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시아·아프리카에서의 준비기금 연금에 관한 제도주의적 분석- 제도유형체계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 = An Institutional Analysis on Provident Funds across Asia and Africa - Exploring a Typology of Pension Regim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40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vident funds as a pension system have widely diffused to Southeast Asian, African, and Pacific island countries. This study explored typologies of provident funds based on a set of five components of the institutional grammar developed by Crawford and Ostro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se typologies. According to this study's findings, provident funds have been diversified into four forms: 1) a group of countries using provident funds as a supplementary pension; 2) a group of countries switching provident funds into a new pension system; 3) a group of countries using provident funds as a basic pension under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and a group of countries operating provident funds as a form of multi-pillar pensions. The last one described as a Singaporean model would be a worthwhile model for pension reform, and especially usefu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pension systems in Korea, which have suffered from frequent withdrawal from occupational pension accounts.
      번역하기

      Provident funds as a pension system have widely diffused to Southeast Asian, African, and Pacific island countries. This study explored typologies of provident funds based on a set of five components of the institutional grammar developed by Crawford ...

      Provident funds as a pension system have widely diffused to Southeast Asian, African, and Pacific island countries. This study explored typologies of provident funds based on a set of five components of the institutional grammar developed by Crawford and Ostro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se typologies. According to this study's findings, provident funds have been diversified into four forms: 1) a group of countries using provident funds as a supplementary pension; 2) a group of countries switching provident funds into a new pension system; 3) a group of countries using provident funds as a basic pension under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and a group of countries operating provident funds as a form of multi-pillar pensions. The last one described as a Singaporean model would be a worthwhile model for pension reform, and especially usefu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pension systems in Korea, which have suffered from frequent withdrawal from occupational pension accou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준비기금은 동남아시아, 태평양 도서국가 및 아프리카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독특한 연금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Crawford와 Ostrom의 5개 제도주의 문법요소를 근거로 동남아시아·태평양 도서국가·아프리카 준비기금의 연금유형을 제시하고, 준비기금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연금개혁모형으로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세 지역의 준비기금은 다양한 모습의 변화를 거쳐 몇 가지 유형으로 정착되고 있었다. 분석과정에서 발견된 제도유형은 1) 준비기금을 보충적 연금으로 활용하는 유형, 2) 준비기금을 폐기하고 해로운 연금제도를 활용하는 유형, 3) 준비기금을 기본연금으로 하여 중층연금을 활용하는 유형, 4) 준비기금을 기본연금으로 하고 중층연금 방식으로 운용하는 유형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연금개혁 모형으로 활용할 만한 연금유형은 싱가포르의 CPF로 대표되는 네 번째 유형이었다. CPF는 하나의 준비기금 아래에 네 개의 계좌를 활용함으로써 중층연금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었다. 중간정산으로 많은 문제가 있는 우리나라의 퇴직연금에 활용할 가치가 있는 제도로 평가된다.
      번역하기

      준비기금은 동남아시아, 태평양 도서국가 및 아프리카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독특한 연금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Crawford와 Ostrom의 5개 제도주의 문법요소를 근거로 동남아시아·태평양 ...

      준비기금은 동남아시아, 태평양 도서국가 및 아프리카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독특한 연금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Crawford와 Ostrom의 5개 제도주의 문법요소를 근거로 동남아시아·태평양 도서국가·아프리카 준비기금의 연금유형을 제시하고, 준비기금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연금개혁모형으로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세 지역의 준비기금은 다양한 모습의 변화를 거쳐 몇 가지 유형으로 정착되고 있었다. 분석과정에서 발견된 제도유형은 1) 준비기금을 보충적 연금으로 활용하는 유형, 2) 준비기금을 폐기하고 해로운 연금제도를 활용하는 유형, 3) 준비기금을 기본연금으로 하여 중층연금을 활용하는 유형, 4) 준비기금을 기본연금으로 하고 중층연금 방식으로 운용하는 유형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연금개혁 모형으로 활용할 만한 연금유형은 싱가포르의 CPF로 대표되는 네 번째 유형이었다. CPF는 하나의 준비기금 아래에 네 개의 계좌를 활용함으로써 중층연금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었다. 중간정산으로 많은 문제가 있는 우리나라의 퇴직연금에 활용할 가치가 있는 제도로 평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광덕, "한국과 일본의 국민연금개혁 비교연구 -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사회과학연구소 39 (39): 77-117, 2008

      2 국군호, "중층연금구조하의 중고령 직장인의 예상연금급여 수준에 관한 연구: A금융회사 공・사적연금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2 (12): 1-26, 2012

      3 원종욱, "역할정립과 연계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4 신종욱, "노후재정의 핵심과 3층 노후보장체계의 역할"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81-101, 2004

      5 김진영, "국민연금제도의 비교연구 - 한국, 칠레,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 한국정부학회 15 (15): 859-885, 2003

      6 윤석명,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균형적 발전에 관한 연구" 16 (16): 141-178, 2000

      7 박동현, "고령화 되고 있는 싱가포르의 연금문제" 3 (3): 73-77, 2008

      8 McKinnon, Roddy, "The public management of national provident funds for state-led development: The case of Malaysia’s Employees’ Provident Fund" 9 (9): 44-60, 1996

      9 Kpessa, M. W., "The politics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policy in Ghana: Historical trajectories and transformative capabilities" 5 (5): 92-102, 2011

      10 McKinnon, R., "The national provident fund model: An analytical and evaluative reassessment" 50 (50): 43-57, 1997

      1 박광덕, "한국과 일본의 국민연금개혁 비교연구 -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사회과학연구소 39 (39): 77-117, 2008

      2 국군호, "중층연금구조하의 중고령 직장인의 예상연금급여 수준에 관한 연구: A금융회사 공・사적연금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2 (12): 1-26, 2012

      3 원종욱, "역할정립과 연계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4 신종욱, "노후재정의 핵심과 3층 노후보장체계의 역할"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81-101, 2004

      5 김진영, "국민연금제도의 비교연구 - 한국, 칠레,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 한국정부학회 15 (15): 859-885, 2003

      6 윤석명,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균형적 발전에 관한 연구" 16 (16): 141-178, 2000

      7 박동현, "고령화 되고 있는 싱가포르의 연금문제" 3 (3): 73-77, 2008

      8 McKinnon, Roddy, "The public management of national provident funds for state-led development: The case of Malaysia’s Employees’ Provident Fund" 9 (9): 44-60, 1996

      9 Kpessa, M. W., "The politics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policy in Ghana: Historical trajectories and transformative capabilities" 5 (5): 92-102, 2011

      10 McKinnon, R., "The national provident fund model: An analytical and evaluative reassessment" 50 (50): 43-57, 1997

      11 Yin-Fah, C., "The future of the Malaysian older employees : An exploratory study" 5 (5): 125-132, 2010

      12 Paitoonpong. S., "Social Protection in Thailand: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Social Protection in East Asia: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ERIA 265-291, 2010

      13 Kumara, A. S., "Reforming pension funds in Sri Lanka: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and the Employees' Provicent Fund" 51 (51): 23-37, 2012

      14 Yee, L. D., "Provident funds and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Pacific" 47 (47): 55-69, 1994

      15 Chan, C. K., "Protecting the ageing poor or strengthening the market economy: the case of the Hong Kong Mandatory Provident Fund" 12 (12): 123-131, 2003

      16 Hall, Peter A.,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s" 44 (44): 936-957, 1996

      17 Central Bank of India, "New Pension System (NPS)"

      18 Dixon, J., "National provident funds : The challenge of harmonizing their social security, social and economic objectives" 1 (1): 41-54, 1993

      19 Koh, Benedict S., "Investment Patterns in Singapore's Central Provident Fund System" 7 (7): 37-65, 2007

      20 IOPS, "IOPS Member Country or Territory Pension System Profile: Tanzania"

      21 Low, L., "How Singapore's central provident fund fares in social security and social policy" 3 (3): 301-310, 2004

      22 Immergut, Ellen M., "Health Politics: Interests and Institutions in West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3 Tanzania's Government Employees Provident Fund, "Government Employees Provident Fund's Voluntary Savings Retirement Scheme: A Case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rovident Fund"

      24 Maait, M., "Egypt’s New Social Insurance System: An NDC Reform in an Emerging Economy. Nonfinancial Defined Contribution Pension Schemes in a Changing Pension World" World Bank Publications 2012

      25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95

      26 Streeck, W., "Beyond Continuity: 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7 World Bank, "Averting the Old Age Crisis: Policies to Protect the Old and Promote Growth" World Bank 1994

      28 Gerdes, V., "African provident funds" 24 (24): 572-587, 1971

      29 Crawford, S. E., "A grammar of institutions" 89 (89): 582-600, 1995

      30 Hur, M. H.,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nsion plans and individual savings in Asian countries from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19 (19): 379-389, 2010

      31 Dixon, J.,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Provident Funds : Their Present and Future Explored" 5 (5): 1-28,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1 1.1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