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과 전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은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장끼전』등 4종 9편이 확인된다. 『춘향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H. N. Allen)의 작품(CHUN YANG)은 현지 일반인을 위한 ...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은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장끼전』등 4종 9편이 확인된다. 『춘향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H. N. Allen)의 작품(CHUN YANG)은 현지 일반인을 위한 독서물이고, 러트(Richard Rutt)의 작품(The Song of a Faithful Wife, Ch"un-Hyang)은 일반인을 넘어서 해외 한국학 관계자를 위한 독서물이라고 할 만하다.
      『심청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의 작품(SIM CHUNG)과 스킬렌드(W.E. Skillend)의 작품(The Story of Shim Chung)은 경판 계열의 교훈적인 내용을 잘 드러내고 있다. 마샬 필(Marshall R. Pihl)의 작품(The Song of Shim Ch" ng)은 완판 71장본을 영역한 것으로서 판소리 예술적인 면모를 강조한다. 테일러(Charles M. Taylor)의 작품(Winning Buddha"s Smile)은 불어판을 영역한 것으로서 『심청전』의 내용과 더불어 군담소설의 흥미소를 담고 있다.
      『흥부전』의 경우, 알렌의 작품(HYUNG BO AND NAHL BO)은 경판계열 이본을 축소하고 변개시킨다. 『장끼전』의 경우, 피터 리(Peter H. Lee)의 작품(The Story of a Pheasant Cock)은 ‘현대어로 재구된 『장끼전』’을 영역의 저본으로 삼는다. 피터 리의 작품은 ‘현대어로 재구된 선본(善本)’을 번역한 만큼 좋은 번역물로 평가된다.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을 위해서는 선본을 해외 번역진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고전문학 전공자와 영문 번역자의 공동(번역)작업이 필요하다. 해외 우수한 번역진과 한국 고전문학 전공자의 공조가 가능하다면,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의 전망은 밝다고 할 만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nsori’s novel is based on pansori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ince 1889, english translators focu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especially pansori’s novels. Four kinds of pansori’s novel are translated and publishe...

      Pansori’s novel is based on pansori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ince 1889, english translators focu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especially pansori’s novels. Four kinds of pansori’s novel a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english abroad.
      Chunhyangjeon is the love story between Chun-hyang, a daughter of a gisaeng, and Lee, Mong-ryong, the son of a local magistrate in Namwon, south Jeolla province. This is one of the best love story in Korea.
      Simcheongjeon is the story of Sim-cheong who helps his blind father and becomes a heroine of filial piety. At last, she becomes a queen and his blind father opens his eyes.
      Heungbojeon is a tale of the unsophisticated, innocent Heung-bo and his greedy elder brother Nol-bo. Heung-bo cures a poor swallow. This swallow brings a good luck gourd seed to Heung-bo. As the fully grown gourds contain a lot of treasures. Heung-bo becomes very rich. But Nol-bo breaks a leg of another swallow. It brings a bad luck seed to Nol-bo to be poor.
      Jangggijeon is the story of a pheasant cock which represents an obstinate male ego. This pheasant cock does not listen an advice of his wife, a pheasant hen. And then he eats a poison bean to be dead.
      These works have the important roles to present pansori’ novels to english readers abroad. We have to translate more pansori’s novels and the best work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or promoting not on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korean culture abroad. Korean scholars and english translators have to work together for the best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
      • 3. 해외 영역 작품의 성과와 과제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
      • 3. 해외 영역 작품의 성과와 과제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진, "흥부전의 이본과 구성 연구" 경희대 1991

      2 소재영, "한국풍자소설선" 정음사 1975

      3 봉준수,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4 한국문학번역금고․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 번역서지목록"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5 김종길, "한국 문학 세계화의 현실, In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 민음사 1997

      6 오윤선, "한국 고소설 영역본으로의 초대" 지문당 2008

      7 이문성, "필사본 춘향전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8 김진영, "춘향전 전집 4" 박이정 1997

      9 이상현,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한국학 연구와 고전서사의 번역 : 게일 한국학단행본 출판의 변모와 필기" 성균관대 2009

      10 김진영, "심청전 연구 3" 박이정 1998

      1 김창진, "흥부전의 이본과 구성 연구" 경희대 1991

      2 소재영, "한국풍자소설선" 정음사 1975

      3 봉준수,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4 한국문학번역금고․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 번역서지목록"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5 김종길, "한국 문학 세계화의 현실, In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 민음사 1997

      6 오윤선, "한국 고소설 영역본으로의 초대" 지문당 2008

      7 이문성, "필사본 춘향전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8 김진영, "춘향전 전집 4" 박이정 1997

      9 이상현,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한국학 연구와 고전서사의 번역 : 게일 한국학단행본 출판의 변모와 필기" 성균관대 2009

      10 김진영, "심청전 연구 3" 박이정 1998

      11 김재현, "번역의 원리와 실제" 한국문화사 1995

      12 이문성, "경판 춘향전 연구" 고려대학교 1999

      13 구자균, "書評-Horace N. Allen 著 ‘Korea; Fact and Fancy’"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6 (6): 229-234, 1963

      14 김윤식, "‘다시 꽃이 핀 마른 나무’에 대하여-19세기 말 불어로 번역된 한국소설" 일지사 7 (7): 132-138, 1981

      15 Charles M. Taylor, "Winning Buddha's Smile; A Korean Legend" Goham Press 1919

      16 Richard Rutt, "Virtuous Women: Three masterpieces of traditional Korean fiction" KOREA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974

      17 Marshall R. Pihl, "The Korean Singer of Tales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Monograph Series, 37)"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18 H. N. Allen, "M.D. Korean Tales" The Knickerbocker Press 1889

      19 Chung Chong-wha,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 Anthology" Kengan Paul International 1989

      20 Peter H. Lee, "Anthology of Korean Literature: From Early Times to the Nineteenth Centu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1

      21 오윤선, "<춘향전> 영역본의 고찰" 판소리학회 (23) : 401-424, 2007

      22 이상현,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0) : 375-418, 2010

      23 최혜진,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판소리학회 (30) : 353-39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