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9호)의 관속식물상, 분포실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ascular Plants,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Plans of the Cactus Habitat (No. 429 Natural Monument) in Wolryung-ri, J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57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a phytogeographically specific distribu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forms a unique landscape as the only native cactus (Opuntia ficus-indica (L.) Mill.) habitat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detailed ...

      The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a phytogeographically specific distribu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forms a unique landscape as the only native cactus (Opuntia ficus-indica (L.) Mill.) habitat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cacti in the habitat and no investigation on the diversity of the mixed composition of plants in the habita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actus popul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in the Wollyeong-ri cactus habitat and record the actual distribution and trends of cactus distribution.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acti, we als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among the mixed population of plant species, as well as th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threaten the maintenance of cactus populations or require management for preservation of cacti. Considering the phenological character, we conducted the field surveys for flora identification six times between June 2015 and September 2017. The Engler classification system was used for the arrangement sequence and names of plants, and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was adopted for the Korean name of the speci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Wolryung-ri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the characteristic physiognomy of an area dominated by cactus. For the vascular plants, a total of 125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53 families, 104 genera, 109 species, 15 varieties and 1 forma. Endangered plants spec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not found. Two species, Cyrtomium falcatum and Asplenium incisum, were identified as the ferns, and no gymnosperms were found. In addition, 123 taxa of angiosperms, 91 taxa of dicotyledones and 32 taxa of monocotyledons were identified.
      The distributions of cacti were confirmed in 289 meshes corresponding to 59.3% of the total 487 meshes in the cactus protected area, which showed various coverage distributions ranging from 5% to 95%. Most of the meshes where no cacti were found are coastal areas with exposed basalt rocks where the soil depth has not developed or extremely restricted due to repeated waves, or areas where artificial facilities, grasslands, and observation paths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71 lattice points in 14.5% of the total area where the cactus showed 70% or higher dominance.
      Cacti a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se areas. They have adapted to the microhabitat environment and are found to be opportunistically distributed along the growable locations. Considering that the reproduction of cacti in the habitat is mostly dependent on parthenogenesis, the present distribution seems to reflect the potentially distributable regions of cacti in the habitat.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 management plan for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protected areas has been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자생지로 특유의 고유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생지 일대의 선...

      제주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자생지로 특유의 고유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생지 일대의 선인장 분포 현황에 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으며, 서식지 내 혼생식물의 다양성 및 선인장 개체군 분포와의 상호 관계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월령리 선인장군락지 내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선인장의 분포 실태 및 출현 경향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선인장의분포 특성과 함께 혼생 식물종 가운데 서식처의 특성을 반영하는 종의 특성과 선인장 개체군의 유지에 위협이 되거나, 선인장 보존에있어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생물 및 환경 요소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식물상 확인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5년 6월부터 2017년9월까지 식물계절을 고려하여 총 6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식물에 대한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는 Engler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종의 한글명은 한국표준식물목록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는 선인장이 우점하는 지역 고유의 특징적인 상관을 형성하고 있었다. 관속식물상은 53과104속 109종 15변종 1품종으로 총 12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분포하지 않았다. 양치식물은 꼬리고사리, 도깨비쇠고비로 2종이 확인하였으며, 나자식물은 서식하지 않았다. 피자식물이 총 123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쌍자엽식물이 91분류군, 단자엽식물이 3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선인장 보호지역 내 전체 487개 격자 중 59.3%에 해당하는 289개 격자에서 선인장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5-95%의 다양한 피도분포를보였다. 미출현 격자의 대부분은 현무암 암반이 노출된 해안지역으로, 반복적인 파도의 영향을 받아 토심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극히제한적인 지역과 인위적 시설물 또는 초지, 관찰로 등이 조성된 지역이었다. 반면 선인장이 70% 이상 높은 우점도를 보이는 구간은총 71개 격자 지점으로 전체의 14.5%를 차지하고 있었다.
      선인장은 보호 지역 내에서 무작위분포를 나타내며, 미소서식처 환경에 적응되어 생육가능입지를 따라 기회주의적으로 분포하고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락지 내 선인장은 대부분 단위생식(parthenogenesis)에 의존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현재의 분포는 군락지내 선인장의 잠재분포가능 영역을 투영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현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지역 보존 및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을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창민, "조경적 측면에서의 천연기념물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공무원,시민들의 의식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102-109, 2004

      2 강병화, "우리나라 歸化植物의 發生狀況" 한국잡초학회 22 (22): 207-226, 2002

      3 조인경,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부위별 성분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742-746, 2009

      4 이종원, "수출용 접목선인장 재배시 간이양액재배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8 (28): 546-549, 2015

      5 남상용, "수출 접목선인장 산취 ‘희망’의 주·야 온도 및 LED광 처리가 모구 생육과 발색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 (19): 140-146, 2010

      6 박철민, "손바닥선인장의 생리활성 비교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519-525, 2013

      7 신언환, "손바닥 선인장 열매의 영양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691-697, 2011

      8 김명현,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C_4 식물 목록과 분포 변화:고찰"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123-139, 2011

      9 김재웅,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191-200, 2014

      10 나명하, "國內의 天然記念物 保存 管理 實態"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27-136, 2010

      1 유창민, "조경적 측면에서의 천연기념물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공무원,시민들의 의식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102-109, 2004

      2 강병화, "우리나라 歸化植物의 發生狀況" 한국잡초학회 22 (22): 207-226, 2002

      3 조인경,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부위별 성분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742-746, 2009

      4 이종원, "수출용 접목선인장 재배시 간이양액재배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8 (28): 546-549, 2015

      5 남상용, "수출 접목선인장 산취 ‘희망’의 주·야 온도 및 LED광 처리가 모구 생육과 발색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 (19): 140-146, 2010

      6 박철민, "손바닥선인장의 생리활성 비교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519-525, 2013

      7 신언환, "손바닥 선인장 열매의 영양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691-697, 2011

      8 김명현,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C_4 식물 목록과 분포 변화:고찰"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123-139, 2011

      9 김재웅,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191-200, 2014

      10 나명하, "國內의 天然記念物 保存 管理 實態"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27-136, 2010

      11 "http://www.nature.go.kr"

      12 "http://www.kma.go.kr"

      13 "http://www.kigam.re.kr"

      14 Seo, J. C., "Wild Flowers in Jeju island" Iljinsa 2004

      15 Park, P. M., "Welcome to Cactus World" 2016

      16 Lee, J. G., "The degree and damages of major harmful insects that occur in export cactus" 5 : 177-, 2010

      17 Yang, Y. H., "The Coloured Illustrated Flora In Jeju" Odicom 2009

      18 Moon, K. H.,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actual vegetation of Ulsan Metropolitan City" Keimyung University 2005

      19 Ha, S. H., "Succulent Plants" Academy press 2012

      20 Weiner, J., "Size hierarchies in experimental populations of annual plants" 66 : 743-752, 1985

      21 Yoda, K., "Self thinning in overcrowded pure stands under cultivated and natural conditions" 14 : 107-129, 1963

      22 Korea Forest Service,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st Service 2008

      23 Lee, W. C., "Phytogeography" Kangwon University Press 2002

      2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verview of Korean National Heritage: Natural Monuments / Scenic sit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8

      25 Firbank, L.G., "On the analysis of competition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plant" 71 (71): 308-317, 1987

      26 Park, S. 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2009

      27 Kim, J. M., "Naturalized Plants in Korea" Science Book 2000

      28 "Junsaengpaljeon(遵生八牋)"

      29 Weber, E.,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World. - A reference guide to environmental weeds-" CABI Publishing 2003

      30 Rodman, J. E., "Introduction, Establishment and Replacement of Sea-Rockets (Cakile, Cruciferae) in Australia" 13 (13): 159-171, 1986

      31 Kira T,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igher plants. I. Competition-yield-density interrelationship in regularly dispersed populations" 4 : 1-16, 1953

      32 Lee, C. 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2003

      33 Miyawaki, A.,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1994

      34 Kim, E. G., "Halophytes of Korea" Econature 2013

      35 Kang, K. C., "Extraction and retrieval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from the cactus" 11 : 35-40, 1998

      36 Ministry of Environment, "Endangered species of Korea - new version-" 2012

      37 Nagashima, H., "Effects of plant density on frequency distributions of plant height in Chenopodium album stands: analysis based on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height-growth of individual plants" 75 : 173-180, 1995

      38 "Dongeuibogam(東醫寶鑑)"

      39 Yim, Y. J.,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23 (23): 69-83, 1980

      40 Lee, Y. C.,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29 : 847-853, 1997

      41 Kim, J. W.,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Press 2006

      42 Lee, K. S., "Changes in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CAM) of Sedum Pla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Soil Moisture Conditions" 37 (37): 1-15, 1994

      43 "Bijeonhwageong(秘傳花鏡)"

      44 Muller-Dombois, D.,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ly & Sons 1974

      45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46 Lee, Y. C., "A study on weed control effect in cactus and scuulents" 33 : 156-, 2015

      47 Chang, N. K.,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matter production in Opuntia lanceolata community in Hanrim-Eup, Jeju-Do" 7 : 67-73, 1984

      48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19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