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김수이,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多文化)’의 양상들 -김수영, 김정환, 유 하의 시를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37 (4) : 233 ~ 255, 2009
3 이영광, "한국시의 시행엇붙임과 시의식에 대한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3, 2000
4 황정산,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시행엇붙임에 대한 연구" 한국학보 16 (2), 1990
5 김상환,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 민음사, 2000
6 박진우, "조르조 아감벤:남긴 것들, 그리고 남길 것들" 문학과사회 (가을), 2012
7 조르조 아감벤, "장치란 무엇인가" 난장, 2010
8 조르조 아감벤, "유아기와 역사" 새물결, 2010
9 조르조 아감벤, "예외상태" 새물결, 2009
10 조르조 아감벤,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새물결, 2012
1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김수이,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多文化)’의 양상들 -김수영, 김정환, 유 하의 시를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37 (4) : 233 ~ 255, 2009
3 이영광, "한국시의 시행엇붙임과 시의식에 대한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3, 2000
4 황정산,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시행엇붙임에 대한 연구" 한국학보 16 (2), 1990
5 김상환,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 민음사, 2000
6 박진우, "조르조 아감벤:남긴 것들, 그리고 남길 것들" 문학과사회 (가을), 2012
7 조르조 아감벤, "장치란 무엇인가" 난장, 2010
8 조르조 아감벤, "유아기와 역사" 새물결, 2010
9 조르조 아감벤, "예외상태" 새물결, 2009
10 조르조 아감벤,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새물결, 2012
11 윤교찬, "부정과 중단의 미학—아감벤의 바틀비론" 영어영문학21 26 (1) : 73 ~ 94, 2013
12 양운덕, "미시권력들의 작용과 생명 정치 : 푸꼬의 권력분석틀과 아감벤의 근대 생명정치학 비판" 철학연구 (36) : 169 ~ 213, 2008
13 최원식, "문학의 귀환" 창작과비평사, 2001
14 조르조 아감벤, "목적없는 수단" 난장, 2009
15 김상운, "랑시에르와의 ‘교전’을 통해 본 아감벤의 ‘한국적’ 유효성 모색" 진보평론 (59), 2014
16 최동호, "다시 읽는 김수영 시" 작가, 2005
17 황현산, "김수영의 현대성 또는 현재성" 창작과비평 (여름), 2008
18 오연경, "김수영의 사랑과 도래할 민주주의" 민주주의와 인권 13 (1) : 81 ~ 110, 2013
19 김명인, "김수영, 근대를 향한 모험" 소명출판, 2002
20 최하림, "김수영 평전" 실천문학사, 2001
21 황동규, "김수영 전집 별권" 민음사, 1983
22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시" 민음사, 2003
23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 산문" 민음사, 2003
24 이광호,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선의 정치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5 (3) : 207 ~ 228, 2011
25 진은영, "김수영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에 대하여 -불화의 미학과 탈경계적 정치학-" 현대문학의 연구 (40) : 497 ~ 526, 2010
26 김행숙,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김수영의 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47) : 9 ~ 34, 2009
27 자크 랑시에르, "‘문학성’에서 ‘문학의 정치’까지" 문학과사회 (봄),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