the amount of pension contribution more.
      Therefore, we conclude that, ironically, the new policy reduces the most needed group's pension savings. We claim that to make lower income earners save more pension fund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more customized incentives sche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호, "정년연장의 노후소득 개선 효과와 개인연금의 정책방향" 보험연구원 2016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5~2065)"

      3 김원식, "우리나라 사적연금세제의 정책방향" 한국재정학회 9 (9): 33-58, 2016

      4 정원석, "연금저축 세액공제 전환에 따른 소득계층별 사적연금가입행태 변화" 한국세무학회 17 (17): 113-134, 2016

      5 문성훈, "연금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이 연금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31 (31): 9-34, 2014

      6 정원석, "연금과세 체계변화에 따른 소득계층별 연금저축 가입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8 (8): 113-141, 2015

      7 정요섭, "신.구개인연금보험에 대한 금리.세제효과 비교" 한국리스크관리학회 14 (14): 3-22, 2003

      8 김병권, "세제혜택이 가계의 연금저축 행태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53-79, 2013

      9 류건식, "사적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제고방안" 보험연구원 2009

      10 정원석, "사적연금 세제혜택 한도 상향에 따른 사적연금 추가가입 유인추정" 한국재정학회 10 (10): 215-240, 2017

      1 강성호, "정년연장의 노후소득 개선 효과와 개인연금의 정책방향" 보험연구원 2016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5~2065)"

      3 김원식, "우리나라 사적연금세제의 정책방향" 한국재정학회 9 (9): 33-58, 2016

      4 정원석, "연금저축 세액공제 전환에 따른 소득계층별 사적연금가입행태 변화" 한국세무학회 17 (17): 113-134, 2016

      5 문성훈, "연금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이 연금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31 (31): 9-34, 2014

      6 정원석, "연금과세 체계변화에 따른 소득계층별 연금저축 가입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8 (8): 113-141, 2015

      7 정요섭, "신.구개인연금보험에 대한 금리.세제효과 비교" 한국리스크관리학회 14 (14): 3-22, 2003

      8 김병권, "세제혜택이 가계의 연금저축 행태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53-79, 2013

      9 류건식, "사적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제고방안" 보험연구원 2009

      10 정원석, "사적연금 세제혜택 한도 상향에 따른 사적연금 추가가입 유인추정" 한국재정학회 10 (10): 215-240, 2017

      11 정원석, "사적연금 보조금 지급 정책 도입 시 빈곤완화와 재정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10 (10): 105-142, 2017

      12 통계청, "노인자살의 현황과 원인 분석" 2007

      13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도입 계획, 설명자료"

      14 이태열, "공·사 사회안전망의 효율적인 역할 제고 방안" 보험연구원 2014

      15 정요섭, "개인연금에 대한 소득공제의 수익률효과 분석" 보험연구원 17 (17): 41-60, 2006

      16 윤성주, "개인연금가입 결정요인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12

      17 윤성주, "개인연금 세제혜택에 대한 소고" 한국조세연구원 (199) : 2013

      18 전승훈, "개인연금 가입 결정 및 가입상태 변화 분석" 보험연구원 17 (17): 137-168, 2006

      19 Ramnath S, "Taxpayer's Responses to Tax-Based Incentives for Retirement Savings: Evidence from the Saver's Credit Notch" 101 : 77-93, 2013

      20 RPS, "Split Refund and Saver's Credit: Two Better Ways to Save for Retirement"

      21 Börsch-Supan A., "Riester Pensions in Germany: Design, Dynamics, Targeting Success, and Crowding In”" NBER 2012

      22 Orszag P. R, "Porgrassivity and Saving: Fixing the Nation's upside-down Incentives for Saving"

      23 OECD,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4"

      24 Rutledge M., "Do tax incentive increase 401(k) retirement saving? Evidence from the adoption of catch-up contributions"

      25 Chetty, R., "Active vs. passive decisions and crowd-out in retirement savings accounts: Evidence from Denmark" 129 (129): 1141-121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 Journal of Insurance and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보험개발연구 -> 보험금융연구
      외국어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KCI등재
      2008-06-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보험개발원 -> 보험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e ->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험개발연구
      외국어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1.1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