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NS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 정보가 화장품 구매 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Information from the SNS Social Media Community on Reliability when Purchasing Cosm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64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rowth of social media has skyrocketed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Social media such as blogs, Twitter and Facebook have spread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and spread of peripheral technology.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users of such social media increases, social media is being util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companie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e influence of these social media has also been confirmed in the cosmetics market, and it has been found that, above all, it influences consumers'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urchases. In particular, Corona-19 has reduced external activity, and social media using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s, and laptops has become more active than offline purcha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and empirically investigate what kind of influence it has on purchases by trusting community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frequently contact social media to purchase cosmetics for empirical survey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ranked high i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2020 social media surveyed by DMC media, and was limited to Facebook, YouTube, Instagram, and Twitter.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it became clear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influence their purchasing intentions by trusting information on social media. The reliability ranking by each social media is in the order of Instagram, YouTube, Facebook, and Twitter. Instagram was very high, but Facebook and Twitter turned out to be unreliable.
      From now on, we will buy social media products in the growing e-commerce market, but hopefully it will be a suggestion to provide consumers with a positive ease of use and a useful experience. We also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many companies that are utilizing social media for COVID-19.
      번역하기

      The growth of social media has skyrocketed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Social media such as blogs, Twitter and Facebook have spread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and spread of peripheral technology.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users of such soc...

      The growth of social media has skyrocketed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Social media such as blogs, Twitter and Facebook have spread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and spread of peripheral technology.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users of such social media increases, social media is being util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companie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e influence of these social media has also been confirmed in the cosmetics market, and it has been found that, above all, it influences consumers'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urchases. In particular, Corona-19 has reduced external activity, and social media using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s, and laptops has become more active than offline purcha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and empirically investigate what kind of influence it has on purchases by trusting community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frequently contact social media to purchase cosmetics for empirical survey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ranked high i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2020 social media surveyed by DMC media, and was limited to Facebook, YouTube, Instagram, and Twitter.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it became clear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influence their purchasing intentions by trusting information on social media. The reliability ranking by each social media is in the order of Instagram, YouTube, Facebook, and Twitter. Instagram was very high, but Facebook and Twitter turned out to be unreliable.
      From now on, we will buy social media products in the growing e-commerce market, but hopefully it will be a suggestion to provide consumers with a positive ease of use and a useful experience. We also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many companies that are utilizing social media for COVID-1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셜 미디어의 성장은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급부상하게 되었다. 주변 기기들의 기술적 발전과 보급으로 블로그, 트위터 및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 수가 증가함으로서 소셜 미디어는 기업들이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은 화장품 시장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구매 할 때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외부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어 오프라인 구매 보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한 구매가 활발해 졌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커뮤니티 정보를 신뢰함에 따라 제품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했다. 실증 조사를 위하여 소셜 미디어를 자주 접하면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범위는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2020 소셜 미디어 현황 및 전망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 가지로 한정했다. 연구의 실증 조사 결과, 여대생이 소셜 미디어 정보를 신뢰함에 따라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 소셜 미디어별 신뢰도 순위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순으로 드러났다. 인스타그램의 순위는 매우 높았던 반면,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성장하는 이커머스 시장에서 소셜 미디어 상품 구매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사용성 및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제안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의 산업적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소셜 미디어의 성장은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급부상하게 되었다. 주변 기기들의 기술적 발전과 보급으로 블로그, 트위터 및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성장은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급부상하게 되었다. 주변 기기들의 기술적 발전과 보급으로 블로그, 트위터 및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 수가 증가함으로서 소셜 미디어는 기업들이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은 화장품 시장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구매 할 때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외부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어 오프라인 구매 보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한 구매가 활발해 졌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커뮤니티 정보를 신뢰함에 따라 제품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했다. 실증 조사를 위하여 소셜 미디어를 자주 접하면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범위는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2020 소셜 미디어 현황 및 전망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 가지로 한정했다. 연구의 실증 조사 결과, 여대생이 소셜 미디어 정보를 신뢰함에 따라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 소셜 미디어별 신뢰도 순위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순으로 드러났다. 인스타그램의 순위는 매우 높았던 반면,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성장하는 이커머스 시장에서 소셜 미디어 상품 구매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사용성 및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제안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의 산업적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윤, "화장품 구매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급자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49-257, 2020

      2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SNS, ‘인스타그램’·‘페이스북’" 아주경제

      3 이의종, "트위터 특징에 기반한 콘텐츠 중요성 평가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41 (41): 1136-1144, 2014

      4 "전자상거래 출사표 던진 페이스북... 쇼핑몰 시장흔들까?" 디지털투데이

      5 최유진,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동기가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브랜드 전문기업의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8

      6 김린아,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플로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5-39, 2016

      7 이강유,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60-675, 2018

      8 이진균, "소비자 가치와 온라인 구매동기가 인스타그램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1 (21): 153-185, 2020

      9 "마케터가 꼭 알아야 할 소셜미디어 통계 2019" TAGLIVE FORUM

      10 나스미디어, "NPR 인터넷 이용자 조사보고서" 나스미디어 2019

      1 정종윤, "화장품 구매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급자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49-257, 2020

      2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SNS, ‘인스타그램’·‘페이스북’" 아주경제

      3 이의종, "트위터 특징에 기반한 콘텐츠 중요성 평가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41 (41): 1136-1144, 2014

      4 "전자상거래 출사표 던진 페이스북... 쇼핑몰 시장흔들까?" 디지털투데이

      5 최유진,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동기가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브랜드 전문기업의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8

      6 김린아,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플로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5-39, 2016

      7 이강유,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60-675, 2018

      8 이진균, "소비자 가치와 온라인 구매동기가 인스타그램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1 (21): 153-185, 2020

      9 "마케터가 꼭 알아야 할 소셜미디어 통계 2019" TAGLIVE FORUM

      10 나스미디어, "NPR 인터넷 이용자 조사보고서" 나스미디어 2019

      11 임동완, "H&B 스토어 화장품 브랜드 인스타그램 활용도 분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8 (18): 135-144, 2020

      12 DMC미디어, "2020 소셜 미디어 현황 및전망" DMC미디어 1-15,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일러스트레이션학회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Illustration ->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5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