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성격유형이 청소년의 독서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 고등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이 독서태도 및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87139
2016
Korean
성격유형 ; 독서 ; 청소년 독서 ; 독서태도 ; 독서유효성 ; 독서생활 ; Personality type ; Reading ; Adolescent Reading ; Reading Attitude ; Reading Effectiveness ; Reading Lifestyle
학술저널
109-126(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성격유형이 청소년의 독서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 고등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이 독서태도 및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는 성격유형이 청소년의 독서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 고등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이 독서태도 및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외향적 성향을 가진 청소년의 독서태도 점수는 2.33으로 다른 성격유형에 비해 낮았으며 개방성(2.96), 성실성(2.84), 친화성(2.67)이 높은 성격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태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증(2.54) 성향을 가진 청소년의 경우도 개방성이 높은 성격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태도가 좋지 않았다. 둘째, 독서유효성의 경우 독서몰입, 독서만족, 독서지속의지 모두 개방성의 성격을 가진 학생이 가장 높았으며, 외향성을 가진 학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몰입의 경우 외향성(2.26)의 경우 개방성(2.85) 및 성실성(2.76)과 차이가 있었으며, 독서만족의 경우 외향성(2.59)와 개방성(3.08) 사이에 차이가 있고, 독서지속의지의 경우 외향성(2.71)을 가진 경우 개방성(3.36), 성실성(3.25), 친화성(3.11)의 성격을 가진 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이 독서태도 및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독서태도는 9%, 독서유효성은 5,8%의 설명력을 가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 on Reading Lifestyle for adolescent`. The relevant data are se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458 high schools Students in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According to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 on Reading Lifestyle for adolescent`. The relevant data are se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458 high schools Students in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sonality type, First, the reading attitude score of adolescents with extraversion type was 2.33, which was lower than other personality types(openness(2.96), conscientiousness(2.84), agreeableness)). and Adolescents with neuroticism(2.54) showed a lower reading attitude than students with higher openness. Second, reading effectiveness was the highest in students with openness, and lowest in students with extrovers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 on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effectiveness, reading attitude was 9% and reading effectiveness was 5.8%,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고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대학입학전형의 전공 특성 면접 도구 개발
“너무” 특별한 사람들-병리적 자기애(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콘텐츠 소비에서 수용자의 글로벌성 지각과 자민족중심주의의 역할 - 비대면 콘텐츠인 방송과 대면 콘텐츠인 공연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젠더정치 활성화를 위한 모색 - 그 성과와 전망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