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남명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5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문 / 허권수 = 29 천왕봉처럼 우뚝한 남명의 정신세계 / 최석기 = 33 국역남명집 본집(本集) 시(詩) 오언절구(五言絶句) 칼자루에 써서 장원한 조원에게 줌 = 53 직녀암 = 53 관수루 ...

      서문 / 허권수 = 29
      천왕봉처럼 우뚝한 남명의 정신세계 / 최석기 = 33
      국역남명집
      본집(本集)
      시(詩)
      오언절구(五言絶句)
      칼자루에 써서 장원한 조원에게 줌 = 53
      직녀암 = 53
      관수루 시의 운자를 따라서 = 54
      서울로 가는 학록 오건에게 주다 = 54
      경온 스님과 이별하면서 = 54
      아무렇게나 지어 = 55
      숙안에게 부친다 = 55
      그저 흥이 나서 = 55
      이별하는 사람에게 준다 = 56
      산해정에서 우연히 읊다 = 56
      우연히 읊다 = 57
      옛 병풍에 써서 생질 자수에게 준다 = 57
      다시 한 수 = 58
      산해정에서 주 경유가 지은 시의 운자를 따라서 = 58
      어떤 사람에게 답하다 = 58
      산해정에 대를 심으며 = 59
      구암사에 쓰다 = 59
      황강의 정자에 쓰다 = 59
      매화 밑에 모란을 심다 = 60
      덕산 시냇가 정자의 기둥에 쓴다 = 60
      안음 옥산동에서 놀며 = 61
      청학동 폭포를 읊다 = 61
      함벽루 = 61
      태용에게 준다 = 62
      생질 자수에게 부친다 = 62
      해질녘에 외로운 배를 대다 = 63
      삼족당이 유언으로 해마다 보내주라 한 곡식을 사양하며 = 63
      건숙의 시에 삼가 화답하면서 김 태용에게 문안한다 = 64
      건숙에게 부친다 = 64
      꿈을 적어 하군에게 준다-짧은 서문도 아울러서 = 65
      제목 없이 = 65
      제목 없이 = 66
      떠돌아다니는 중에게 준다 = 66
      판서 정유길에게 준다 = 67
      강교의 다회연 모정 창문에 쓴다 = 67
      사산으로 가는 최명원을 뒤�아가 전송하면서 주다 = 67
      제목 없이 = 68
      우연히 읊다 = 68
      유정산인에게 준다 = 68
      우연히 읊다 = 69
      삼족당에게 부친다 = 69
      성동주에게 준다 = 69
      중이 둥근 부채 보내준 것에 사례하여 = 70
      제목 없이 = 70
      제목 없이 = 71
      김렬에게 준다 = 71
      장 판관의 옷에 쓰다 = 71
      육언절구(六言絶句)
      건숙에게 부친다 = 72
      오언사운(五言四韻)
      오 학록에게 준다 = 72
      만사 = 73
      박 우후의 죽음을 슬퍼하여 = 74
      산 속의 절에서 우연히 읊다 = 74
      홀로 선 나무를 읊다 = 75
      최 현좌에게 준다 = 75
      삼산에 사는 탁이 어른에게 드린다 = 76
      대곡에게 부친다 = 76
      이 황강의 정자 문위 틀에 쓰다 = 77
      건숙의 시에 화답하여 금적산 서재로 최 현좌에게 드린다 = 78
      삼족당에게 준다 = 78
      정부인 최씨의 죽음을 슬퍼하여 = 79
      하희서의 죽음을 슬퍼하여 = 80
      다시 한 수 = 81
      생질 자수에게 부친다 = 81
      강 참봉의 죽음을 슬퍼하는 글 = 82
      칠언절구(七言絶句)
      단속사 정당매 = 83
      인숙을 보내며 = 83
      오대사에 쓴다 = 84
      산 속에서 즉흥적으로 읊어 = 84
      다시 한 수 = 84
      감사 정종영이 들렀기에 = 85
      이 우옹이 고향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을 듣고서 = 85
      뜰의 배 = 86
      청학동 = 86
      자형 인숙과 작별하면서 준다 = 87
      다시 한 수 = 87
      강가 정자에서 우연히 읊다 = 87
      느낌이 있어 = 88
      봄날 즉흥적으로 읊어 = 88
      안음 옥산동에서 놀다 = 88
      다시 한 수 = 88
      이 경윤을 보내며 = 89
      아무렇게나 지어 = 89
      친구의 시 운자에 따라 = 90
      군호에게 준다 = 90
      명경대 = 91
      국화 = 91
      시골 노인을 찾아가 = 91
      황계폭포 = 92
      다시 한 수 = 92
      덕산에서 우연히 읊다 = 92
      연꽃을 읊다 = 92
      다시 한 수 = 93
      봉명루 = 93
      항우전을 읽고서 = 94
      건숙에게 화답하여 = 95
      귤을 두고 읊어 = 95
      명월사에서 독서하는 유 계선과 어 사공에게 부친다 = 96
      송 재상에게 화답하여 부친다 = 96
      아무렇게나 지어 = 97
      박사공에게 준다 = 97
      도사 장 의중에게 답하여 준다 = 97
      희감 스님에게 준다 = 98
      청향당에 지어준 여덟 수의 시 = 98
      아무렇게나 지어 = 101
      신응사에서 글을 읽다가 = 102
      백운동에서 놀며 = 102
      이름 없는 꽃 = 103
      학사 이증영을 보내면서 준다 = 103
      산해정 궂은비 속에서 = 104
      아무렇게나 지어 = 104
      냇물에 목욕하고서 = 104
      덕산에 살 곳을 잡고서 = 105
      아들을 잃고서 = 105
      서쪽 집 늙은이에게 부친다 = 105
      풍월헌 시의 운자에 화답하여 = 106
      황강의 정자에 쓴다 = 106
      가원에게 준다 = 107
      양산 쌍벽루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07
      자수의 그림 병풍 가운데 양양성 폭에 쓰다 = 107
      포석정 = 108
      성 중려에게 준다 = 108
      다시 한 수 = 109
      청향당 시에 화답하여 = 109
      오대사의 중에게 준다 = 110
      배를 읊다 = 110
      문견사의 소나무 정자에 쓰다 = 110
      다시 한 수 = 110
      제목 없이 = 111
      배 생의 죽음을 슬퍼하여 = 111
      제목 없이 = 111
      태온과 건숙에게 아울러 준다 = 112
      주 경유의 시운에 따라서 중의 시축(詩軸)에 쓴다 = 112
      야옹정 = 112
      윤 대련에게 준다 = 113
      대를 그리다 = 113
      의령 현감에게 준다 = 113
      분성에서 보리 타작하는 소리를 듣고 = 114
      두류산에서 짓다 = 114
      하 군려에게 부친다 = 115
      제목 없이 = 115
      산해정에서 『대학』팔조가의 뒤에 쓴다 = 115
      진극인의 죽음을 슬퍼하여 = 116
      현좌에게 화답하여 올린다 = 116
      다시 한 수 = 116
      황강에게 부친다 = 117
      황계폭포에서 놀 때 김 경부에게 준다 = 117
      다시 한 수 = 117
      죽연정에서 윤 진사 규의 시운에 따라서 = 117
      다시 한 수 = 118
      다시 한 수 = 118
      다시 한 수 = 118
      냇가에서 읊다 = 119
      강 진사 서의 죽음을 슬퍼하여 = 119
      다시 한 수 = 119
      복괘(復卦)를 두고 읊다 = 120
      이 원길이 책력을 보낸 것에 감사하여 = 120
      제목 없이 = 121
      제목 없이 = 121
      또 = 121
      칠언사운(七言四韻)
      하희서의 죽음을 슬퍼하여 = 122
      다시 한 수 = 123
      함허정 = 123
      정부인 최씨의 죽음을 슬퍼하여 = 124
      죽연정에서 진사 윤규에게 준다 = 124
      죽연정에서 문로의 시운에 따라서 = 125
      강가 누각 = 125
      송씨의 임정에 쓴다 = 126
      정사현의 사랑에 쓴다 = 127
      방응현의 풀로 인 정자에 쓴다 = 128
      대곡과 작별하면서 주다 = 128
      황강에게 준다 = 129
      대곡에게 부친다 = 130
      호음이 사미정에 쓴 시의 운자에 따라서 = 130
      다시 한 수 = 131
      제목 없이 = 131
      방백의 시운에 따라서 = 132
      묵재가 읊은 것에 따라서 = 133
      휴수가 읊은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33
      명경대 = 135
      사마소의 잔치 = 135
      서 화담의 시운에 따라서 = 136
      완구정에 쓴다 = 137
      완구정 제영(題詠)의 뒤에 쓴다 = 138
      고풍(古風)
      호접루 = 138
      영양(永陽)의 채련당에 쓴다 = 139
      성 중려에게 준다 = 139
      중옥 어른께 드린다 = 139
      석천자에게 준다 = 140
      삼족당에 쓴다 = 141
      취하여 숙안에게 준다 = 142
      칠언장편(七言長篇)
      흰 여우 갖옷 = 142
      소 자경 시 = 145
      '여섯 나라를 평정하고 오니 두 귀밑머리가 허옇더라'라는 시 = 146
      부(賦)
      원천부 = 149
      민암부 = 153
      군법행주부 = 157
      명(銘)
      좌우명 = 161
      패검명 = 161
      혁대명 = 161
      신명사명 = 162
      신언명 = 174
      금인명 = 176
      서(書)
      퇴계에게 답함 = 179
      퇴계에게 드림 = 181
      전주 부윤에게 드림 = 182
      이 합천에게 드림 = 183
      상국 이 원길에게 답함 = 184
      청도 고을 원에게 드림 = 186
      경안령 수부에게 답함 = 188
      경안령에게 답함 = 189
      신 송계에게 드림 = 190
      신 송계에게 드림 = 191
      신 송계에게 드림 = 192
      신 송계에게 드림 = 193
      신 송계에게 드림 = 193
      오 어사에게 줌 = 194
      자강·자정에게 줌 = 198
      자강·자정에게 줌 = 202
      자강·자정에게 줌 = 203
      성 청송에게 답함 = 204
      성 청송에게 답함 = 204
      성 청송에게 답함 = 204
      노 공신에게 줌 = 207
      강원 감사에게 드림 = 209
      오 자강에게 줌 = 210
      오 자강·배 경여에게 답함 = 212
      성 대곡에게 드림 = 213
      성 대곡에게 드림 = 214
      성 대곡에게 드림 = 216
      성 대곡에게 드림 = 217
      성 대곡에게 드림 = 218
      성 대곡에게 드림 = 219
      성 대곡에게 드림 = 220
      또 자강에게 답함 = 221
      중보 등에게 답함 = 222
      인백에게 답함 = 223
      진사 김 숙부에게 사례함 = 224
      김 숙부에게 줌 = 226
      김 숙부에게 줌 = 228
      김 숙부에게 줌 = 229
      김 숙부에게 줌 = 229
      김 숙부에게 줌 = 229
      김 숙부에게 줌 = 230
      김 숙부에게 줌 = 231
      김 숙부에게 줌 = 231
      김 숙부에게 줌 = 232
      학관 권응인에게 답함 = 232
      유해룡에게 줌 = 233
      송파자에게 보임 = 234
      기(記)
      행단기 = 237
      누항기 = 241
      영모당기 = 245
      발(跋)
      한훤당 화병 발문 = 249
      규암이 선물한 『대학』책갑 안에 씀 = 253
      이 군이 선물한 『심경』 끝에 씀 = 256
      이 원길이 선물한 『심경』 끝에 씀 = 258
      성 중려가 선물한 『동국사략』 끝에 씀 = 259
      묘지(墓誌)
      진사 김공 의인 안씨 쌍묘지명 병서 = 261
      중훈대부 시강원 보덕 증통정대부 승정원 도승지 조공 묘명 병서 = 263
      선고 통훈대부 승문원 판교 묘갈명 병서 = 268
      선무랑 호조 좌랑 김공 묘갈 병서 = 270
      처사 신군 묘표 = 274
      진사 강군 묘표 = 276
      중직대후 행문화현령 숙인 현씨 쌍묘표 = 279
      군자감 판관 이군 묘갈 병서 = 283
      어 집의 부인 백씨 비문 = 285
      의인 곽씨 묘표 = 287
      의인 이씨 묘표 = 289
      ○인 남씨 묘표 = 289
      공인 모씨지묘 = 292
      의성 김씨 묘지 = 294
      정부인 최씨 묘표 = 296
      노군 묘명 = 299
      통훈대무 광주목사 신공 묘명 병서 = 303
      효자 정백빙 묘갈명 = 307
      의인 최씨 묘갈 = 308
      이 합천 유애비문 = 309
      소(疏)
      을묘년에 사직하는 상소문 = 311
      정묘년에 사직하면서 승정원에 올린 상소문 = 318
      무진년에 올리는 봉사 = 320
      음식을 내려주신 은혜에 감사드리는 상소문 = 330
      논(論)
      엄광론 = 333
      잡저(雜著)
      『관서문답』에 대한 해명 = 337
      대책 문제 = 349
      두류산 유람록 = 352
      『경현록』뒤에 씀 = 378
      보유(補遺)
      시(詩)
      오언(五言)
      신응동에서 놀면서 = 385
      신응사에서 자형 인숙(寅叔)의 벼루 보자기에 쓴다 = 385
      군수 장필무를 이별하면서 노자삼아 주다 = 386
      김 칠봉의 죽음을 슬퍼하여 = 386
      김 칠봉에게 준다-서문도 아울러서 = 387
      김 사로에게 준다 = 387
      김 사로의 죽음을 슬퍼하여 = 387
      칠언(七言)
      김 사로의 죽음을 슬퍼하여 = 388
      제목 잃은 시 = 388
      제목 잃은 시 = 389
      매화와 학을 읊다 = 389
      무릉의 시운에 따라서 = 389
      영모당 = 389
      다시 한 수 = 389
      명(銘)
      동작연명 = 391
      제목 잃은 명 = 392
      서(書)
      이 회재에게 답함 = 393
      노 자응에게 답함 = 394
      이기에게 답함 = 394
      이 강이에게 답함 = 394
      정 천뢰에게 답함 = 395
      제목 잃은 편지 = 395
      정 도가에게 답함 = 396
      학관 권응인에게 줌 = 396
      제목 잃은 편지 실제 = 398
      책을 보내 준 사람에게 답함 = 398
      기(記)
      삼우당 문공 묘사기 = 399
      함허정기 = 402
      묘지(墓誌)
      증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이공 신도비명 병서 = 405
      월담 정사현의 묘갈에 씀 = 408
      소(疏)
      제목 잃은 상소문 = 409
      잡저(雜著)
      지족당 조공 유사 = 410
      영모재 이공의 행록 끝에 기록함 = 412
      야은 길 선생전 = 414
      교감 남명집
      일러두기 = 418
      本集 = 421
      詩 = 423
      賦 = 469
      銘 = 472
      書 = 478
      記 = 509
      跋 = 514
      墓誌 = 520
      疏 = 551
      論 = 561
      雜著 = 564
      補遺 = 583
      후기 = 598
      남명 조식 선생의 연보 = 600
      찾아보기 = 606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16세기 조선시대의 사회적 현실을 분석하고 그 개혁방안을 제시했던 남명조식의 사상을 바탕으로 16세기 조선사회의 현실인...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16세기 조선시대의 사회적 현실을 분석하고 그 개혁방안을 제시했던 남명조식의 사상을 바탕으로 16세기 조선사회의 현실인식과 당시 개선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남명 연구의 핵심인 敬과 義의 사상적 측면을 다루고자하였으며 경과 의의 사상적 측면을 분석한 후, 사회학적 인식토대위에서 16세기 사회현실에서 남명의 경과 의가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본 자료가 활용되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옮긴이: 허권수, 최석기, 윤호진, 장원철, 황의열, 이상필 원문 교감자: 김윤수

      옮긴이: 허권수, 최석기, 윤호진, 장원철, 황의열, 이상필
      원문 교감자: 김윤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